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2/16 21:53:11
Name   [익명]
Subject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아야 할지 고민입니다.
30대중반 유부입니다.

최근 몇달간 야동과 자X를 하지 않았습니다. 성욕이 사라졌어요. 주변의 권유에 따라 병원에서 남성호르몬 수치를 검사했더니, 정상범주에 턱걸이하는 수치(3.0)가 나왔습니다. 의사선생님께서는 테스토스테론 주사 (예X스테론,네X도)를 권유하셨구요.

아래는 '테스토스테론 주사를 맞아야 하는가?'에 대한 저의 사고 전개과정입니다.

a.남성호르몬 주사는 맞으면 맞을수록 남성호르몬 자체 생산기능을 저하시킨다.
b.특별한 이벤트 없이 자연적인 노화에 의해 남성호르몬수치가 저하된 나의 현 상황을 고려해보면, 남성호르몬 생산기능이 향후 자연적으로 향상되긴 어려울것이고,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생산기능과 수치 모두 천천히 낮아질 것이다.
c.즉, 내 몸의 남성호르몬 자체생산기능은 i)주사를 맞을 경우엔 빨리 떨어질 것이고 ii)주사를 맞지 않으면 천천히 떨어질 것이다.
d.따라서, 주사를 맞을 경우엔, 떨어진 생산기능때문에 평생 맞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e.내 몸의 남성호르몬 수치는 i)주사를 '계속' 맞을 경우엔 높은 상태로 유지될 것이고 ii)주사를 맞지 않을 경우에는 점차 낮아질 것이다.iii)주사를 잠깐 맞다가 중단할 경우에는 재앙이 일어날테니 해당 경우는 고려치도 않는다.


---

따라서 저에겐 두가지 선택항이 있습니다.

A.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지 않는다.
장점 : 주사맞을 시간적 금전적 비용절감. 자체호르몬생산기능유지.
단점 : 낮은 남성호르몬 수치에서 오는 손해

B.남성호르몬 주사를 '계속' 맞는다.
장점 : 높은 남성호르몬 수치에서 오는 이득
단점 : 평.생.동.안 시간금전신경소모. 자체남성호르몬생산기능상실.



이렇게 둘을 놓고 고민중인데, 여러분이 제 상황에 서 계시다면 어떤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이유도 같이 적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제가 간과한 내용이 있면 꼭좀 알려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내용추가
Q.부작용은 왜 저거밖에 안써놨는가?
A.본문에서 언급하지 않은 남성호르몬주사의 부작용은 크게 세 갈래로 나뉘어져있는데
1.남성호르몬이 너무 높아서 생기는 부작용(탈모 전립선등) : 남성호르몬이 '너무' 높아지진않게 조절할것이고 해당질환 가족력등도 없어서 고려x
2.고환기능저하에서 오는 부작용 : 추가적인 자녀계획이 없어서 고려 x
3.맞다 중단해서 생기는 부작용: 위에서 적은대로 그건 계획에 없어서 고려X. 어떻게보면 첫 주사 놓는순간부터 영구적인 호르몬장애인이 된다는 가정으로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0


성생님은 익명이지만 저희는 아닙니다.. 흙흙

저도 묯년전에 유리테스토스테론 검사시 1.8라는 기록적인 수치가 나왔는데요. 놀랍게도 당시에는 3대 480정도 치는 건장한 호빗(165cm,68kg, 당시 34세) 이었읍니다. 의느님을 한 두군데 뵙고 왔는데, 아주 현명하는 선생님께서 단순히 남성호르몬 수치보다 그거에 반응하는 수용체? 가 잘 활성화 되어있으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안심시켜주셨어요. 평소에 성관계시 문제가 있으신게 아니라면 저얼대 저얼대 남성호르몬을 맞을 필요가 없습니다. 평생 불구되는 길이에요. 전 읍읍에 아무 문제... 더 보기
성생님은 익명이지만 저희는 아닙니다.. 흙흙

저도 묯년전에 유리테스토스테론 검사시 1.8라는 기록적인 수치가 나왔는데요. 놀랍게도 당시에는 3대 480정도 치는 건장한 호빗(165cm,68kg, 당시 34세) 이었읍니다. 의느님을 한 두군데 뵙고 왔는데, 아주 현명하는 선생님께서 단순히 남성호르몬 수치보다 그거에 반응하는 수용체? 가 잘 활성화 되어있으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안심시켜주셨어요. 평소에 성관계시 문제가 있으신게 아니라면 저얼대 저얼대 남성호르몬을 맞을 필요가 없습니다. 평생 불구되는 길이에요. 전 읍읍에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필요할 때 아주 잘 작동하고 아침에도 건강합니다.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여전히 낮아요. 다른 사람과 조금 다른점은 모발이 굵고 풍성하고, 수염이 덜 자라고, 성욕이 상대적으로 확실히 적은 것 같습니다. 제 경험을 참고하시고 돈과 건강과 시간을 낭비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
[글쓴이]
그렇네요..... 익명댓글이 안됐죠.... 댓글감사합니다... 성관계시 문제가...있습니다...
저도 검사할때 1년간 몸키우려고 금욕생활을 했던 때였어요 ㅎㅎ. 읍읍시 문제는 대부분 심인성인 경우가 큽니다. 의도적이라도 셀프타임도 자주 가지시는건 어떠신지요? 모쪼록 좋은 답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글쓴이]
정말 감사합니다. 쉽지 않은 이야기셨을텐데 말이죠.. 비가역적 시술인만큼 정말 신중하게 고려해보겠습니다
바닷내음
의사선생님 말이지만 최후의 수단이 아닐까 싶습니다.. 턱걸이긴 해도 정상범주 아닌가요. 운동을 열심히 하셔서 끌어올리는게 최선이 아닐까 싶어요
[글쓴이]
네 그럼 좋겠지만... 사실 지금까지도 매일 운동하고 좋은거챙겨먹고 나름 꽤 건강하게 살아왔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냉정하게 볼때 손댈수 있는 영역이 더 없네요... 흡연자라면 담배를 끊는 시도를할테고 비만이라면 살을 빼는 시도를 할텐데 다 해당이 안되니까 오히려 막막한 것 같습니다... 지금보다 운동을 더하는건 솔직히 제가 일반인인데 현실적으로 어려울거같아요
cummings
성생활이 문제시면 차라리 비아그라류를 복용하시고
성생활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그냥 신경쓰지않고 지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야동과 자위가 땡기지 않는게 호르몬주사를 맞는 이유인가요?;왜 맞고싶어하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이유라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글쓴이]
그게 왜 중요하냐고 물으실줄은 몰랐네요. 그건 뭐;; 어떻게보면 가치관 문제입니다만... 그냥 남성호르몬 수치는 저한테 있어서 중요합니다... 아마 이해가 안되시겠지만 저는 그냥 그래요.
호에로펜
운동을 꾸준히 하신다면 근력운동 비중을 더 늘려보시는거 어떨까요. 일단 호로몬 시술은 정말 최후의 수단이라...
[글쓴이]
근력운동을 지금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높게 나올줄 알았습니다만.... 휴우...
그리고 나이를 좀더 먹거나 제 일이 바빠지면 지금 근력운동량도 유지하기 어려워질거에요.
혼돈의2022년
남성호르몬 증가시키는 식품/생활습관 등의 노력은 어때요?
검색해보니 뭔가 나오네요
[글쓴이]
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오쇼 라즈니쉬
2회정도 해보세요. 도움이 된다면 이후에도 간헐적으로 치료받으시고요. 증상이 동반된 턱걸이 수치면 시도해볼만합니다.
부스팅 후 생활습관변화를 수반하면 평생 맞지는 않아도 될 수 있습니다.
[글쓴이]
네 여러 의사들이랑 좀더 연구해봐야겠네요 고맙읍니다 선생님
Darwin4078
스쾃과 달리기를 꾸준히 해보십시요.
꿀래디에이터
높은 남성호르몬에서 무슨 이득이 나오는지 이해가 어렵네요?
남성호르몬 수치 재서 누가 월급을 주는건 아닐텐데

수치는 과정이고, 결과를 예상하기 위한 값에 불과하고
중요한건 결과에 해당되는 생활의 지장 여부, 현재의 행복도 등이 아닐지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108 의료/건강버스 기차 승용차 등에 오래 앉아 있으면 허벅지 뒷쪽이 아픕니다 5 방사능홍차 22/03/14 5239 0
13106 의료/건강pcr검사에 미결정도 있나요 8 [익명] 22/03/13 5423 0
13100 의료/건강등에 땀이 많이 나는 편인데요 3 피아니시모 22/03/12 5051 0
13091 의료/건강(약혐사진주의) 지방종? 표피종? 제거 문의 드립니다 9 똘빼 22/03/10 6629 0
13071 의료/건강위장조영술 해보신 분 계신가요? 얼마나 힘든가요... 9 오리꽥 22/03/07 5334 0
13067 의료/건강운전을 해야 할 까 말아야 하는 지.... 11 불타는밀밭 22/03/07 5427 0
13065 의료/건강지속적인 설사와 팽만감 9 헌혈빌런 22/03/07 4881 0
13061 의료/건강오미크론 확인 이후대처방안(추가 감염 여부 등) 2 [익명] 22/03/06 4652 0
13055 의료/건강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250이에요ㅠ 5 소소오늘 22/03/04 8335 0
13054 의료/건강어머니께서 쉽게 숨이 차는데 병원 가봐야할까요? 6 로브 22/03/04 5427 0
13045 의료/건강다이어트를 제대로 하고 있는걸까요? 25 [익명] 22/03/02 5210 0
13044 의료/건강우울증 치료 관련 질문입니다. 24 메존일각 22/03/01 4764 0
13043 의료/건강팔꿈치 통증 관련 질문입니다!! 4 움직여 22/03/01 5787 0
13042 의료/건강코로나 증상관련 질문있습니다. 4 세인트 22/03/01 5549 0
13041 의료/건강저혈당증 사탕과 간식 질문이…. 8 따뜻한이불 22/03/01 5464 0
13035 의료/건강가습기에 어떤 물 채워서 쓰시나요? 18 샤드 22/02/27 5712 0
13027 의료/건강갑작스러운 명치쪽 통증 3 말하는감자 22/02/25 5506 0
13026 의료/건강피부과 케어 어떻게 받는게 좋을까요? 4 바삭 22/02/25 5556 0
13024 의료/건강얼굴에 자꾸 이상한 것이 나고 있어요 ㅠㅠ 1 없으용 22/02/25 5439 0
13023 의료/건강원격진료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9 Jack Bogle 22/02/24 5207 0
13021 의료/건강호옥시... 양배추즙 드셔보신분 계시겠죠? 17 어둠달골짜기 22/02/24 4716 0
13016 의료/건강저혈당증에 좋은 식단이 있을려나요 8 따뜻한이불 22/02/23 5339 0
13003 의료/건강어머니 병원 진료과 문의드립니다. 2 [익명] 22/02/21 4694 0
12988 의료/건강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아야 할지 고민입니다. 16 [익명] 22/02/16 6996 0
12987 의료/건강고양이가 아파요 9 천하대장군 22/02/16 47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