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6/19 17:14:40 |
Name | dongri |
Subject | 방통대 컴퓨터과학과 - 신입학/편입학 고민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첫 취업이후 벼르고 벼르다 이제서야 용기내어 방통대 컴퓨터 공학과를 지원하려 합니다. 원래 전공은 시각디자인이고, 현재도 주니어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현업 직무를 심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만 대부분 제가 뽑힌 이유가 어느정도 프론트 지식이 있어서인 부분이 있는지라 미래에 개발은 수요는 늘었으면 늘었지 줄거라 생각치도 않고 어느정도는 알아두면 좋겠다 싶어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막상 전형기간이 되어 지원하려 하니 신입학 / 편입학 (2,3년 중)이 고민이 됩니다. 편입학을 하기엔, 전공지식이 부족할텐데 (편입해서 1~2학년 과목 들을 수 있다 해도) 따라가는게 가능할까? 라는 두려움과 신입학은 반대로 직장생활과 병행하기 엄청 빡셀텐데, 4년이라는 시간동안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막막함이 드네요... 홍차넷에 글 올리기 전 찾아보았지만, 대부분 편입학 했다는 글만 있지 둘중에 뭐가 더 좋았고 왜 선택했는가? 추천과 관련된 글은 없네요... 개발을 전공하신 부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TMI] 주 관심은 프론트엔드 입니다. 해당학과에서 프론트를 가르치진 않지만 그렇다고 학원다닐 수도 없고(직장시간), 무작정 인터넷 강의 듣기엔 흐지부지될게 뻔해서 그나마 원격대학이라는 틀 안에서 기본적인 개발지식을 쌓고 이후 독학을 하던지 연계할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dongri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편입학 추천드리네요 신입학은 졸업할때까지 4년이라... 말이 4년이지 더길어질 가능성도 있고요.
그리고 편입학해도 듣는과목은 자유라 아무상관없어요
그리고 편입학해도 듣는과목은 자유라 아무상관없어요
신입학은 진짜 교양부터 다 들어야하기 때문에 이미 학사 있으신 분들은 쓸데가 음슴니다.
3학년 편입학만 해도 70학점 정도 들어야하고 전공학점 채우는데는 문제 없어요.
저도 올해 가을학기 3학년으로 입학합니다. (원래 수학과, 방통대는 법대)
3학년 편입학만 해도 70학점 정도 들어야하고 전공학점 채우는데는 문제 없어요.
저도 올해 가을학기 3학년으로 입학합니다. (원래 수학과, 방통대는 법대)
방통대 3학년 편입해서 졸업했습니다. 1/2학년은 정말 교양 수업 위주입니다. 3학년 편입하셔서 3학년 교양 과목 대신에 기초 과목으로 변경 수강 하시면 충분히 따라 잡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방통대에서 CS 지식을 쌓는게 분명 장기적으로 좋긴 한데 FE 개발자로서 주니어 현업 디자이너에게 바로 해야할 트랙인가 하면 의아합니다. 지루할수도 있고 힘들어서 그냥 개발 안하고말지 할 확률이 훨씬 높을거 같아요. 프론트 지식이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지만..차라리 FE를 집중적으로 하는 직장인 대상 재택 부트캠프 교육같은걸 해보고 프로젝트도 몇 개 해본뒤에 구현된 결과물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지.. 컴퓨터 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어떤 구조로 실행되는지.. 이런것들이 정말 필요해질때 방통대 편입학으로 CS공부하셔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지금 공부하면 너무 현업에서 하는거랑 상관없게 느껴져서 배워도 남는것도 없게 느껴질 수 있어요.
만약 하신다면 무조건 3학년 편입학 추천합니다.
만약 하신다면 무조건 3학년 편입학 추천합니다.
사실프론트엔드 업무중에 가장 중요한것중 하나가 버전따라가기입니다. js 진영은 오픈소스라이브러리를 실무에 많이쓰기때문에.. 그래서 생활코딩의 강좌가 구버전이라 뭐가 안되는데? -> 오류가 어디서나지? 왜나는지 찾아보자 -> 버전간 차이를 파악하기위해 라이브러리 공식문서랑 라이브러리를 뜯어보자 -> 해결
이 루틴에서 모르는걸 계속 찾아보고 바꿔보고 해결하면 실력 정말 빨리 늡니다. 기초가없을땐 어렵고 기초가생기면 귀찮고 피곤한 방법이지만 분명하게 숙련도를 높여줘요. 사실 대부분 개발업무가 이런식입니다. 안되면... 더 보기
이 루틴에서 모르는걸 계속 찾아보고 바꿔보고 해결하면 실력 정말 빨리 늡니다. 기초가없을땐 어렵고 기초가생기면 귀찮고 피곤한 방법이지만 분명하게 숙련도를 높여줘요. 사실 대부분 개발업무가 이런식입니다. 안되면... 더 보기
사실프론트엔드 업무중에 가장 중요한것중 하나가 버전따라가기입니다. js 진영은 오픈소스라이브러리를 실무에 많이쓰기때문에.. 그래서 생활코딩의 강좌가 구버전이라 뭐가 안되는데? -> 오류가 어디서나지? 왜나는지 찾아보자 -> 버전간 차이를 파악하기위해 라이브러리 공식문서랑 라이브러리를 뜯어보자 -> 해결
이 루틴에서 모르는걸 계속 찾아보고 바꿔보고 해결하면 실력 정말 빨리 늡니다. 기초가없을땐 어렵고 기초가생기면 귀찮고 피곤한 방법이지만 분명하게 숙련도를 높여줘요. 사실 대부분 개발업무가 이런식입니다. 안되면 찾고, 왜안되는지 파악하고, 방법과 대안을 비교하고, 그중 나은걸 찾아서 적용해보고, 거기서 생기는 문제를 다시 찾고..
그래서 개인적으론 생활코딩 근성으로안되는거 되게해가며 하는게 개발자 재능의 일종이 아닌가..
부트캠프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파르타코딩 위코드 코드잇 등등 많던데 직접 비교해보시는게... 구글에 부트캠프 비교 등으로 찾아보면 정리 괜찮드라구요.
이 루틴에서 모르는걸 계속 찾아보고 바꿔보고 해결하면 실력 정말 빨리 늡니다. 기초가없을땐 어렵고 기초가생기면 귀찮고 피곤한 방법이지만 분명하게 숙련도를 높여줘요. 사실 대부분 개발업무가 이런식입니다. 안되면 찾고, 왜안되는지 파악하고, 방법과 대안을 비교하고, 그중 나은걸 찾아서 적용해보고, 거기서 생기는 문제를 다시 찾고..
그래서 개인적으론 생활코딩 근성으로안되는거 되게해가며 하는게 개발자 재능의 일종이 아닌가..
부트캠프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파르타코딩 위코드 코드잇 등등 많던데 직접 비교해보시는게... 구글에 부트캠프 비교 등으로 찾아보면 정리 괜찮드라구요.
오늘 시험을 마지막으로 방통대 CS 졸업합니다.
저는 순수하게 CS쪽에 관심이 있어 공부했습니다. 이쪽 학사가 필요하신게 아니라면, 특히 실무적인 프로그래밍을 원하신다면
굳이 이쪽으로 오시는 것을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전 2년 동안 공부 참 재미있게 했어요.
육아 + 학업이 쉽지는 않았지만 돌아보면 참 보람찼습니다.
저는 순수하게 CS쪽에 관심이 있어 공부했습니다. 이쪽 학사가 필요하신게 아니라면, 특히 실무적인 프로그래밍을 원하신다면
굳이 이쪽으로 오시는 것을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전 2년 동안 공부 참 재미있게 했어요.
육아 + 학업이 쉽지는 않았지만 돌아보면 참 보람찼습니다.
(디자인도 그랬고) 어느정도 어떻게 돌아가는지 안다면 직접 공식 튜토리얼 찾아보고 막 할텐데 아는게 없어서 혼자서 하기엔 힘들것 같고
학원을 알아보자니 대다수가 취준생 위주의 주오일 오전-오후 늦게 식이라 다니기가 어려운것 같아요...
혼자서 할 수있는 한계라곤 jQuery 라이브러리 붙여다 쓰면서 커스텀 + 예에엣날 SVN 정도...
git은 cui는 전혀 못하겠고(사용해도 gui정도?), 예전엔 FTP에 올려서 작업하는 환경이었다면 요즘은 ide에 개발환경을 갖추고 cui로 설치하고 하는게 생소하고 어렵더라구요. (적응... 더 보기
학원을 알아보자니 대다수가 취준생 위주의 주오일 오전-오후 늦게 식이라 다니기가 어려운것 같아요...
혼자서 할 수있는 한계라곤 jQuery 라이브러리 붙여다 쓰면서 커스텀 + 예에엣날 SVN 정도...
git은 cui는 전혀 못하겠고(사용해도 gui정도?), 예전엔 FTP에 올려서 작업하는 환경이었다면 요즘은 ide에 개발환경을 갖추고 cui로 설치하고 하는게 생소하고 어렵더라구요. (적응... 더 보기
(디자인도 그랬고) 어느정도 어떻게 돌아가는지 안다면 직접 공식 튜토리얼 찾아보고 막 할텐데 아는게 없어서 혼자서 하기엔 힘들것 같고
학원을 알아보자니 대다수가 취준생 위주의 주오일 오전-오후 늦게 식이라 다니기가 어려운것 같아요...
혼자서 할 수있는 한계라곤 jQuery 라이브러리 붙여다 쓰면서 커스텀 + 예에엣날 SVN 정도...
git은 cui는 전혀 못하겠고(사용해도 gui정도?), 예전엔 FTP에 올려서 작업하는 환경이었다면 요즘은 ide에 개발환경을 갖추고 cui로 설치하고 하는게 생소하고 어렵더라구요. (적응도 안되고)
그래서 본문에 적어준대로 실무와 학문사이의 갭이 크지만 어느정도 알면 이후에 혼자서 프론트를 공부하는게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육아 장난아니게 힘든데, 학업까지 하시다니... 멋지십니다.
혹시 방통대 CS하실때 따로 git사용 방법등에 대해 가르쳐주셨나요?? (과목 소개보니까 관련된건 없어보여서요...)
학원을 알아보자니 대다수가 취준생 위주의 주오일 오전-오후 늦게 식이라 다니기가 어려운것 같아요...
혼자서 할 수있는 한계라곤 jQuery 라이브러리 붙여다 쓰면서 커스텀 + 예에엣날 SVN 정도...
git은 cui는 전혀 못하겠고(사용해도 gui정도?), 예전엔 FTP에 올려서 작업하는 환경이었다면 요즘은 ide에 개발환경을 갖추고 cui로 설치하고 하는게 생소하고 어렵더라구요. (적응도 안되고)
그래서 본문에 적어준대로 실무와 학문사이의 갭이 크지만 어느정도 알면 이후에 혼자서 프론트를 공부하는게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육아 장난아니게 힘든데, 학업까지 하시다니... 멋지십니다.
혹시 방통대 CS하실때 따로 git사용 방법등에 대해 가르쳐주셨나요?? (과목 소개보니까 관련된건 없어보여서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