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4/08 23:54:42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집을 매매할지 전세를 연장할지 고민입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저는 매매.
아내분이 가까운게 좋긴하니까 영등포?
둘째 생각없으시면 20평대도 괜찮지 않을까요?
1
[글쓴이]
앗.. 제가 조건을 하나 빼먹었네요 ㅎㅎ 가눙하면 와이프 직장인 마곡에 좀더 가까운게 낫습니다. 전 상대적으로 야근이 많아서 퇴근이 늦거든요 ㅠ ㅠ
의견 감사합니다. ^^
저같으면 아내분이 원하시는 곳에 초품아 신축 20평대.
2
그저그런
1주택이고 10년 이상 그 집에 사실 생각 있다면 언제든 매매를 권하는 편입니다.
2주택이 아니라 1주택은 투자도 아니라고 생각 하거든요. 자영농으로서의 신분이나 안정성을 사는거죠.

https://youtu.be/M1SjJ5tD7U8?t=179
♨핫클립♨ " 우선 주식을 해보세요! " 경제 크리에이터들이 말해주는 재테크|배달가요-신비한 레코드샵|JTBC 210129 방송
1
[글쓴이]
생각해보니 저나 와이프나 졸업이후로 어디 한군데에 오래 살아본적이 없네요. 결혼 후에도 예상치 않았던 이직에 출산 때문에 계속 옮겨다니다 보니 집을 사서 오래산다는 생각을 못했던것 같습니다.
애때문이라도 정착을 할때가 되긴 했는데.. 10년 살 집이라... 선택이 더 어려워지겠는데요? ㅎㅎ
그저그런
10년내 서울 밖으로 나가지만 안는다면야...
저도 아파트는 얼마 안살아봤는데, +1 상급지랑 가격겨차가 좁혀질때 한 번씩 옮겨다닌다고 하더라고요 ㅎ
하우두유두
마곡으로 올인하시면 좋을거같은데요. 문제는 본인 출퇴근이 어렵겠네요.
저라면 매매추천입니다. 앞으로 입주물량이 계속 감소는 확정에 인허가 물량도 감소하고있습니다.
2
[글쓴이]
마곡 올인을 생각해보긴 했는데 제가 편도로 두시간은 걸리겠더라고요.. 그럼 퇴근 후 혼자 애를 봐야하는 와이프나 출퇴근 시간에 하루의 6분의 1을 써야하는 저나 삶의 질이 너무 저하될것 같네요..
역시 매매를 추천하시는 분이 많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사실 지금 총알로는 딱 여기다 싶은 곳이 없어서 더 고민이 됩니다.
EuropaV
앞으로 공급물량이 나올 수가 없어서 적어도 5년간은 변동성은 있더라도 무조건 폭등이거든요
저는 영끌매매 추천이요..
EuropaV
아 그런데 마흔이시고 애도 있으시면 청약점수 50점대인가요?
둘째 계획 있으시면 뉴타운 나오는거 청약도 넣어볼만할 것 같은데요
[글쓴이]
청약 통장을 늦게 만들기도 했고 애도 더이상은 고려하고 있지는 않아서 청약은 생각 못하고 있네요 ㅠ
감사합니다.
마술사
전 지금은 매매타이밍은 아니라고봅니다
일단 2년간은 전세연장해서 사시면서 청약해보시고,
이후 매매는 분위기 보고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글쓴이]
의견 감사합니다.
저도 앞으로 오를것까지 다 땡겨서 오른건 아닐까란 생각도 들고 어쩌다 보게되는 부동산 애널리스트들 이야기도 그렇고...
총알이 더 모인 2년 뒤엔 선택의 폭이 더 늘거라고 생각은 했었는데..
위에 의견들처럼 급등을 이야기하는 사람도 많다보니 고민이 되네요..
[글쓴이]
의견 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추가로 매매 고려시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주어듣기로 6월 전에 정리할 물량이 나온다고 하는데 제가 전세 계약이 10월이라 이런 물량들은 포기해야하는건지.. 아님 일시적 갭투자?로 구매가 가능한가요?
전세낀 집 구매시엔 주담대가 안나오는게 맞죠?

https://m.land.naver.com/complex/info/4128?ptpNo=1
이런 아파텔은 어떨까요? 영끌해서까지 매매해도 될까요? ㅠ
6월전에 매매할 물량 다 나왔죠. 3월에 매도 계약해야 4월 중도금, 5월에 잔금치르니까요.
올해부터 임대차3법으로 갱신한 물량 나오면 전세가 오를 리스크 있습니다. -> 그러면 전세가가 받쳐주면서 매매가 안빠져요. 제 생각엔 월세낼 수 있는 수입이라면 영끌 갭투자하고 월세 사는게 개인으로서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싼 매물이 나오느냐? 글쎄요.
글쓴분께서 지금 주택보유자라고 가정하고
'지금 판다음에 양도세 취득세 내더라도 이거보다 더 싼 가격에 살 수 있다'는 생각이 들까요?
거기서 예쓰라면 기다려... 더 보기
6월전에 매매할 물량 다 나왔죠. 3월에 매도 계약해야 4월 중도금, 5월에 잔금치르니까요.
올해부터 임대차3법으로 갱신한 물량 나오면 전세가 오를 리스크 있습니다. -> 그러면 전세가가 받쳐주면서 매매가 안빠져요. 제 생각엔 월세낼 수 있는 수입이라면 영끌 갭투자하고 월세 사는게 개인으로서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싼 매물이 나오느냐? 글쎄요.
글쓴분께서 지금 주택보유자라고 가정하고
'지금 판다음에 양도세 취득세 내더라도 이거보다 더 싼 가격에 살 수 있다'는 생각이 들까요?
거기서 예쓰라면 기다려볼 수 있고 그거 아니라면 가격이 내려봐야 세금정도라는 뜻이겠죠.

아직 오피스텔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고 아파텔이 많지 않아서 그렇지 저는 아파텔 좋게 봅니다.
실제로 1년새 아파텔 엄청 오른 곳 많아요. 청약통장도 쓸 수 있을걸요.
1
[글쓴이]
아 저도 집값이 더 떨어질거라고 생각하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6월 이후에 매물이 잠기지 않을까 해서요..
지금 나온 매물중에 10월 입주 가능한 물건이 있길래 이게 계약이 가능할지 궁금했습니다. ^^
10월 입주 가능한 물건은 작성자분 만기인 10월과 일치하니까 가능하지 않나요?
그것보다 빠른 물건 원하시면 전세금을 복비내고 빨리 빼셔도 되고, 전세담보대출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최근 전세가 올라서 세입자 나가면 주인들은 좋아할 거에요.
여름방학 때 이사하려는 수요가 꽤 있어서 오히려 더 잘나갈 수도 있구요.
입주가능한 물건은 주담대로 잔금 받을 수 있을걸요.

그니까 예를들어 8월 입주생각하신다면 잔금은 주담대+ 전세금으로 하시고
중도금은 전세담보대출같은 걸 받으면 전세를 빼지 않고도 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하우두유두
6월이내 잔금 조건인 급매는 나올수? 있겠지만 본인께서 전세금을 뺄수 없으시니 소화 불가능하시지 않을까요?

아마 지금부터 알아보셔서 전세금 받는시점에 잔금처리하는게 스케줄상 좋아보입니다
[글쓴이]
그렇겠죠? 전 혹시 주담대로 잔금 치르고 제 전세금 빼서 세입자에게 지불하는 걸 생각했거든요
근데 아마 주담대가 안나오지 싶네요~
하우두유두
아파텔하니까 생각난 글입니다.
https://m.blog.naver.com/jmd0104/222295770398

한번 읽어보셔요
Folcwine
분명한 사실 한 가지는 '전세에서 살면서 향후를 도모한다'는 틀린 말입니다. '월세에서 살면서 향후를 도모한다'가 맞는 말이죠. 돈이 2년 묶이는데 그 2년 뒤 계약종료 즈음이 적절한 매매타이밍일거라고 배팅하는거에 가깝거든요. 전세로 사는 중간에 집을 빼고 매매로 옮긴다? 집주인이 협조 잘 해주고 부동산에 내놓은 내 전세집도 잘 빠져야 한다는 전제가 붙습니다. 생각보다 힘들어요. 전세 중간에 집 빼는거.
그리고 저는 올해 집값이 더 오른다고 봅니다. 근거는 1. 코로나 이후 경제호황기가 예정되어 있음.
2. 최근 미국 부동산이 매우 높은상승률을 기록함.
3. 미국의 인프라 투자, 돈을 푸는 속도가 상당함. 더불어 국내도 GTX를 비롯 인프라 투자가 이뤄지고 있음. 참고로 작년 M2통화량은 9.3% 늘었다고 합니다.
4. 임대차법 이후 가격 상방에 여유가 생겼음. 작년 7월부터 그 갭을 메우고 있는 중인데 아직 과거 전세시세로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들이 신규계약을 하는 시점엔 매매가는 더 자극받을 것임.
Folcwine
그리고 매매가가 향후 어느정도까지 올라야 전세보다 이익인지 계산해보세요. 제가 몇달 전에 계산한 지역은 연 2.5% 매매가가 상승하면 전세보다 매매가 유리했습니다. 지금도 이 값이 크게 차이는 없을거에요. 전세가율이 높은 신축일수록 오히려 퍼센티지가 낮아집니다. 신축이 강세인 이유이기도 하죠.

매매한 아파트가 2년 후 얼마 정도일지 생각해보세요. 약 5% 이상 상승하면 100% 매매가 유리합니다. 이렇게 보면 질문이 간단해지죠. 예를 들어 이 아파트가 10억이면 2년 뒤 시세가 10.5억원 이상일지 아닐지를 판단하면 됩니다.
꿀래디에이터
제 친구가 저정도 정보로 물어봤으면 문래나 영등포구청 쪽으로 추천했을 것 같은데
(충격요법으로 자식한테 못할짓 하고 싶으면 전세가라고 말했을 것 같아요)

자세한걸 몰라서 저도 이정도 밖에 답을 못하겠네요 ㅎ
그동안 계속 공급을 막아놔서 향후 3-4년간 공급이 없습니다.
중간에 등락은 좀 있을지 몰라도 5년간 무조건 오를거라고 봅니다.
6월 양도세로 인한 매물 그런건 그냥들 하는 소리라...
전세 연장 보다는 매매가 나으실 것 같고, 여력 되시면 영끌 해서 본인과 가족분들에게 젤 좋은 곳으로 가세요.
[글쓴이]
와우~ 많은 분들이 의견 주셨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역시 홍차넷에 질문글을 올리길 잘했습니다.
사실 매매쪽으로 의견 주실 분들이 많을거라고 예상은 했습니다.
저도 금전적으로 따져보면 역시 매매가 옳은 선택이라고 어렴풋이 느끼곤 있었으나...
2년만에 다시 이사를 해야한다는 점, 현재 총알로 갈 수 있는 곳들 중에 맘에 드는 곳이 별로 없다는 점, 한놈만 걸려라 식으로 잔뜩 올려놓은 호가를 물어야만 하는 불안함 때문에 고민이 되었습니다.
주신 의견들 참고해서 열심히 고민 해보겠습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497 경제(사업, 세무) 세무사를 바꿔야 하는 상황일까요? 4 똘빼 21/05/05 4635 0
11490 경제30대중후반 자산 질문입니다 11 [익명] 21/05/04 4074 0
11477 경제고액 은행창구 입금 질문드립니다. 8 [익명] 21/05/02 5006 0
11464 경제독립하고 싶습니다 16 [익명] 21/04/30 3613 0
11424 경제자본소득을 통해 부자가 되는 것은 환상인가요? 31 쿠팡 21/04/25 6000 0
11412 경제아파트 주담대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11 [익명] 21/04/23 3851 0
11411 경제매매가 전세보다 쌉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나요? 12 보리건빵 21/04/23 4928 0
11389 경제돈값 안아까운 경제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21/04/19 9480 0
11367 경제운전자 보험 조건을 비교중인데요 7 토비 21/04/16 4660 0
11350 경제한국 주식 ETF들의 장투 가능한 거래량, 순자산 기준이 있을까요? 3 Jack Bogle 21/04/14 4160 0
11332 경제코인은 어떤게 전망이 좋을까요? 5 [익명] 21/04/11 4071 0
11323 경제해외에 살고 있는 경우 암호화폐로 차익을 볼 수 있나요? 7 [익명] 21/04/09 4210 0
11317 경제집을 매매할지 전세를 연장할지 고민입니다. 26 [익명] 21/04/08 4349 0
11310 경제카카오톡, 한화시스템 유상증자에 대해 3 [익명] 21/04/07 3907 0
11308 경제최저임금은 세후로 얼마인가여? 3 [익명] 21/04/07 4195 0
11301 경제아파트 매물 한번 봐주세요! 10 [익명] 21/04/06 4514 0
11294 경제연금 저축 : 펀드 vs 보험? 11 지겐 21/04/05 4144 0
11283 경제연봉 계산 질문입니다. 5 [익명] 21/04/03 3931 0
11282 경제서울에 집을 구해야하는데 질문드립니다. 12 copin 21/04/03 4177 0
11281 경제주상복합으로 이사하는거 어떤가요? 33 Brown&Cony 21/04/03 6072 0
11264 경제주택 구매 자금조달 계획서 관련 문의 7 지겐 21/03/30 3170 0
11253 경제친구한테 돈을 빌려주기로 했는데 근저당 22 [익명] 21/03/27 6125 0
11247 경제알바생인데 사업계획서를 쓰고 싶습니다. 9 [익명] 21/03/26 3776 0
11237 경제1주택자도 전/월세를 할 경우 무조건 임대사업자가 되는 건가요? 7 [익명] 21/03/24 4312 0
11234 경제갱신청구권 재계약 질문입니다. 5 [익명] 21/03/24 475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