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2/26 10:35:33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전산파트에서는 무엇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공공부문 재직자입니다.

저희 회사는 순환근무제로, 금번 인사발령에 의해 기관 정보시스템 구축(데이터 연계 포함)과 내부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 전산직들과의 협업 및 필요하다면 외주를 불러 시스템을 구축하고, 내부사용자들의 에러 또는 시스템 개선 요청 피드백을 모아 유지보수팀으로 전달하는 업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선임분들은 당분간 db에 접근하는 쿼리문만 잘 찍어도 된다..고 하지만,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타 회사와의 데이터 연계 사업에 요구되는 전산환경의 이해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회사가 사용하는 db솔루션(?)은 오러클과 제우스입니다.)

그리고 저는 비전공자로 해당 업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엔 아직 미치지 못함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으나, 무엇에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알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개략적인 배경을 말씀드리면, 저는 컴활 1급 액세스 공부를 하며 습득한 db구축에 대한 개념, 귀동냥으로 vba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간트 차트를 만들어본 사무자동화 경험, 파이썬을 이용한 데이터 크롤링 예제를 실습해본 경험이 아주 약간 있습니다.

현재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강하다 내버려둔 fastcampus 사무자동화과정(오토핫키 파이썬 엑셀 매크로 등을 다루는 과정입니다)을 마저 듣는다
2. 선임에게 권유받은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책을 우선 읽는다
3. 컴퓨터학원(?)에 등록한 뒤 업무 후 학습시간을 가진다
4. 회사에서 단기성으로 보내주는 교육출장을 듣는다 > 아직 일정은 잡혀있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임을 고려할 때, 홍차넷 여러분들이라면 어떤 방식으로 업무 이해도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실지 질문드립니다.

덧. 해당 내용은 회사가 특정될 수 있는 염려로 부득이하게 24시간 후 삭제옵션을 설정했습니다.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0


너무광범위하네요..
일단은 시스템에 부하가 적은 SQL문을 쓰고 DB 설계를 최적화해가는 방안, DB 이중화, 백업 전략 이런것들을 이해하기 위해 DB관련 공부를 해야할 것 같고요
외부 및 내부 전산과의 연계 등은 사실 네트워크 엔지니어의 역량도 있어야하고 인프라 아키텍쳐,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와 같은 것들이 같이 들어가는거라서 쉽게 뭘 하면 익힐 수 있다 말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회사에서 어떤 식으로 전산에 대한 요구가 있는지도 사실 저희는 알 수 없어서..
전산시스템 유지보수 및 개발을 아마 자체적으로 다 하지 않으실테고 전문가집단(외주사나 뭐 자사 IT팀 등)을 통해 같이 일하시게 될테니 기존 업무메뉴얼 및 담당자로서 해야하는 선부터 잘 정리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글쓴이]
말씀주신대로 유지보수 및 개발을 실제로 진행하진 않습니다. 다만, 일선에서 발생한 이슈를 외주사나 it팀에게 구조적으로 어떻게 개선해야하는지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이 요구될 것 같습니다.

이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부시스템에 대한 구조(프론트엔드)와 디비관련 공부(백엔드)가 필요할 것이고,

이와 별개로 내외부 전산망 연계에 필요한 제반 지식은 매뉴얼화된 무언가가 없어 그때그때 필요한 정도 선에서 익혀가야하는 걸로 이해하면 될까요?
코딩보다는 시스템 구조에 대한 지식이 더 필요하실것 같네요. 사람들이 많이 오해하는게 코딩을 배우다 보면 SW 시스템 구조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별개거든요.
일단은 2번을 보시면서 DB시스템에 대한 공부를 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위 거소님 말씀대로 인프라/SW구조에 대해 공부가 필요할텐데 입문자용으로 체계적으로 공부할만한데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파편화된 강의는 유튭에 많은데... 아래 영상이 개념잡기엔 괜찮은것 같아요.
https://youtu.be/9aPgWtLuxP8
개발자 아키텍트 역할 차이 그리고 아키텍트가 되려면 (feat.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도서 내용 중에서)

아마 pm롤 이신것 같은데, 나름 좋은 직군이니 화이팅!! 입니다. ㅎㅎ
[글쓴이]
pm 직무를 일단 더 찾아보아야할 것 같습니다. 영상 추천 감사합니다!
0. 행정이 우선입니다. 소프트웨어 진흥법/시행령/시행규칙/관련 지침, sw설계 가이드 읽어보십시오
1. 일정관리/인력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PM과 소통을 꾸준히 하십시오.
2. 도메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사내에 어떤 데이터가 어떤 테이블에 있는지 파악하십시오. SELECT FROM WHERE는 그 다음입니다.
3. 사내 인프라 파악이 필요합니다. 어느 시스템이 어느 서버에 올라가 있고, 방화벽은 어느 위치에서 가로막고 있는지.. 담당자에게 끊임없이 질문하십시오.
4. 코드 읽기, 코드 작성을 할 확률은 거의 없으니 이쪽 공부는 안 하셔도 됩니다.
5
[글쓴이]
정말 감사합니다!
저 신입때 Factory automation 팀으로 발령 받았는데 IT에 대해 아는건 컴퓨터 조립 해본거랑 학교에서 코딩 관련 교양 수준 수업 들은 정도였는데… 나중에는 다들 제가 전산전공인줄 알더라고요. ㅋㅋ
[글쓴이]
저도 그렇게 되겠죠? 열심히 해야겠어요
人在江湖
1. 직접 코딩을 하지 않으신다면 꼬았님 댓글처럼 자원(일정/인력) 관리가 더 중요하실 수 있습니다.
2. Oracle(DBMS)와 Jeus(WAS)의 구분이 아직 어렵다면 IT시스템의 구성을 이해하시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예전에 모아놨던 건데, 아래 링크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 IT 기술 노트 (추천) : https://wikidocs.net/book/2184
- IT 인프라 : ... 더 보기
1. 직접 코딩을 하지 않으신다면 꼬았님 댓글처럼 자원(일정/인력) 관리가 더 중요하실 수 있습니다.
2. Oracle(DBMS)와 Jeus(WAS)의 구분이 아직 어렵다면 IT시스템의 구성을 이해하시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예전에 모아놨던 건데, 아래 링크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 IT 기술 노트 (추천) : https://wikidocs.net/book/2184
- IT 인프라 : https://futurecreator.github.io/2018/11/09/it-infrastructure-basics/
- IT/전산직을 위한 인프라 추천 : https://seobinggo.com/170
- (도서)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최원영, 20.7) : http://www.yes24.com/Product/Goods/91165789
- 주니어 기획자를 위한 추천 도서 : https://yslab.kr/143
[글쓴이]
주신 링크 주말 간 열심히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70 가정/육아부모님의 그릇된 믿음을 받아주기가 너무 힘들어요 2 [익명] 20/06/11 3776 0
10327 게임게임산업 상식은 어떤게 있을까요? 11 [익명] 20/10/25 3776 0
8863 기타디스코드 접속 테스트 도와주실분? 2 토비 20/02/26 3777 0
10196 기타무선이어폰 추천 2 whenyouinRome... 20/10/01 3777 1
13942 문화/예술맥주 취향 단계? 그 짤 갖고 계신 분? 8 化神 22/10/02 3777 0
5147 여행평창 흥정계곡 갔다 와 보신 분 계신가요?? 원스 18/07/27 3778 0
6893 기타회사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8 crowley 19/04/04 3778 0
8031 진로박사수료 후 진로 상담 부탁드려요 (본문 삭제) 12 별다섯그랑호텔 19/10/13 3778 0
9457 가정/육아에어컨을 구매해야 합니다. 16 RedSkai 20/05/21 3778 0
9523 기타보관이사 2 앤드류 20/06/02 3778 0
10943 경제전세냐 월세냐의 선택 (집주인 입장에서) 20 [익명] 21/02/02 3778 0
13627 IT/컴퓨터이정도면 이륙해도 될까요?! 8 DogSound-_-* 22/07/14 3778 0
13797 기타스포티파이 질문입니다 3 김치찌개 22/08/26 3778 0
13870 기타LG TV 질문입니다 15 김치찌개 22/09/14 3778 0
2166 기타병원 인턴 취직 전 한달... 뭘 해야 좋을까요? 16 삼공파일 17/01/23 3779 0
3123 기타만화 제목을 찾습니다 5 MadTea 17/07/28 3779 0
3499 의료/건강뽀드락지 질문입니다 1 헬리제의우울 17/10/12 3779 0
8713 기타사이렌24와 NICE 같은 신용평가사는 어째서 제 개인정보를 가지고 있나요? 6 aquarosa 20/01/31 3779 0
8850 IT/컴퓨터안드로이드폰 웹서핑 영어사전 관련입니더 2 versa 20/02/24 3779 0
9836 체육/스포츠필라테스 평균 수강료 5 [익명] 20/07/26 3779 0
14373 여행일본 1박2일 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tannenbaum 23/01/14 3779 1
345 기타이거 뭐가 문제인가요??.jpg 5 김치찌개 15/10/13 3780 0
2581 여행비행기 장시간 환승 질문? - 중국 공항 6 별빛 17/03/30 3780 0
2615 여행40대후반에 가능한 배낭여행지가 있을까요? 13 알프 17/04/06 3780 0
3907 가정/육아갓 태어난 아이 선물 18 타는저녁놀 17/12/26 378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