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7/25 09:20:20
Name   [익명]
Subject   부모 자식간 전세계약에 관하여
개인사가 담긴지라 익명으로 작성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결혼을 진행하게 되면서, 상대방 부모님이 현재 살고 계신 집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로 내어 주신다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해당 주택의 현재 전세 시세는 3억 ~ 4억으로 보이는데, 제안 주신 가격은 1억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시세보다 저렴하게 계약하게 되는데, 증여세 등 별도의 세금이 발생하거나 위법적인 요소가 있는지
2.해당 계약을 근거로 전세대출을 일으킬 수 있는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가족끼리 전세계약해서 전세대출 가능은 합니다.
(부모 자식간은 안되는군요 ㅠ)
다만 증여문제 + 자금출처조사 때문에 주변 시세정도의 금액으로 정상적인 계약을 해야 전세대출을 할 수 있읍니다.

주변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전세계약을 하게되면 부모-자식간 증여로 간주하기 때문에 계약이 무효 처리 될 수 있읍니다.

그냥 계약서 없이 들어가서 사는건 안되나요 ??
흰긴수염고래
1. 증여입니다.

2. 부모-자녀간 전세계약은 대출이 안됩니다. 그런데 장인-사위, 시부-며느리는 전세대출이 나오는걸로 압니다.

3억으로 전세계약서를 정식 작성하고 1억은 드리고 2억은 대출계약서를 4.6%로 작성하면 증여세 없이 무이자대출가능합니다.
1
1. 차이나는 소액 전세금만큼이 아닌, 차이나는 저가양도대상 전세금의 간주임대료만큼이 증여로 간주됩니다.
다만 별도의 증여가 없다면 부모자식간 기본공제액이 10년에 5천만원이니 1년에 임대료가 500만원 이하면 크게 세액은 안생깁니다.

2. 등록등본상 같이 포함되지 않는 2인간의 전세계약은 일반적으로 가능합니다.
다만, 전세금을 저가로 설정하는 경우 심사단계에서 특수관계임이 걸리거나 기타등등 사유로 거부될 수 있긴 합니다.
http://newslabit.hankyung.com/article/2017040559391
여기에 1번 답이 있는 것 같은데요. 결론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입니다.
+) 그리고 처가쪽 어르신들이 급전 1억이 필요하신 게 아니라면 대출을 받아서 이자 내기보다 월세계약을 하고 돈을 드리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글쓴이]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 주신 내용 참고하여 저도 서치를 좀 해봤는데, 13억 이하의 주택의 경우 무상으로 임대하더라도 5년간 무상사용이익이 1억을 넘지 않아 비과세인 것으로 보이는데, 맞을까요? (참고한 문서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33980#home)
물사조
2번 대출이 나오는지는 은행에 문의해보아야 할 거 같고 1번 증여세등의 문제에 있어서는

세법에서는 보증금만 주고 받아도 무상임대가 아닌 [유상임대]로 취급합니다. 뭐 보증금 받아서 은행에 넣으면 이자소득이라도 나오는 거 아니냐 이런 논리였을 겁니다.

그래서 본문의 내용과 같이 1억에 보증금을 하면 저가유상임대로 취급되어 1년마다 증여이익을 계산하게 되고 시가의 70%을 기준으로 하게 될 겁니다. 현재 계산에 적용되는 금리가 1.2%인가로 낮은 편이어서 전세시가 4억을 1억에 한다고 ... 더 보기
2번 대출이 나오는지는 은행에 문의해보아야 할 거 같고 1번 증여세등의 문제에 있어서는

세법에서는 보증금만 주고 받아도 무상임대가 아닌 [유상임대]로 취급합니다. 뭐 보증금 받아서 은행에 넣으면 이자소득이라도 나오는 거 아니냐 이런 논리였을 겁니다.

그래서 본문의 내용과 같이 1억에 보증금을 하면 저가유상임대로 취급되어 1년마다 증여이익을 계산하게 되고 시가의 70%을 기준으로 하게 될 겁니다. 현재 계산에 적용되는 금리가 1.2%인가로 낮은 편이어서 전세시가 4억을 1억에 한다고 하더라도 3억에 대한 년 이자 360만원 정도의 이익을 계산하면 되고 증여세가 책정된다고 하더라도 년 36만원이라 이걸로 문제 될 일은 크게 없지 않나 싶은데 그래도 시가 13억 이하면 서치한 결과와 같이 그냥 [무상임대]가 나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이 다른 주택임대가 2채 이상 있고 보증금 합계가 3억 이상인 경우 전세보증금으로 인한 주택임대소득이 다소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소득세가 늘게 됩니다. 아닌 경우라면 상관 없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746 경제세입자가 먼저 집을 빼는 경우 대처방안 13 [익명] 22/08/12 5108 0
13733 경제보금자리론 이 후 매매 질문입니다. 이직해야한다 22/08/10 5553 0
13719 경제청년,자영업자 민생구제정책 근황 아비치 22/08/06 4444 0
13680 댓글잠금 경제이자율 평형(Interest Rate Parity)가설은 왜 안 맞는가? 1 [익명] 22/07/26 4076 0
13671 경제부모 자식간 전세계약에 관하여 6 [익명] 22/07/25 5990 0
13652 경제소고기 인터넷 판매점 추천해주실분? 7 danielbard 22/07/19 5080 0
13637 경제집주인이 전세금을 6천올려달라고하네요 이사문제 12 수원호두 22/07/17 5662 0
13630 경제기업은행 중금채, 산업은행 산금채 상품은 예금과 비교해서 무슨 장점이 있나요? 10 레디미르 22/07/15 5224 0
13620 경제해외 구매를 했는데 결제 금액이 이상합니다 5 서당개 22/07/12 4314 0
13605 경제미국 개별주식 공매도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홍당무 22/07/08 4267 0
13597 경제이런 대출 대환 방식이 있나요??? (사기 판별) 15 아비치 22/07/07 4382 0
13586 경제이런경우에는 전세지킴보증 가입가능한가요? 1 [익명] 22/07/05 3767 0
13557 경제저축은행 대출시 신용등급에 문제 없을까요? 11 [익명] 22/06/29 4908 0
13546 경제집 이사를 하려는데 전세가 안 나갈거 같네요. 도움이 필요합니다! 6 [익명] 22/06/28 4447 0
13517 경제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궁금증 7 22/06/19 4354 0
13492 경제금 값에 대해서 + 반지 판매 2 아비치 22/06/14 3970 0
13444 경제김우중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봐야 객관적인가요? 19 Cascade 22/06/02 5296 0
13440 경제신용대출 문의 3 [익명] 22/05/31 4006 0
13430 경제수도권으로 이사가는 게 맞을까요? 19 보리건빵 22/05/30 3764 0
13429 경제신혼집 마련 고민입니다. (살까/말까) 27 toys_ 22/05/30 4348 0
13418 경제월매출 1억인 사업장에서 핵심적인 직원한텐 얼마를 줘야할까요? 12 [익명] 22/05/28 4574 0
13392 경제대출상담사 추천 받을 수 있을까요? 5 배바지 22/05/19 4740 0
13380 경제선팅 추천좀 부탁드려요 8 copin 22/05/17 3940 0
13341 경제매출이 높으면 법인사업자로 등록하는게 무조건 유리한가요? 5 [익명] 22/05/08 4438 0
13337 경제요즘 코인 괜찮나요? 8 마타다 22/05/06 410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