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10/02 13:13:33수정됨
Name   설탕
File #1   85201659607948_463091952.png (410.5 KB), Download : 1
Link #1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strange&No=5337548
Subject   [짤주의] 장애인들과 유전병 환자들의 인식에 대한 궁금증


[짤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개인사를 적었었는데 이 내용은 불필요한것 같아 삭제합니다.]

유전병 환자나 일부 장애인들이 자녀에게 질병을 대물림 할 가능성이 높은 건 맞읍니다. 저도 해당되고요. 그리고 사람의 필수 본능 중 하나는 번식이라는 것도 알고 있읍니다. 그리고 그 본능은 상황에 맞게 적절히 차단시켜야 한다는 것도 알고 있읍니다.

궁금한 점은 그들이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유전병 환자라는 이유로 나라에 세금을 안 냈나요? 아니면 저걸 빌미로 범죄를 저질렀나요? 그런 일들은 매우 적은 걸로 알고 있는데 어째서 장애인들과 유전병 환자들에 대한 인식이 저런 건지 궁금합니다.



1


syzygii
질병이 아니고 직업의 인식이 안좋아도, 돈이 부족해도, 성격이 좀 가정적이지 못해도, 시가/친가에 문제가 있어도(부양할 병자가 있다던가) 다 애낳는걸 죄인으로 받아들이는 풍조인데 저런 의견을 신경쓰고 고민할 이유가 있나요? 하다못해 애를 낳지않은 성소수자도 세금 잘내고 범죄 없어도 저들에겐 죄인입니다. 그냥 그러라고 해요 뭐 어쩌겠어여.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죄인취급 받는 풍조는 좀 슬프네요.
인터넷의 쓰러거렁벙이들은 심지어 세종대왕도 죄인취급하는 버러지들이니까요 ㅋㅋㅋ. 못난것들이 남을 깔보며 심리적 만족감을 얻는것에 상처입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 그들의 삶의 낙은 그것밖에 없는데 일부러 맞아줄 필요는 없지요
3
그렇군요;;; 칡님 댓보니 또다른 궁금증이 생겼지만 다른 글 쓰는걸로 대체하도록 하겠읍니다 ㅋㅋㅋ 감사합니다!
2
사회인식의 문제라기보다는 일부 인터넷 공간의 문제입니다 ㅋㅋ 자기와 다르다 생각하는, 약하다 생각하는, 도덕적 열위로 밀어넣을 수 있겠다 싶은 타인을 건드려서 만족을 취하는 건 못난 인간들이 항상 보여왔던 특징이지만, 그런 이들에게 타인에게 가닿을 수 있는 힘이 생긴 점이 더 크지요. 안타깝게도 열마디 응원보다 한마디 조롱이 더 가슴에 박히는 게 평범한 사람들의 인지감정 구조라 인터넷의 장점보다 단점이 더 부각되는 것 같습니다. 사회적 소수자가 되는 경험을 했던 분들에게는 더더욱 세게 박히고요. 사실 그걸 알기에 저치들이 더 저러는... 더 보기
사회인식의 문제라기보다는 일부 인터넷 공간의 문제입니다 ㅋㅋ 자기와 다르다 생각하는, 약하다 생각하는, 도덕적 열위로 밀어넣을 수 있겠다 싶은 타인을 건드려서 만족을 취하는 건 못난 인간들이 항상 보여왔던 특징이지만, 그런 이들에게 타인에게 가닿을 수 있는 힘이 생긴 점이 더 크지요. 안타깝게도 열마디 응원보다 한마디 조롱이 더 가슴에 박히는 게 평범한 사람들의 인지감정 구조라 인터넷의 장점보다 단점이 더 부각되는 것 같습니다. 사회적 소수자가 되는 경험을 했던 분들에게는 더더욱 세게 박히고요. 사실 그걸 알기에 저치들이 더 저러는 거기도 합니다.

한국 사회가 지닌 장애/비장애에 대한 인식이 아직 더 변화해야 좋을 지점이 많지만, 적어도 첨부하신 주장에 대한 호응보다는 그에 대한 반박이 더 많을 겁니다. 한국 사회 전체의 인식이 저런갑다 하면서 위축되지 마세요. 욕이나 한사발 먹이고 달달이 챙겨드심씨오
11
상세한 분석 감사합니다. 왠지 제가 앞으로 쓸 글의 방향을 짚어주신 것 같네요. 앞으로도 홍차넷 활동 열심히 하겠읍니다^^
바라스비다히
대다수가 세금 낸것보다 많이 받아가고, 자기가 낸것만큼 못받고 죽는 케이스가 더 소수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정부정책 전문가가 아니라 그 주제에 대해선 어렴풋이 알고 있지만 개선책이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그러나 이것 또한 길고 긴 싸움이라 지치신 분들이 많죠 ㅋㅋㅋ 의견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야갤은 그냥 흘려 보내세요.
2
춫천드립니다.
원금복구제발ㅠㅠ
사람아닌것들은 그냥 캐무시하는게 답이죠.
매뉴물있뉴
그런건 멸시받는 쪽에서 잘못하는게 아니고
멸시 하는쪽에서 잘못하는 겁니다.

꼭 장애인이 아니더라도, 인종 / 지역 / 종교 / 성지향성 등등등...
다 욕하는 놈이 모지리인 경우입니다.
저 글쓴이가 어떤 방향으로 생각했는진 저도 잘 몰라서 질게에 올렸읍니다.
아무리 화가 나도 욕하면 안된다는 의견은 동의합니다.
peaceful
저 글에 장애에 대한 무지가 드러났을지는 몰라도, 글의 내용은 장애나 유전병에 대한 무시라기보다
자식을 낳은 사람들(중 일부)에 대한 비판인 것 같습니다.
비슷한 맥락일 수 있겠으나, 저도
자식이 '살 만하다' 정도의 느낌을 갖고 살아갈 수 없게 양육하는 부모들은 비난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자식의 '살 만한' 느낌의 수준은 부모의 경제, 신체적 여건보다는 정신적인 것에 훨씬 더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합니다.
1
네 요즘은 그 정신적인 케어에 타인이 자식을 비난하는 것에 대한 보호도 포함되어 있죠....
얼그레이
다들 좋은말씀만 해주셨는데 전 고 심현희님 같은
신경섬유종의 사례를 보면

그 정도로 외모나 건강상에 치명적인 유전병일경우는
굳이 자식을 낳아야되나 싶기도합니다..
세금잘내시고 범죄저지르지않고 이런문제가 아니라

그냥 내 자식이 나로 인해 고통받는게 싫어서요ㅜ
선생님 의견은 찬반이 많이 갈리는 의견이라 제가 어떻게 답을 내릴 순 없지만....
일단 태어나는 건 현재 시대에 막을 수 없고/막는 것도 범죄이니 태어난 후에도 최대한 고통받지 않게 최선을 다해 케어해 주는 것이 상책 아닐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 그 최선이란게 매우 어려워서 문제지만요.
어쩌면 현 사회가 바라보는 정상성의 개념이 얼마나 과도히 승자 지향적으로 형성되어 있는지를 드러내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어떤 요소가 되었든 편리와 용이라는 문제로 인해 우열이 갈라질 수 있겠지요. 몸놀림이 빠르다든가 계산에 능하다든가 하는 특성에 관한 문제들부터 결손이란 측면에 이르기까지. 그 모든 것들에서 우리는 은연중 열이 아닌 우에 해당하는 특성에 정상이란 기표를 부여하는 경향을 보이곤 하죠. 사실 이는 많은 이들에게서 내면화된 편이지만, 이를 그렇게 철저히 드러내는 사람이 많진 않아요. 다만 그런 이들에겐 공통적인 행동양식이... 더 보기
어쩌면 현 사회가 바라보는 정상성의 개념이 얼마나 과도히 승자 지향적으로 형성되어 있는지를 드러내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어떤 요소가 되었든 편리와 용이라는 문제로 인해 우열이 갈라질 수 있겠지요. 몸놀림이 빠르다든가 계산에 능하다든가 하는 특성에 관한 문제들부터 결손이란 측면에 이르기까지. 그 모든 것들에서 우리는 은연중 열이 아닌 우에 해당하는 특성에 정상이란 기표를 부여하는 경향을 보이곤 하죠. 사실 이는 많은 이들에게서 내면화된 편이지만, 이를 그렇게 철저히 드러내는 사람이 많진 않아요. 다만 그런 이들에겐 공통적인 행동양식이 존재하지요.

이러한 낙인과 낙인찍기의 방식이 철저히 고착화된 이들에겐, 어떤 측면에서든 비정상의 낙인을 달게 된 개체들의 집단이 현 사회 전반이며, 그들 스스로가 그 중 하나라는 사실만이 남게 되죠. 그런 이들이 자존을 유지할 수 있는 방책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안정적인 하위조직(이라 그들 스스로만 생각하는)을 확보하여 정상성의 서열 내에서 스스로를 온존하게 만드는 것. 그래서 조금 더 뚜렷하게 드러나고 불편이 큰 것으로 여겨지는 영역에 대해 가감없는 구분짓기를 시도하지요. 장애는 그 수단 중 하나일 뿐이겠죠. 특성에 대한 고찰이 드러난 게 아닌, 그저 열위를 강조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비하 정도의 시야일 뿐이란 거죠. 가난 속에서 맺어진 부부가 자녀에게 가난과 익숙한 환경을 제공하는 모습이 보인다면 또 비슷한 게시물이 등장하겠죠. 뭐 그 뿐일까요.

사회 전반이 내면화한 정상성의 서열화는 사실 그 자체로 위협적이긴 합니다. 그럼에도 그 사회 전반이 차별을 일상화하진 않아요. 나쁜 행위에 대한 기준이 있고, 무엇보다도 그 감각 자체가 차마 떨치진 못하면서도 스스로를 위협하고 있다는 자각은 어느 정도 되어 있으니. 문제는 그런 서열화란 감각에 몹시 충실한 이들이 되겠죠. 그래서 스스로를 지킨답시고 저런 글을 쓰는 것으로만 일상을 연명할 수 있는 이들이.
3
선생님 댓글 또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장문의 분석글 감사합니다 ㅎㅎ...
아참 저 이 글 쓰고 홍차넷 회원분들이랑 화초 심는 꿈꿨읍니다 ㅠㅠㅠㅠㅠㅠ
1
하마소
그러고보니 저번에 요리 모임 해보고 싶으시단 말씀 기억납니다 ㅋㅋㅋ 어떻게 의사가 있으신지?_?
아직 직장생활이 안정되지 않았읍니다.....자리도 불안하고요 ㅠㅠㅠ 그래서 무한정 미뤄지고 있지만 의사는 있읍니다.
1
요즘에 서울이나 강남에 아파트 안해줄거면 안낳는게 낫지 않냐는 인식 꽤나 생각보다 대학생들에게 많습니다.
인터넷 밈인줄만 알았는데 실제로도 있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71 교육학혹 가해자와 방관자가 동급으로 묶이는게 맞는가요? 18 OneV 23/02/10 3172 1
14373 여행일본 1박2일 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tannenbaum 23/01/14 3718 1
14370 가정/육아혹시 이런 형태의 원터치 동전지갑 윗부분을 뭐라고 부르나요? 8 23/01/13 3077 1
14363 기타귀울림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23/01/12 2410 1
14348 의료/건강불안장애 완화에 도움될 수 있는 조언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2 경제학도123 23/01/09 2774 1
14304 철학/종교기독교인은 모두 죄인인가요? 23 리니시아 22/12/28 4827 1
14262 기타빨래 건조기 실내설치 or 배란다 설치시 문제점 있을까요? 14 copin 22/12/18 4886 1
14246 기타광주 부모님 모시고 갈 식당 11 레카미에 22/12/12 4581 1
14214 기타마니또 선물 (15000원 상당) 추천해주세요 3 똘빼 22/12/04 4732 1
14176 체육/스포츠(서울) 월드컵 볼만한 술집 있을까요? 2 wwe13kane 22/11/23 2476 1
14102 IT/컴퓨터아이폰 프로 12,13,14 구매의견 11 오디너리안 22/11/07 3683 1
14075 연애여친 입냄새가 심해지는거 같은데 뭐라고 말해주죠.. 19 [익명] 22/10/30 4760 1
14013 기타잘하고 싶은데 벽을 만나서 고민듭니다. 8 활활태워라 22/10/17 4028 1
13967 기타여드름 연고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22/10/07 2903 1
13944 기타[짤주의] 장애인들과 유전병 환자들의 인식에 대한 궁금증 24 설탕 22/10/02 4011 1
13927 기타'마약청정국'이란 말이 근거가 있는건가요? 3 닭장군 22/09/28 4389 1
13864 연애연애상대를 만나는 방법 24 [익명] 22/09/12 4478 1
13843 기타디퓨저 질문입니다 6 김치찌개 22/09/07 3204 1
13750 기타스트리밍 플랫폼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22/08/13 3386 1
13685 교육경매학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메존일각 22/07/27 2564 1
13624 기타잘모르는 분과 영화 보러 가기로 했습니다. 44 활활태워라 22/07/14 4471 1
13621 법률사촌의 사업에 들어간 아버님의 대출금 어떻게 행동하는것이 좋을까요? 23 cummings 22/07/12 3395 1
13591 가정/육아에어컨이 말썽입니다. 6 Ye 22/07/06 3455 1
13601 댓글잠금 법률이준석 대표 관련 의혹 질문입니다. 19 물사조 22/07/08 3707 1
13560 기타메신저백이나 브리프케이스?같은 걸 찾고 있습니다 13 Otaku 22/06/29 4482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