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3/07 11:19:40 |
Name | [익명] |
Subject | 제가 오래된 친구의 소중함을 모릅니다 |
요즘 하는 생각입니다. 저는 20대구요. 지금껏 살아오면서 환경과 경험이 변하면서 스스로가 달라지는 걸 많이 느낍니다. 가치관 면에서 특히 매년 급변하는 느낌이에요. 주변인과 비교했을 때 제가 유독 심한 것 같습니다. 매년마다 발전하고 싶은 나의 모습이 달라지고, 그 모습을 길러줄 수 있는 환경에 나를 집어넣어서 그 안에서 성장하는 게 연례사업입니다. ‘사람이 바뀌면 어울리는 사람도 달라진다’는 말도 참 동의하고 좋아하는 말입니다. 제 경우, 자신을 바꾸려고 어울리는 사람 풀을 바꾸고, 시간이 지나 어울리는 사람들이 이만큼 달라진 걸 보며 자기 변화를 실감합니다. 다만 이렇게 그때그때 새로 친구를 사귀고 그 친구들과 같이 발전적인 언행을 나누느라 상대적으로 오랜 친구를 등한시하게 되더라고요. 새로운 사람에 에너지를 쏟느라 여력이 없기도 하고, 솔직히 그 편이 제게 더 도움이 되기도 하고요.(친구관계도 험한 말로 하면 결국엔 서로에게 수단이니까요-정서적 행복을 주든, 안정감을 주든,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주든, 필요할 때 도움을 주든, 각종 이익을 제공해주든...친구가 주는 효용 면에서 수단이란 말을 썼습니다) 다만 제가 아직 어려서 오랜 친구가 주는 소중함을 놓치고 있는 게 아닐까, 이러다가 나중에 후회하게 될 일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 조금 들더라고요. [여기서의 오랜 친구는 ‘단순히’ 서로 안 기간이 길어 편안한 친구 말합니다. 초중고대학생때 만나 기간적으로 오래되어 허심탄회하게 서로 얘기나눌 수 있는 그런 오랜 친구들이요. 인생 친구까진 아니어도 편한... 저도 서로 정말 잘 통하고 이해하고 발전적인 불알친구는 둘 있고 그 우정은 정말 소중하게 여길 줄 압니다.] 사실 이렇게 이미 사귄 친구의 소중함을 잘 체감하지 못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도 큰 것 같습니다. 제 강점중 하나가 타인과 잘 친해져서 내밀한 관계를 맺는 친교활동을 잘한다는 점이거든요. 그래서 오만하게도 ‘원한다면 언제, 누구든 친구로 사귈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그래왔구요. 그래서 그런지 언제든 새로 만들 수 있는 게 친군데(그리고 오랜 친구보다 더 친밀해질 수 있는데) 왜 굳이 오랜 친구들을 오래됐다고 좋아하고 챙겨야 하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솔직하게 적었는데 다시 읽기도 부끄러울 내용이네요. 진지하게 요즘 고민하는 주제라서 저보다 더 오래 사신 선생님들 의견을 여쭙고자 올렸습니다. [오래된 친구가 왜 소중한지] 그리고 [제 이런 생각들에 문제가 있다면 어떤 부분이 어째서 문제인지] 짚어주신다면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납득할 수만 있다면 고치도록 노력해보려고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
문제 없지 않나요? 엄청 잘 맞는 오랜 친구도 둘이나 계시고 새로운 관계도 잘 쌓으시는 분인건데 굳이 시간에 연연할 필요 없을것 같아요
오래만났다고 꼭 더 소중한 건 아닌거같아요~ 시간과 상관 없이 잘 맞는 친구가 있어요. 오래 만났어도 점점 안 맞게 되는 친구가 있고요 ㅎㅎ
문제 없습니다. 무조건 오래된 친구보다는 잘 맞는 친구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잘 맞는 친구는 오래된 친구일 수도, 새로운 친구일 수도.
오래된 친구가 소중한 친구라는 사회가 내린 관습 그까잇거 아닌거 같은데 싶다 하면은 무시하고 하고 싶은데로 하셔도 손해보는거 없습니다
오히려 오래된 친구는 무조건 소중하다는 관습에 얽매여서 손절 할 친구 데리고 있다가 피해 보는 바보들이 수두룩해요. 어릴적 봐온 친구는 어릴적에 같은 공간 같은 시간때에 있었으니 동질감 느껴지고서 친하게 알며 지내다가 성인이 되고 부터는 어릴적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변모하는 사람이 대부분인데 차라리 성인 되고서 만난 친구가 더 오래 가는 경우가 더 많죠. 오래된 친구랑 연락은 표면적으로만 하는 경우가 많고 자세히 보면은 어릴적 처럼 깊숙히 친하게 지내는 경우는 없다는
오히려 오래된 친구는 무조건 소중하다는 관습에 얽매여서 손절 할 친구 데리고 있다가 피해 보는 바보들이 수두룩해요. 어릴적 봐온 친구는 어릴적에 같은 공간 같은 시간때에 있었으니 동질감 느껴지고서 친하게 알며 지내다가 성인이 되고 부터는 어릴적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변모하는 사람이 대부분인데 차라리 성인 되고서 만난 친구가 더 오래 가는 경우가 더 많죠. 오래된 친구랑 연락은 표면적으로만 하는 경우가 많고 자세히 보면은 어릴적 처럼 깊숙히 친하게 지내는 경우는 없다는
같은 20대로 참 공감가요. 특히 친구도 결국 수단이라는 말에 공감이 되네요. 물질적인 목적이 아니라도 수단은 수단이라고 생각해요. 서로 이득을 취하는 관계인 것이죠. 저도 문제 없다고 생각해요.
오래된 친구가 소중한 이유는 단지 오랫동안 서로 잘 통한 사람이었기 때문이겠죠. 사람은 변합니다. 옛친구가 더이상 통하지 않고, 잘 통하는 다른 사람을 사귈 수 있다면 아무 문제 없어보입니다.
근데 원할때 누구든 새롭게 사귈 수 있는 방법이 너무 궁금해욧
근데 원할때 누구든 새롭게 사귈 수 있는 방법이 너무 궁금해욧
부끄럽지만 관심과 진심인 것 같습니다. 친구가 필요해서 친해지려는 게 아니라 그 사람 자체를 진심으로 좋아하고 귀기울이면 되는 것 같아요. 그 사람의 영혼에 관심가져준다는 느낌으로 말하면 제게는 잘 와닿는 것 같습니다.
뭐..시간과 공간의 거리로 사이가 자연스레 멀어지고 하는건 있죠.
그런데 지금 말씀하시는 그런 관계는 그냥 아는 지인이지 친구라고하긴 좀 먼 그런 관계들인듯.
모든 인연들이 다 한결 같을수는 없고 언제든 경중이 바뀔수 있는거긴한데 그 관계를 언제든지 버리고 살수있는 상품으로 여기신다면 본인도 언제든지 그런 취급을 당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런 모습이 반드시 인지 된다는것만 알고 계시면 될듯합니다.
언제든 새로운 세상에 몸을 던지고 그런걸 업글해가는 즐거움을 느끼신다고하는데 자칫잘못하면 사람이 가볍게 보일수도있고 안좋게 말해서 자기 필요할때만 찾는 사람/자기 상황에 맞춰 사람 따지는 사람이라는 인상도 줄수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말씀하시는 그런 관계는 그냥 아는 지인이지 친구라고하긴 좀 먼 그런 관계들인듯.
모든 인연들이 다 한결 같을수는 없고 언제든 경중이 바뀔수 있는거긴한데 그 관계를 언제든지 버리고 살수있는 상품으로 여기신다면 본인도 언제든지 그런 취급을 당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런 모습이 반드시 인지 된다는것만 알고 계시면 될듯합니다.
언제든 새로운 세상에 몸을 던지고 그런걸 업글해가는 즐거움을 느끼신다고하는데 자칫잘못하면 사람이 가볍게 보일수도있고 안좋게 말해서 자기 필요할때만 찾는 사람/자기 상황에 맞춰 사람 따지는 사람이라는 인상도 줄수있습니다.
오래되었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어릴적 친구가 지금 와서 보니 인간적 가치가 떨어져 있고 이게 친구가 맞나 싶은 일도 엄청나게 흔할 겁니다. 어릴 적 친구는 말 그대로 어릴 때 알게 된 친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