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4/27 14:24:13
Name   [익명]
Subject   전세사기 대비는 어떻게해야할까요..?
뒤늦게 자취 시작한지 얼마 안됐는데
갑자기 전세사기 이슈가 너무 많아져서 괜히 생각이 많아지네요..
뭘 모를때는 당하는 사람이 바보다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당하면 손쓸도리가 없더라구요
심지어 주변에서도 한두명씩 전세사기 당했다더라하면서 이야기가 들리니까 괜히 불안해지는데
전세사기 안당하는 방법이나 미리 대비하는 방법있나요?



0


Beer Inside
월세를 하시면 됩니다.

월세보증금은 전세에 비하면 소액이라서...
7
그런데
저는 최근의 사태가 전세 시대가 끝나갈 때 나타나는 안타까운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세는 집값 상승이 이자 수익보다 높을 때 가능한 제도인데
이제는 그렇지 않음에도 관성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것 같아서입니다.
현재 전세 중인데 전세금액이 집값 대비 크다면
반전세 등으로 집값 대비 보증금 비중을 50% 이하
(물론 이전의 담보 등이 없는 깨끗한 매물)로 두고
나머지를 월세로 내는 등으로 옮겨타는 방법이 좋겠습니다.
2
회색사과
등기 깨끗한 것은 기본이고..

자산의 가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물건.
자산 가치 대비 지나치게 높지 않은 보증금.

정도지 않을까요.

누가 전세 들어가려고 알아본다하면 아파트로 알아보라고 할 것 같아요.

위에 두 가지 이유로..
2
집에 가는 제로스
1. 등기부상 선순위 권리의 존재확인
2. 이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낙찰가격이 내 전세금보다 높을 것인지 검토

2가 중요한데 경매가격은 일반 판매가보다 훨씬 낮아질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하고
대강 전세가가 현재 집값의 50%정도면 안전한 편이라고 볼 수 있고

70%정도면 못할정도는 아니고

그거보다 높으면 사실 위험한거죠.

거꾸로 생각해서, 내가 집을 산다고 했을 때 평범한 매물이 아니라
경매되는 집을 산다고 하면 몇% 디스카운트를 원할지 생각해보는게 좀 도움이 됩니다.
10
키티호크
여러분들, 이게 기본입니다. 의미없는 것이 없겠지만 여기서 출발해야합니다.
1
첨언하자면 2번이 가능한게 사실상 단지형 아파트정도입니다. 오피스텔,도시생활주택,원룸,빌라 등의 건물들은 매매시세를 알기 어렵습니다. 특히 신축은 더더욱이요.
1
하우두유두
이쪽은 월세를 사는게 낫겠네요...
집에 가는 제로스
이쪽은 그나마 비슷한 물건 위주로 경매낙찰가 확인해보는수밖에 없지요..

일단, 전세 들어가는데 집주인이 이사비를 지원하거나 페이백을 쏴준다고한다? 사기죠..
1
하지만 목에서 손이 튀어나갈것같은 달콤함..돈없을땐 더하죠 악질범죄입니다 진짜
1
근데 경매된 집의 시세는 사실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시세보다 낮긴한데, 보통 명도비용과 이사비용정도 차이나는 경우가 많죠..
아파트는 대충 크게 문제없으면 한 5%잡으면 되지않을까 합니다
1
게이득
전세사기를 치겠다 라고 마음먹은놈한테는 대비할 수 없습니다
사금융에서 돈먹고 나른다음에 배째 하겠다는데 방법이 없죠
1
괄하이드(괄하이드)
집주인의 체납내역확인도 필요합니다. 예전엔 그걸 요구하는게 좀 어려웠는데 요새는 전세사기가 이슈되면서 중개인측에 요청하면 떼주는 분위기라고 하더군요. 등기부가 아무리 깨끗해도 집주인의 체납발생시점이 내 전세계약일보다 빠르면 나보다 선순위가 되니까요.

이제 빌라 전세는 거의 힘들지않을까 싶습니다...
1
사기 수법이 전세 준 다음에 주인 바꿔치는 거라서 딱히 대응 방법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주인이 바뀐다고 하면 그때 잘 보시는 수 밖에;;;;
1
주글래사귈래
지금 전세사기 이슈때문에 임차권등기명령 많이 신청하고 있대요!
혼자서 신청 가능한데 시간 여유 없으면 법무사 알아보셔도 될듯해요 근데 금액 다 다르니까 법무픽같은 어플로 견적 한번에 받아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1
진짜 사기 당해서 그 집을 매수하게 되었을때에도 후회하지 않을만한 집....
중개대상 확인 설명란을 꼭 확인하세여.

문제있는 매물에 대해 이 설명란에 기재안했을 경우 중개인에게 40프로 책임을 준 판결이 나왔습니다.

중개인은 저 란을 채우기 위해 집주인에게 자료를 요청해야하고 집주인이 자료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자료제공 거부 사실에 대해 중개대상 확인 설명란에 기재해야만 책임을 면할 수 있게 된겁니다.

계약 후 명의 바꿔치기 같은 전례를 중개인이 알았 다면 중개인이 그 사실을 확인하여 기재해야만 사건 발생후 법적 면잭이 되는 상황이 된거라.
만능대책은 아니지만 여럿에게 사기치는 전세 사기... 더 보기
중개대상 확인 설명란을 꼭 확인하세여.

문제있는 매물에 대해 이 설명란에 기재안했을 경우 중개인에게 40프로 책임을 준 판결이 나왔습니다.

중개인은 저 란을 채우기 위해 집주인에게 자료를 요청해야하고 집주인이 자료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자료제공 거부 사실에 대해 중개대상 확인 설명란에 기재해야만 책임을 면할 수 있게 된겁니다.

계약 후 명의 바꿔치기 같은 전례를 중개인이 알았 다면 중개인이 그 사실을 확인하여 기재해야만 사건 발생후 법적 면잭이 되는 상황이 된거라.
만능대책은 아니지만 여럿에게 사기치는 전세 사기중에 일부는 걸러질수 있을겁니다.

동네 부동산이나 매도인들이 시대 따라잡는게 느려 이 사실을 아직 모를 수도 있으니 매수인이 관련 언론기사를 제시해서라도 챙겨야 할 부분이고.

설명란 등한시 하는 중개사는 거르는게 최소한의 사기 예방책 같습니다.

해당 판결로 인해 중개사들이 어영부영하거나 알면서도 모른척 팔아넘기고 해왔던 행태에 대해 그나마 조금은 법 규제가 들어가게 된거 같습니다.
1
노량진8년차공시생
LH, SH 등의 청년임대를 노린다 <<< 베스트라고 봅니다
지역, 출퇴근, 당첨가능성 등 많은 고려사항이 있지만
수천만원에 달하는 돈이 걸려있으므로 분명 고려할 가치가 있습니다
서울 내 행복주택은 기본 경쟁률이 수십대 일이고 소득 나이제한 등 빡빡하지만
비인기지역은 제발 와서 살아달라는 수준인 경우도 많아요
서울이 직장이어도 김포 출퇴근 하면 워라밸은 박살나겠지만 보증금은 안전하겠죠
1
아서 모건
가장 핵심은 결국 집주인에게 내가 돈을 빌려주는건데 그 채권이 부실하냐 아니냐거든요

집주인의 재정상태를 파악하든
월세를 살든 해야겠죠

그래서 요즘 월세가 대세더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00 경제특례보금자리론 + 영끌하는 게 맞을까요? 19 보리건빵 23/09/11 2816 0
15189 경제전세자금대출 질문이요.. 11 침묵의공처가 23/09/06 2585 0
15164 경제여성용 지갑 추천 부탁드립니당. 4 바게트 23/08/27 1915 0
15157 경제대출 갈아타기 관련 질문입니다. 3 자몽에이슬 23/08/23 2474 0
15105 경제고기값! 고기값! 2 매뉴물있뉴 23/08/03 2337 0
15037 경제현금 투자처는 어디가 좋을까요? 5 [익명] 23/07/15 2710 0
15003 경제1제곱미터 가로 세로 구하기 6 오디너리안 23/07/07 6665 0
14993 경제퇴거자금대출 질문입니다. 4 OneV 23/07/04 2423 0
14985 경제대출(주담대) 및 금리에 대해 잘 아시는분? 6 어둠달골짜기 23/07/02 2934 0
14951 경제청년도약 계좌와 관련된 금융질문 3 쿠바왕 23/06/21 2628 0
14926 경제이해할 수 없는 카드깡을 봤는데 5 [익명] 23/06/15 3161 0
14902 경제빈 건물부지를 주차장으로 쓰게 임대해주려 합니다. 1 똘빼 23/06/07 3757 0
14883 경제ROCE를 알려주세요. 헬프~ 4 moqq 23/06/03 2281 0
14881 경제오피스텔은 그냥 비추천 인가요? 7 Alynna 23/06/03 3018 0
14870 댓글잠금 경제은행 및 에이티엠에 현금 입금에 대한 상식 질문드립니다. 6 [익명] 23/05/30 2671 0
14855 경제신차 구매시 bmw 파이낸셜 이용 문의 8 퓨리 23/05/26 3730 0
14819 경제이런 옛날지폐는 교환가능한가요? 5 쉬군 23/05/16 3557 0
14803 경제대출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5 shadowtaki 23/05/11 2177 0
14799 경제동일 날짜 동일동호 계약 갱신건 질문입니다. 구밀복검 23/05/10 2064 0
14780 경제자동차 사고 처음 내고 끝났습니다 8 아서 모건 23/05/06 2978 0
14746 경제5천만원 어떻게 놓는게 좋을까요? 17 아서 모건 23/04/28 3483 0
14742 경제전세사기 대비는 어떻게해야할까요..? 18 [익명] 23/04/27 3270 0
14721 경제방이 경매 넘어갔고 낙찰되었습니다 4 DogSound-_-* 23/04/21 3428 0
14719 경제퇴직금 계좌 전환 관련해서... 4 배차계 23/04/20 2802 0
14717 경제기업의 영구성장률과 최종가치 공식. 17 moqq 23/04/19 507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