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2/09/21 11:42:38 |
Name | OshiN |
File #1 | linear_to_rotary.gif (13.5 KB), Download : 3 |
Subject | 이 액추에이터가 잘 돌아갈까요? |
왕복직선운동 하는 에어실린더로부터 일방향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컨셉을 설계해봤는데요, 가공의 어려움은 둘째치고 문제없이 잘 돌아갈까 판단하기 어렵네요. 언뜻 봤을 때 작동에 문제의 소지가 될 것 같은 부분이 있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0
|
동작 1을 내리는 동작, 동작 2를 올리는 동작이라 하고
위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1, 아래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2라고 했을 때,
동작 1이 끝나고 나서 동작 2로 전환될 때 기어 2랑 원형기어부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어보이고
동작 2가 끝나고 나서 동작 1로 전환될 때 기어 1과 원형기어부에 간선이 일어날 수 있어보입니다.
아주 정밀하게 가공될 경우 몇 mm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스치며 잘 작동되겠지만 부품 내부에서 마모나 열팽창 등으로 인해 변형이 있을때 파손될 수도 있을거 같네요.
근데 설계하신 대로라면... 더 보기
위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1, 아래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2라고 했을 때,
동작 1이 끝나고 나서 동작 2로 전환될 때 기어 2랑 원형기어부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어보이고
동작 2가 끝나고 나서 동작 1로 전환될 때 기어 1과 원형기어부에 간선이 일어날 수 있어보입니다.
아주 정밀하게 가공될 경우 몇 mm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스치며 잘 작동되겠지만 부품 내부에서 마모나 열팽창 등으로 인해 변형이 있을때 파손될 수도 있을거 같네요.
근데 설계하신 대로라면... 더 보기
동작 1을 내리는 동작, 동작 2를 올리는 동작이라 하고
위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1, 아래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2라고 했을 때,
동작 1이 끝나고 나서 동작 2로 전환될 때 기어 2랑 원형기어부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어보이고
동작 2가 끝나고 나서 동작 1로 전환될 때 기어 1과 원형기어부에 간선이 일어날 수 있어보입니다.
아주 정밀하게 가공될 경우 몇 mm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스치며 잘 작동되겠지만 부품 내부에서 마모나 열팽창 등으로 인해 변형이 있을때 파손될 수도 있을거 같네요.
근데 설계하신 대로라면 cummings 님 말씀대로 중간중간 원형기어가 멈추는 구간이 있는데,
왕복운동을 회전으로 바꾸는 거라면 (중간중간 정지되는 회전이 아니라 계속 도는 회전이라면) 크랭크를 쓰셔도 되지 않을까요...
위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1, 아래쪽 직선 기어부를 기어 2라고 했을 때,
동작 1이 끝나고 나서 동작 2로 전환될 때 기어 2랑 원형기어부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어보이고
동작 2가 끝나고 나서 동작 1로 전환될 때 기어 1과 원형기어부에 간선이 일어날 수 있어보입니다.
아주 정밀하게 가공될 경우 몇 mm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스치며 잘 작동되겠지만 부품 내부에서 마모나 열팽창 등으로 인해 변형이 있을때 파손될 수도 있을거 같네요.
근데 설계하신 대로라면 cummings 님 말씀대로 중간중간 원형기어가 멈추는 구간이 있는데,
왕복운동을 회전으로 바꾸는 거라면 (중간중간 정지되는 회전이 아니라 계속 도는 회전이라면) 크랭크를 쓰셔도 되지 않을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