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05/25 09:14:32 |
Name | Rationale |
Subject | 결절종 수술 관련 문의 드립니다 |
왼 팔꿈치 안 쪽에 살짝 튀어나온 부분이 생겨서 대형병원을 갔는데, MRI 찍자고 하더니 결절종이라고 수술하자고 하셔서 촬영까지만 일단 마쳤습니다. 가로 1cm, 세로 3cm이라서 큰 편이라 하시더라구요. 평소 생활할 때나 운동할 때, 세게 눌러도 아무런 통증이 없어서 수술을 하는 게 맞나 싶어 문의 드립니다. 그리고 수술을 하면 전신마취를 반드시 해야 한다고 하셔서요. 국내/해외 자료 찾아봐도 재발율에 대한 비교가 있으니 둘 중 취사선택 가능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 진료의뢰서를 써 준 동네 병원 의사님도 써주시면서 종병에서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 그러면 부분마취만 해달라고 해도 가능하다 하셨거든요. 부분마취만 가지고 진행할 수 있는지, 대형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신마취를 권할 사항이니 중형으로 내려가야 할지 궁금합니자.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Rationale님의 최근 게시물 |
결절종은 통증이나 신경마비가 없고 미용적으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 수술은 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주관절(팔꿈치) 내축이면 척신경이 근처에 있어서 신경을 자극할 가능성은 높을 겁니다.
그래서 더 커지기 전에 수술하다고 하는 것일 겁니다.
결절종은 재발을 잘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인 치료는 대부분 재발을 하고, 수술적인 치료를 해도 재발을 잘합니다.
그래서 부분마취와 전신마취에 따른 재발율을 연구할 정도이지요.
전신마취를 하면 수술하는 사람이 더 편안함을 느끼고 환자의 움직... 더 보기
하지만 주관절(팔꿈치) 내축이면 척신경이 근처에 있어서 신경을 자극할 가능성은 높을 겁니다.
그래서 더 커지기 전에 수술하다고 하는 것일 겁니다.
결절종은 재발을 잘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인 치료는 대부분 재발을 하고, 수술적인 치료를 해도 재발을 잘합니다.
그래서 부분마취와 전신마취에 따른 재발율을 연구할 정도이지요.
전신마취를 하면 수술하는 사람이 더 편안함을 느끼고 환자의 움직... 더 보기
결절종은 통증이나 신경마비가 없고 미용적으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 수술은 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주관절(팔꿈치) 내축이면 척신경이 근처에 있어서 신경을 자극할 가능성은 높을 겁니다.
그래서 더 커지기 전에 수술하다고 하는 것일 겁니다.
결절종은 재발을 잘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인 치료는 대부분 재발을 하고, 수술적인 치료를 해도 재발을 잘합니다.
그래서 부분마취와 전신마취에 따른 재발율을 연구할 정도이지요.
전신마취를 하면 수술하는 사람이 더 편안함을 느끼고 환자의 움직임이 없어서 더 안정적으로 수술을 할 수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하고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여하튼 죽고 사는 질환은 아니지 환자 본인의 선택이 중요하고, 지금은 증상이 없어도 결절종이 신경과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 담당의사와 잘 상의해서 하시는 것이 좋을겁니다.
하지만 주관절(팔꿈치) 내축이면 척신경이 근처에 있어서 신경을 자극할 가능성은 높을 겁니다.
그래서 더 커지기 전에 수술하다고 하는 것일 겁니다.
결절종은 재발을 잘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인 치료는 대부분 재발을 하고, 수술적인 치료를 해도 재발을 잘합니다.
그래서 부분마취와 전신마취에 따른 재발율을 연구할 정도이지요.
전신마취를 하면 수술하는 사람이 더 편안함을 느끼고 환자의 움직임이 없어서 더 안정적으로 수술을 할 수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하고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여하튼 죽고 사는 질환은 아니지 환자 본인의 선택이 중요하고, 지금은 증상이 없어도 결절종이 신경과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 담당의사와 잘 상의해서 하시는 것이 좋을겁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