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3/17 07:39:36 |
Name | ㅢㅘㅞ |
Subject | 대형 광고에 대한 효과를 어떻게 계산하나요? |
레드불 같은 회사를 보면 각종 익스트림 스포쓰 같은곳에 후원을 엄청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투자의 경우 사회에 대한 수익 환원으로 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계산기를 통해 투자 대비 어느정도 수익 증가가 있다는 결론이 나와서 지속하는 것일까요? 만약 후자라고 하면 수익 증가 효과에 대한 것을 어떻게 정량화 해서 계산할 수 있나요? 예를 들어 특정 기간 동안 익스트림 스포츠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유튜브에 업로드 이후 기간별 조회수가 나오고 조회수에 대한 연령별 시청자에 대한 통계 확률적인 제품 구매....비율을 추산하여 광고 비용 투자 대비 수익율을 계산........하는 건 좀 허무맹랑해보여서요 진짜 익스트림 스포츠에 써있는 레드불 마크를 보고 사람들이 음료를 더 마시는지 F1에 있는 레드불 마크를 보고 진짜 더 마시는지 만약 광고를 보고 마신다면 F1 기간 이후의 레드불 판매량 변화를 집계하여 얼마나 판매량이 더 순간 증가하는 것으로 효과를 판단하는지 이런 것들이 궁금합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ㅢㅘㅞ님의 최근 게시물
|
일반적(전통적)인 광고는 매출증가분 - 광고기여분 추산이 참으로 어렵습니다.
저의 경우 제품 자체가 국내 1위 브랜드라 매출 증가가 목적이 아닌 방어가 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광고 채널별 목표는 따로 정해져 있었습니다.
TV같은 경우는 GRPs, 시청횟수를 기반으로 CPM을 산정했고
디지털쪽은 뷰수, 팔로워수로 성과 추적을 했습니다.
가장 문제는 OOH(옥외광고)였어요. 이건 뭐... CPM도 무쟈게 높은데 떼내지도 못하고요.
사내에서도 왜 큰돈을 들여 광고를 하냐? 효과가 있긴 하냐? 라고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들... 더 보기
저의 경우 제품 자체가 국내 1위 브랜드라 매출 증가가 목적이 아닌 방어가 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광고 채널별 목표는 따로 정해져 있었습니다.
TV같은 경우는 GRPs, 시청횟수를 기반으로 CPM을 산정했고
디지털쪽은 뷰수, 팔로워수로 성과 추적을 했습니다.
가장 문제는 OOH(옥외광고)였어요. 이건 뭐... CPM도 무쟈게 높은데 떼내지도 못하고요.
사내에서도 왜 큰돈을 들여 광고를 하냐? 효과가 있긴 하냐? 라고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들... 더 보기
일반적(전통적)인 광고는 매출증가분 - 광고기여분 추산이 참으로 어렵습니다.
저의 경우 제품 자체가 국내 1위 브랜드라 매출 증가가 목적이 아닌 방어가 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광고 채널별 목표는 따로 정해져 있었습니다.
TV같은 경우는 GRPs, 시청횟수를 기반으로 CPM을 산정했고
디지털쪽은 뷰수, 팔로워수로 성과 추적을 했습니다.
가장 문제는 OOH(옥외광고)였어요. 이건 뭐... CPM도 무쟈게 높은데 떼내지도 못하고요.
사내에서도 왜 큰돈을 들여 광고를 하냐? 효과가 있긴 하냐? 라고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아무도 광고를 끊어보자고 말을 하지는 못했죠.
아 그리고 광고, 브랜드 인식도 조사도 매년 했습니다.
저의 경우 제품 자체가 국내 1위 브랜드라 매출 증가가 목적이 아닌 방어가 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광고 채널별 목표는 따로 정해져 있었습니다.
TV같은 경우는 GRPs, 시청횟수를 기반으로 CPM을 산정했고
디지털쪽은 뷰수, 팔로워수로 성과 추적을 했습니다.
가장 문제는 OOH(옥외광고)였어요. 이건 뭐... CPM도 무쟈게 높은데 떼내지도 못하고요.
사내에서도 왜 큰돈을 들여 광고를 하냐? 효과가 있긴 하냐? 라고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아무도 광고를 끊어보자고 말을 하지는 못했죠.
아 그리고 광고, 브랜드 인식도 조사도 매년 했습니다.
이거는 진짜 몰라요. 그래서 오너 기분좋으라고 하는 경우도 많아요 ㅎ
레드불의 대형 프로모션을 보고 '오옹 대단한데..' 하고 지하철 타고 집으로 가는 중에 지하철에서 레드불 광고를 보고
유튜브 중간광고에서 '핫식스' 광고를 보고 집 앞 편의점에 들렀는데, 레드불은 1+1 행사를 하고 핫식스는 2+1 행사를 하는 상황에서 레드불을 구매했다?
이러면 이 소비자로 하여금 레드불을 구매하게 한 결정적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면 "모른다" 가 정답이에요.
모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인식 체례를 아예 하나의 브랜드... 더 보기
레드불의 대형 프로모션을 보고 '오옹 대단한데..' 하고 지하철 타고 집으로 가는 중에 지하철에서 레드불 광고를 보고
유튜브 중간광고에서 '핫식스' 광고를 보고 집 앞 편의점에 들렀는데, 레드불은 1+1 행사를 하고 핫식스는 2+1 행사를 하는 상황에서 레드불을 구매했다?
이러면 이 소비자로 하여금 레드불을 구매하게 한 결정적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면 "모른다" 가 정답이에요.
모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인식 체례를 아예 하나의 브랜드... 더 보기
이거는 진짜 몰라요. 그래서 오너 기분좋으라고 하는 경우도 많아요 ㅎ
레드불의 대형 프로모션을 보고 '오옹 대단한데..' 하고 지하철 타고 집으로 가는 중에 지하철에서 레드불 광고를 보고
유튜브 중간광고에서 '핫식스' 광고를 보고 집 앞 편의점에 들렀는데, 레드불은 1+1 행사를 하고 핫식스는 2+1 행사를 하는 상황에서 레드불을 구매했다?
이러면 이 소비자로 하여금 레드불을 구매하게 한 결정적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면 "모른다" 가 정답이에요.
모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인식 체례를 아예 하나의 브랜드로 덮어버리겠다는 것이 거대 프로모션의 목표죠.
그렇게 잠재의식까지 장악을 하면 그 뒤부터는 바뀌기가 어려우니까..
레드불의 대형 프로모션을 보고 '오옹 대단한데..' 하고 지하철 타고 집으로 가는 중에 지하철에서 레드불 광고를 보고
유튜브 중간광고에서 '핫식스' 광고를 보고 집 앞 편의점에 들렀는데, 레드불은 1+1 행사를 하고 핫식스는 2+1 행사를 하는 상황에서 레드불을 구매했다?
이러면 이 소비자로 하여금 레드불을 구매하게 한 결정적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면 "모른다" 가 정답이에요.
모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인식 체례를 아예 하나의 브랜드로 덮어버리겠다는 것이 거대 프로모션의 목표죠.
그렇게 잠재의식까지 장악을 하면 그 뒤부터는 바뀌기가 어려우니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