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2/08 12:51:01
Name   [익명]
Subject   최저시급 적용 급여에 관한 질문입니다.
급여 포함 개인적인 내용이라 익명을 걸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2022년 최저시급 관련하여 사장님과 대화를 가졌는데
아리송한 부분도 많고 해서 선배님들의 도움을 좀 받고 싶습니다.

2021년 3월 입사했습니다 / 5인 미만 사업장입니다 / 4대보험가입되어 있습니다. / 사무직입니다
학교 졸업하고 첫 취업입니다 / 수습기간 급여 100%였습니다.
연봉은 23,040,000원 으로 입사했습니다 / 근무시간은 09:30 ~ 18시 점심시간 1시간입니다.
월급여는 기본급 1,820,000원에 식대 10만원입니다.
처음에는 기본급 192만원에 밥을 사주기로 했는데
(제가 4대보험 적게 내려고 식대 10만원을 빼달라고 했습니다.(친구가 말해줬습니다...)
그리고 식사는 그냥 사장님이 사주십니다 보통 7~8천원 정도 ...

2022년이 되서 최저시급이 올라서 제가 검색을 해보니 제 기본급이 182만에서 191만 4,440원이 되야하더군요.
안그래도 사장님이 불러서 대화를 했는데

저 : 일단 1월 급여부터 최저시급 적용해서 주시고 3월급여는 연봉협상을 하자고 말했고

사장님 : 구차하지만 회사가 어려워서 (실제로 어렵습니다ㅜㅜ 직원 월급 대출받아서 주고 계심;;)
           09시 30분부터 근무하니 209시간보다는 덜 근무한다 + 식대 별도인데 밥 사주고 있다;;
           + 식대 10만원 빼주는건 니가 요청한거라 해준건데 원래는 기본급이었으니 2022년부터 기본급 합산할수도 있다
           + 어차피 곧 연봉협상이니 3월 연봉협상(상승) 하는걸로 하는게 어떠냐? 1, 2월 급여는 기존대로 주고...

라고 하십니다. 저는 20대 초반이고 이제 처음 사회생활 하는 거라서 어떤게 좋을지 모르겠네요;;


          



0


식대는 올해 기준 38,288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최저임금 산입됩니다. 선생님 최저임금 비교 실제 임금은 1,881,712 원입니다.
선생님께서 주 40시간 근로자시면 최저임금법 위반 사항이나, 엄밀하게 따지면 1일 7.5시간 근무시므로 현행도 최저임금 위반 사항은 없습니다.

9160*209*(7.5/8)= 1,794,787 (최저시급*1월근로시간(주휴포함)*(근로시간비례))
1
[글쓴이]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나 제가 못 받는 부분이 있나 질문했어요;;
공기반술이반
209시간 안되고
20일출근시 15만원 점심지출이 있고(복지인곳도 있지만 10만원 식대로 하자고 했다가 사주신다고 하니)

정말 칼같이 이거저거 따지시면
오히려 불리하신/억하심정으로 더불리하게 될 가능성

업무를 정말 탁월하게 잘하셔서 안잡으면 회사망한다 수준 아니면 적당히 서로 배려하면서(이경우는 사장님 제안 수락) 가시는게 좋지않을까 싶습니다
급여명세서에 209시간 찍히는건 주휴수당 때문입니다. 주52시간 근무라 209시간 찍히는게 아닙니다.
[글쓴이]
그럼 저는 제 요구대로 하면 되나요??
공기반술이반수정됨
① 1일 8시간, 주 5일 근무하기로 정한 경우 1주 소정근로시간은 40시간입니다.

② 근로기준법 제55조 및 제18조제3항에 따라 4주 동안(4주 미만 근무 시에는 해당 기간)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는데, ①의 경우에는 1일의 유급휴일은 8시간이죠.

③ 따라서, 1주 유급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시간은 48시간이 계산됩니다.

④ 한편, 1년은 52주(365일/7일)이고, 1개월의 평균 주수는 약 4.345주(52주/12개월)가 산출됩니다.

⑤ 그러므로 1개월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는 주 48시간 * 4.345주 ... 더 보기
① 1일 8시간, 주 5일 근무하기로 정한 경우 1주 소정근로시간은 40시간입니다.

② 근로기준법 제55조 및 제18조제3항에 따라 4주 동안(4주 미만 근무 시에는 해당 기간)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는데, ①의 경우에는 1일의 유급휴일은 8시간이죠.

③ 따라서, 1주 유급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시간은 48시간이 계산됩니다.

④ 한편, 1년은 52주(365일/7일)이고, 1개월의 평균 주수는 약 4.345주(52주/12개월)가 산출됩니다.

⑤ 그러므로 1개월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는 주 48시간 * 4.345주 = 208.56으로 계산되는데, 반올림 처리하여 월 209시간이 산출되는 것입니다.

https://www.imhr.work/brand/60q-monthly-209hours/#:~:text=%E2%91%A4%20%EA%B7%B8%EB%9F%AC%EB%AF%80%EB%A1%9C%201%EA%B0%9C%EC%9B%94%EC%9D%98,%EC%9D%B4%20%EC%82%B0%EC%B6%9C%EB%90%98%EB%8A%94%20%EA%B2%83%EC%9E%85%EB%8B%88%EB%8B%A4.

7시간 반근무면 42×4.345 = 182.5시간이네요
[맙소사... 며칠이 지나서야 오류를...ㅠㅠ
7.5*6은 45....ㅠㅠ입니다...
195.525시간이 맞읍니다.. ㅠㅠㅠ죄송합니다]
2
[글쓴이]
아! 그리고 저희회사는 한달에 하루 유급휴가를 주는데요 이것도 적용하면 제가 많이 불리할까요?
공기반술이반
고것은 법정 연차휴가 개념이라 산정안하셔도 될거에요...
라고 생각했는데 5인미만은 연차 규정이 강제가 아니네요
https://www.socialhelpers.info/%EB%B3%B5%EC%A0%9C-4%EB%8C%80%EB%B3%B4%ED%97%98%ED%86%B5%ED%95%A9%EC%A7%95%EC%88%98%ED%8F%AC%ED%84%B8
[글쓴이]
여름휴가는 따로 5일 줍니다
공기반술이반
아무리봐도 그냥 사장님 말씀대로 하시는게....
인력 구하기 엄청 힘든 분야인가요?
[글쓴이]
아뇨… 그렇지 않습니다;; 원래는 제 티오도 없는 거였는데 사장님이 코로나에 무조건 당할 수 없다고 열심히 해보자고 했다가 다른 직원 정시퇴근이슈로 뽑힌거였습니다. 근데 생각만큼 잘 안되는 형편이긴 합니다 ㅜ
공기반술이반
후려치기로 느껴질까/보여질까봐 조심스럽긴 한데
저라면 사장님에게 생각이 짧았다고 앞으로도 잘부탁드린다고 하고 사장님 말씀대로 하겠습니다.

최근에 본 요런것도 있고
https://www.dogdrip.net/dogdrip/380926156?cpage=1
4
[글쓴이]
링크 걸어주신거 보니 좀 뜨끔한 부분이...ㅎ 생각해보니 평소에 부모님 선물도 종종 챙겨주시고 커피도 거의 매일 사주시는데;; 최저시급 위반도 아니고 어차피 이번달만 지나면 연봉이 올라서 큰 상관 없을 것 같기도 해서 걍 사장님 말씀대로 하기로 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ㅜㅜ
3
syzygii
글쓴분이 유니크한 능력이나 면허있으신 특수케이스가 아니면 사장님이 정말잘해주시는겁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88 법률배상명령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ce525 22/04/23 5502 0
13234 법률행소법 43조 위헌 관련 8 한겨울 22/04/11 4421 1
13198 법률(재업로드)4년 전 사건에 대해 고발인이 재판결과 등을 열람등사 할 수 있을까요? 4 RedSkai 22/04/01 3100 0
13139 법률차명계좌 신고 시효가 언제까지…. 2 따뜻한이불 22/03/20 5110 0
13135 법률소년심판 보는데 판사 지휘체계? 있나요? 3 영원한초보 22/03/19 4894 0
13115 법률오피스텔 부가세 환급시기를 놓쳤는데 책임소재가... 6 [익명] 22/03/15 5193 0
13094 법률유류분반환청구에 관하여 질문 올립니다. 11 자공진 22/03/10 3450 0
13087 법률주거침입에 해당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3 [익명] 22/03/10 4998 0
13082 법률임대사업자 전세계약질문 8 거소 22/03/09 5725 0
13076 법률민사 소송비용+변호사 선임 비용에 대해서 8 따뜻한이불 22/03/08 7616 0
13057 법률SNS나 커뮤니티에 누구에게 투표했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해도 되나요? 2 아재 22/03/05 4856 0
12965 법률자동차 사고 관련 질문 4 한겨울 22/02/11 4970 0
12946 법률최저시급 적용 급여에 관한 질문입니다. 14 [익명] 22/02/08 4459 0
12924 법률행정사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4 제루샤 22/02/03 4652 0
12886 법률[부동산] 전입신고가 두 군데 동시에 안되는 거였나요!! 13 오리꽥 22/01/26 10771 0
12882 법률만약 법정에서 살인예고를 날린다면? 2 Otaku 22/01/25 5146 0
12859 법률소액 민사문제 상담은 어떤 경로로 하는게 제일 합리적일까요? 8 똘빼 22/01/19 4427 0
12851 법률이 입법예고안에 왜 반대 좌표가 찍힌 것일까요? 4 알겠슘돠 22/01/17 5042 0
12826 법률문외한의 변시 표준판례 효용성 7 dolmusa 22/01/14 4882 0
12816 법률월세집 집주인 문제로 질문 드립니다 10 [익명] 22/01/12 5147 0
12801 법률과기원 관련 민원 13 [익명] 22/01/07 4322 0
12798 법률국민 신문고 두드리면 어떻게 될까요? 4 [익명] 22/01/06 4156 0
12759 법률전화번호 불법 수집 2 cerulean 21/12/30 3210 0
12724 법률국가 공고 개찰 관련 도움 부탁드립니다 4 [익명] 21/12/21 4017 0
12714 법률원룸을 년세로 지불하는 경우 전입신고 여부 3 [익명] 21/12/20 53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