-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09/09 18:03:15 |
Name | 팅핑랩썬브클 |
Subject | 주식으로 돈버는게 어떻게 가능한가요? |
예를 들면 이번에 나온 노트7같은경우 모두가 극찬을 했는데 갑작스럽게 배터리 문제가 발생했잖아요 아무리 빨리 알아차려도 뉴스에서 나오는 소식을 들을때쯤이면 다른 사람들도 이미 주식을 팔고있을텐데요 이런식으로 미래를 예측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돈을 버는 건가요? 만약에 개인투자자로 돈을 번 사람이 있다면 그 수가 %로 얼마나 될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팅핑랩썬브클님의 최근 게시물 |
장기간 주식투자를 해서 실제로 돈을 번 것이 명백하게 인증된 삼대장(제가 아는 인물 중에요)이 워렌 버핏, 존 템플턴, 피터 린치인데
셋 다 가치 투자자로 분류되고
가치 투자는 간단히 말하면 기업의 가치보다 주식의 가격이 낮을 때 산다는 투자 방법입니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1. 순이익 기준
안정되게 사업을 유지해서 연간 순이익이 500억원인 기업이 있을 때 현재 주가총액이 1000억이라면
1000억 주고 회사를 통째로 사들이면 년 50% 이자를 받는 셈이니 게이득.
2. 자산 기준
주가 총액 1000억짜리 기업에 부동산이 3000억원쯤 있다면
회사를 사들여서 부동산을 갖... 더 보기
셋 다 가치 투자자로 분류되고
가치 투자는 간단히 말하면 기업의 가치보다 주식의 가격이 낮을 때 산다는 투자 방법입니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1. 순이익 기준
안정되게 사업을 유지해서 연간 순이익이 500억원인 기업이 있을 때 현재 주가총액이 1000억이라면
1000억 주고 회사를 통째로 사들이면 년 50% 이자를 받는 셈이니 게이득.
2. 자산 기준
주가 총액 1000억짜리 기업에 부동산이 3000억원쯤 있다면
회사를 사들여서 부동산을 갖... 더 보기
장기간 주식투자를 해서 실제로 돈을 번 것이 명백하게 인증된 삼대장(제가 아는 인물 중에요)이 워렌 버핏, 존 템플턴, 피터 린치인데
셋 다 가치 투자자로 분류되고
가치 투자는 간단히 말하면 기업의 가치보다 주식의 가격이 낮을 때 산다는 투자 방법입니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1. 순이익 기준
안정되게 사업을 유지해서 연간 순이익이 500억원인 기업이 있을 때 현재 주가총액이 1000억이라면
1000억 주고 회사를 통째로 사들이면 년 50% 이자를 받는 셈이니 게이득.
2. 자산 기준
주가 총액 1000억짜리 기업에 부동산이 3000억원쯤 있다면
회사를 사들여서 부동산을 갖다 팔기만 해도 3배 장사이니 게이득.
3. 배당금 기준
매년 배당금을 최소 2000원 주는 회사의 현 주가가 주당 10000원이면 년 20% 이자를 받는 셈이니 게이득.
4. 성장률 기준
사실상 이익률 기준으로 따지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미국 한 개 주에서 성공 -> 2번째 주에서도 성공 -> 3번째 주에서도 성공 -> 10번째 주에서도 성공한 기업이 있다면, 앞으로 남은 40개 주에서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을 때
그렇다면 순이익이 앞으로 4배는 증가할 테니 그 순이익의 증가에 맞춰서 기업의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등이 있고, 실전으로 들어가면 대략 이런 겁니다.
http://pgr21.com/pb/pb.php?id=freedom&no=56993&divpage=14&ss=on&sc=on&keyword=%EB%A7%A5%EC%BF%BC%EB%A6%AC
(전 몇 달 후에 늦게 봐서 못 삼요;)
테마주 고르고 차트 분석하고 하는 다른 방식의 투자는 제가 모르는 부분이라 패스합니다.
셋 다 가치 투자자로 분류되고
가치 투자는 간단히 말하면 기업의 가치보다 주식의 가격이 낮을 때 산다는 투자 방법입니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1. 순이익 기준
안정되게 사업을 유지해서 연간 순이익이 500억원인 기업이 있을 때 현재 주가총액이 1000억이라면
1000억 주고 회사를 통째로 사들이면 년 50% 이자를 받는 셈이니 게이득.
2. 자산 기준
주가 총액 1000억짜리 기업에 부동산이 3000억원쯤 있다면
회사를 사들여서 부동산을 갖다 팔기만 해도 3배 장사이니 게이득.
3. 배당금 기준
매년 배당금을 최소 2000원 주는 회사의 현 주가가 주당 10000원이면 년 20% 이자를 받는 셈이니 게이득.
4. 성장률 기준
사실상 이익률 기준으로 따지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미국 한 개 주에서 성공 -> 2번째 주에서도 성공 -> 3번째 주에서도 성공 -> 10번째 주에서도 성공한 기업이 있다면, 앞으로 남은 40개 주에서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을 때
그렇다면 순이익이 앞으로 4배는 증가할 테니 그 순이익의 증가에 맞춰서 기업의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등이 있고, 실전으로 들어가면 대략 이런 겁니다.
http://pgr21.com/pb/pb.php?id=freedom&no=56993&divpage=14&ss=on&sc=on&keyword=%EB%A7%A5%EC%BF%BC%EB%A6%AC
(전 몇 달 후에 늦게 봐서 못 삼요;)
테마주 고르고 차트 분석하고 하는 다른 방식의 투자는 제가 모르는 부분이라 패스합니다.
http://simg.donga.com/ugc/MLBPARK/Board/14/66/08/70/1466087034366.png
클릭해서 보셔야하는데
간단한 답은 간단한 답이 없다인것 같습니다 ㅋㅋㅋ
클릭해서 보셔야하는데
간단한 답은 간단한 답이 없다인것 같습니다 ㅋㅋㅋ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