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2/04/17 22:25:42 |
Name | [익명] |
Subject | 우울증 약 시작하면 단약 할 수 있을까요? (수정) |
안녕하세요. 글이 굉장히 두서 없고 의식의 흐름대로 썼기에 무슨 어린애가 썼나 싶을 수도 있어요. 양해 부탁드려요. 인터넷에서 각종 우울증 검사하면 늘 점수가 높게 나왔고, 연말에 지역정신건강센터에서 테스트 해봤을때 대체적으로 특성불안척도 66점, 벡 우울척도 28점, 불면증 심각도 26점으로 점수가 다 높게 나오더라구요. 그 때 담당해주셨던 분이 유일하게 그나마 없는게 자살 욕구라 다행이라고 꼭 근처에 병원 가보라고 하시던게 지금에서야 병원에 가게 됐어요. 그 전까지는 갈 의지조차 없었어요. 건강을 위해 시작한 운동도 시작한지 한달 가까이 됐고 이제 겨우 용기가 나서 병원에 갔어요. MMPI2 검사도 받았는데 그 검사 결과 보기도 전에 선생님이 약 먹어보자, 세르토닌 분비 시스템이 고장나면 강제로라도 분비 시켜야된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검사 하고.. 낮밤 수면제 포함한 다섯알을 보니 너무 무섭더라구요. 그래서 수면제는 빼고 네알만 먹었어요. 주변이나 인터넷 등을 보면 약을 드시기 시작한 분들 중에 단약한 케이스를 유튜브 몇 명 빼고는 거의 보질 못 했어요. 다들 몇년 째 먹고 있다, 먹고 있을 때는 증상이 나으나, 줄이거나 단약하면 다시 원상복귀 된다라고 하는 글이 너무 많더라구요. 단약도 의사와 잘 협의해서 끊어야 할 때 끊어야 한다는거 알고 있어요. 그런데 그래도 다시 재발할 확률을 보게 됐는데 너무 높더라구요. 특히 오래된 우울증일수록 더더욱요. 저도 혹시라도 그렇게 될까봐 무섭구요. 우울증이 마음의 감기이고 질병일 뿐이지만 약을 오랫동안 복용한다는건 그만큼 압박감과 더 심한 강박이 생기기도 하고 사람들 앞에서 약 먹을 때는 어떻게 말해야할지도 두렵구요. 제가 사업 하고 있는데 무기력증이 너무 심해지고 CS로 인해 사람이 무서워져서 일을 계속 미루게 되서 매출감소까지 직격타로 맞은 상태라 나아져야 한다는건 알겠는데 왜 이렇게 약이 두려운지 저도 모르겠어요. 약을 먹었을 때의 나나 약을 먹지 않았을 때의 나와의 괴리감은 어떻게 견뎌야할까요? 불면증도 있는데 예전에 수면 검사 했을 때 불면증 중간단계로 나와서 수면제도 사실 먹어야하는데 수면제만큼은 피하고 싶어서 약 빼달라 할건데 괜찮겠죠? 약 먹고 자는 시간이 그래도 빨라지긴 했거든요. 자고 싶은 피로감도 들고... 우울을 느낀건 어릴때 부터였던거 같아요. 중학교 때 수업하면서 교과서를 보고 있는데 뜬금 없이 선생님이 절 부르더니 'ㅇㅇ아, 넌 얼굴이 왜 그렇게 그림자가 져있어?'라고 물어보더라구요. 그 말이 되게 콕 박혔는데 그 때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어요. 그냥 다른 사람들도 자기만의 그림자가 있는거 아닌가 싶었거든요. 근데 그 그림자가 사라지지 않고 십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 저를 옭아메고 영향력을 끼치네요. 과거에서도 잘 못 빠져 나오구요. 약으로 이런것들에 대해 효과는 점점 보겠지만 이 약을 10년 20년 먹으라면 먹지 못 할 거 같아요. 그래도 먹어야 하나요? 0
|
3년 8개월차입니다.
평균 3-4알(*갯수보단 용량이 중요하겠죠)
많이 먹을 땐 8-9알까지도 갔었고,
지금은 일주일에 3회분, 반 알(더 줄일 수 없는 최소치) 먹고 있습니다.
별 일 없음 다다음달즈음 약 끊자고 하시네요.
그리고 수면의 질은 정말정말정말 중요합니다.
의사쌤이 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처방하신 거면 다 챙겨 드셔요.
행운을 빌겠습니다.
평균 3-4알(*갯수보단 용량이 중요하겠죠)
많이 먹을 땐 8-9알까지도 갔었고,
지금은 일주일에 3회분, 반 알(더 줄일 수 없는 최소치) 먹고 있습니다.
별 일 없음 다다음달즈음 약 끊자고 하시네요.
그리고 수면의 질은 정말정말정말 중요합니다.
의사쌤이 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처방하신 거면 다 챙겨 드셔요.
행운을 빌겠습니다.
저는 가족이 조현병 약을 먹고 있어서 나는 절대 미치지 말아야지 라는 생각에 정신과 약 먹는 것에 거부감이 너무 강했어요. 하지만 당장 너무 생활이 안 되고 당장 죽을 것 같아서 조울증 약을 먹게 되었어요. 단약이요? 언젠간 좋아지면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단약이 지금 저의 급한 문제는 아닙니다. 저는 지금 당장 살아야 해서 당장 필요하니까 먹는 거라서요. 직업상 예전의 저와 마찬가지로 정신과 약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이 강한 사람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그분들의 신념을 바꾸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더군요. 선택은 각자의 몫이예요. 그래서 그냥 저는 이렇다는 얘기를 시간이 남는 김에 드리고 싶었어요.
당뇨 걸리면 평생 관리하듯 우울증도 비슷하다 봅니다. 저는 신뢰할 만한 의원을 찾아서 선생님이 하라는대로 먹습니다. 그런데 안 먹는 다른 불안정한 친구들은 약에 중독될까봐 점점 위태로운 수렁으로 빠져들더라고요.
나는 천성적으로 우울하다. 이건 체질적인 문제랑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일상생활에 문제가 가는 것은 뭐 선천적인 질병이나 마음의 병이나 크게 다르겠어요?
우울증은 너무나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라 약 종류도 참 다양해요. 걱정 말고 좀 더 드셔보세요. 전 그냥 평생 먹는다 생각하고 살아요. 그렇지만 제때 관리하지 ... 더 보기
나는 천성적으로 우울하다. 이건 체질적인 문제랑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일상생활에 문제가 가는 것은 뭐 선천적인 질병이나 마음의 병이나 크게 다르겠어요?
우울증은 너무나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라 약 종류도 참 다양해요. 걱정 말고 좀 더 드셔보세요. 전 그냥 평생 먹는다 생각하고 살아요. 그렇지만 제때 관리하지 ... 더 보기
당뇨 걸리면 평생 관리하듯 우울증도 비슷하다 봅니다. 저는 신뢰할 만한 의원을 찾아서 선생님이 하라는대로 먹습니다. 그런데 안 먹는 다른 불안정한 친구들은 약에 중독될까봐 점점 위태로운 수렁으로 빠져들더라고요.
나는 천성적으로 우울하다. 이건 체질적인 문제랑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일상생활에 문제가 가는 것은 뭐 선천적인 질병이나 마음의 병이나 크게 다르겠어요?
우울증은 너무나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라 약 종류도 참 다양해요. 걱정 말고 좀 더 드셔보세요. 전 그냥 평생 먹는다 생각하고 살아요. 그렇지만 제때 관리하지 못하는 것보다 몇 배는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살아요. 실제로 그렇고요.
(+) 그리고 못 자는 것보다 의사의 합리적인 처방이 있는 수면제를 먹는 쪽이 정신적으로도 신체적으로도 좋습니다. 제가 만성 불면증 환자였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나는 천성적으로 우울하다. 이건 체질적인 문제랑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일상생활에 문제가 가는 것은 뭐 선천적인 질병이나 마음의 병이나 크게 다르겠어요?
우울증은 너무나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라 약 종류도 참 다양해요. 걱정 말고 좀 더 드셔보세요. 전 그냥 평생 먹는다 생각하고 살아요. 그렇지만 제때 관리하지 못하는 것보다 몇 배는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살아요. 실제로 그렇고요.
(+) 그리고 못 자는 것보다 의사의 합리적인 처방이 있는 수면제를 먹는 쪽이 정신적으로도 신체적으로도 좋습니다. 제가 만성 불면증 환자였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단약을 못할까봐 약 복용 시작 못하는건
마치 요요 올까봐 무서워서 다이어트 못하는 사람이랑 비슷한것같아요...
우울증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많이 좋아졌습니다. 연예인들이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자연스레 말하는 것이 대표적이에요. 정말 세간에 부정적인 인식이 크다면 그들은 함부로 그런 말을 하지 않습니다. (성지향성을 커밍아웃한 국내 유명 연예인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단약을 두려워 마시고, 당장의 회복에 집중하세요-
마치 요요 올까봐 무서워서 다이어트 못하는 사람이랑 비슷한것같아요...
우울증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많이 좋아졌습니다. 연예인들이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자연스레 말하는 것이 대표적이에요. 정말 세간에 부정적인 인식이 크다면 그들은 함부로 그런 말을 하지 않습니다. (성지향성을 커밍아웃한 국내 유명 연예인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단약을 두려워 마시고, 당장의 회복에 집중하세요-
공황장애약을 십 년 넘게 먹고있습니다.
주변에서 아무도 신경 안 씁니다.
그리고 본문에 걱정하시는 내용 상당수가 약드시면 사라지실 것들이 상당할 겁니다.
저만해도 약 먹으면 잔걱정이나 말도 안 되는 불안, 걱정이 사라지거든요. 전 요새는 한 달에 한 두 번 먹을까말까 합니다.
왜 단약 걱정을 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으로 평생 약 먹는 사람들도 많지만 약 먹는 거보다 안 먹어서 생길 문제가 우선아닐까요?
물론 이해는 합니다.
저도 전공이 심리학... 더 보기
주변에서 아무도 신경 안 씁니다.
그리고 본문에 걱정하시는 내용 상당수가 약드시면 사라지실 것들이 상당할 겁니다.
저만해도 약 먹으면 잔걱정이나 말도 안 되는 불안, 걱정이 사라지거든요. 전 요새는 한 달에 한 두 번 먹을까말까 합니다.
왜 단약 걱정을 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으로 평생 약 먹는 사람들도 많지만 약 먹는 거보다 안 먹어서 생길 문제가 우선아닐까요?
물론 이해는 합니다.
저도 전공이 심리학... 더 보기
공황장애약을 십 년 넘게 먹고있습니다.
주변에서 아무도 신경 안 씁니다.
그리고 본문에 걱정하시는 내용 상당수가 약드시면 사라지실 것들이 상당할 겁니다.
저만해도 약 먹으면 잔걱정이나 말도 안 되는 불안, 걱정이 사라지거든요. 전 요새는 한 달에 한 두 번 먹을까말까 합니다.
왜 단약 걱정을 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으로 평생 약 먹는 사람들도 많지만 약 먹는 거보다 안 먹어서 생길 문제가 우선아닐까요?
물론 이해는 합니다.
저도 전공이 심리학과였고 임상,상담심리도 어쨌든 이수해놓고 무려 3년 이상 버티다가 결국 약을 먹었으니까요ㅎ
주변에서 아무도 신경 안 씁니다.
그리고 본문에 걱정하시는 내용 상당수가 약드시면 사라지실 것들이 상당할 겁니다.
저만해도 약 먹으면 잔걱정이나 말도 안 되는 불안, 걱정이 사라지거든요. 전 요새는 한 달에 한 두 번 먹을까말까 합니다.
왜 단약 걱정을 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으로 평생 약 먹는 사람들도 많지만 약 먹는 거보다 안 먹어서 생길 문제가 우선아닐까요?
물론 이해는 합니다.
저도 전공이 심리학과였고 임상,상담심리도 어쨌든 이수해놓고 무려 3년 이상 버티다가 결국 약을 먹었으니까요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