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3/07 01:25:01
Name  
Subject   ‘의자는 비싼 거 써야 한다’는 통념이 얼마나 사실인가요?
의자는 돈 값 한다. 의자는 비싼 거 써야 한다. 등등 의자의 가격-기능에 대한 강한 상관성을 주장하는 말들을 많이 들어왔는데요. 그게 얼마나 사실일지,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의자 장사꾼들의 마케팅이 몇퍼센트나 있을지도 모르겠고요.


시디x 의자가 정말 유명하고 비싼 것 같던데 그러한 비싼 의자들이

[1. 고질적으로 허리가 아픈 사람에게는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2. 허리가 안 아픈 보통의 사람에게는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3. 그 효과가 해당 가격을 납득할 수 있을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사실 전 허리 멀쩡하고 평생 3만원짜리 대충 의자 쓰고 살았던 사람인데요. 비싼 의자 타령을 많이 접한 탓인지 셀프 투자로 괜히 비싼 의자를 사볼까 하는 마음이 최근에 들더라고요. 그냥 돈 쓸 궁리 하는 건지 궁금해서 여쭙니다.



0


사십대독신귀족
침대, 의자 는 정말 좋은 거 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허리가 중학교 때 부터 1년에 1~3번은 크게 아프고 그러면 거의 1주일은 누워있거나 거동이 힘든 편인데요.

안 좋은(맞는) 매트리스에 가서 누우면 조금만 있어도 허리가 아프기 시작합니다.
딱딱한 바닥에 앉아있어도 그렇고, 요즘 카페에서 손님들 오래 못 앉게 하려는 딱딱한 의자들 (스타벅스 경우 쇠로 된 의자)에
한두시간 앉아있으면 허리가 엄청 아픕니다.
3
알료사
내가 완전 FM자세로 앉아있을 수만 있으면 그냥 통나무에 앉아도 노상관인데.. 보통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돈을 들이죠..ㅋㅋ
1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장시간 작업하다보면 집중력에서 차이나는 점이 걸리던데요.
근데 비싸고 싸고를 떠나서, 학생 때 쓰던 싸구려 듀오백이 참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근데 정말 초월적으로 비싼 종류는 경험 밖이라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 작업용 의자는 일정 수준 이상만 충족되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의자도 중요하지만, 인체공학적으로 의자-책상-컴퓨터 등이 과학적으로 적정값을 충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아래는 최적값(의자-책상-컴퓨터)을 계산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즐겨찾기만 해놓고, 실천은 아직이네요.)

... 더 보기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장시간 작업하다보면 집중력에서 차이나는 점이 걸리던데요.
근데 비싸고 싸고를 떠나서, 학생 때 쓰던 싸구려 듀오백이 참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근데 정말 초월적으로 비싼 종류는 경험 밖이라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 작업용 의자는 일정 수준 이상만 충족되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의자도 중요하지만, 인체공학적으로 의자-책상-컴퓨터 등이 과학적으로 적정값을 충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아래는 최적값(의자-책상-컴퓨터)을 계산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즐겨찾기만 해놓고, 실천은 아직이네요.)

https://www.thehumansolution.com/ergonomic-office-desk-ergonomic-chair-and-keyboard-height-calculator/
1
오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감사해요. 그런 값이 있군요.
침대는 내가 자면서 자세를 의식적으로 조정할 수 앖으니까 나에게 잘 맞는 좋은 걸 써야하고
의자는 바른자세를 잘 도와줄 수만 있다면 그때부터 더 비싼건 한계효용이 떨어지지 않나 싶습니다
1. 좋은 의자에 앉았다고 갑자기 좋아지진 않습니다.
좋은 의자 덕분에 바른자세로 오랜 시간 앉아있을 수 있다면 좋아집니다
2. 마찬가지로 덕분에 바른자세로 장시간 사용하시면 상대적으로 예방 됩니다
3. 솔직히 저는 사오체, 시디즈 같은 메이커는 너무 비싸다고 생각됩니다. 차라리 커블을 사고 말지..ㅋㅋ

바른자세에는 책상-의자-모니터 각도랑 높이도 중요해요
1
고가의 고기능성 하이엔드 사무용 의자가 무조건 좋다 (x)

고가의 고기능성 하이엔드 사무용 의자가 본인 체형, 상황에 맞을 혹은 맞출 수 있을 확률이 높다 (o)

고가의 고기능성 하이엔드 사무용 의자가 저렴한 비슷한 컨셉의 사무용 의자(;회전되고 틸트 되고 등등)에 비해 내구성이 높다 (△)
(*이건 외국 유명 브랜드 100만원~200만원 이상 제품 일부의 경우에는 틸팅 시스템이나 기타 의자 재질 등이 확연히 좋아서 참일 수 있는데, 국내 유명 브랜드는 이제 적용이 안 되는 것 같습니다. 10년, 20년 전에는 퍼시스 계열 고기능성 의자도 내구성이 좋아서 10년씩 거뜬히 쓸 수 있었는데,... 더 보기
고가의 고기능성 하이엔드 사무용 의자가 무조건 좋다 (x)

고가의 고기능성 하이엔드 사무용 의자가 본인 체형, 상황에 맞을 혹은 맞출 수 있을 확률이 높다 (o)

고가의 고기능성 하이엔드 사무용 의자가 저렴한 비슷한 컨셉의 사무용 의자(;회전되고 틸트 되고 등등)에 비해 내구성이 높다 (△)
(*이건 외국 유명 브랜드 100만원~200만원 이상 제품 일부의 경우에는 틸팅 시스템이나 기타 의자 재질 등이 확연히 좋아서 참일 수 있는데, 국내 유명 브랜드는 이제 적용이 안 되는 것 같습니다. 10년, 20년 전에는 퍼시스 계열 고기능성 의자도 내구성이 좋아서 10년씩 거뜬히 쓸 수 있었는데, 요즘은 아닌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그리고, 해외 유명 브랜드 고가 제품도 수입되면서 거품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가격에 비해 내구성이나 마감이 안 좋고, 유지보수도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

사실 좋은 의자보다도 중요한 것은 운동하고, 자세 좋게 유지하고,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앉아있는 것을 피하고, 오래 앉아있어야 하면 한 시간에 한 번씩이라도 일어나서 스트레칭해주고 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게 잘 안 되는 경우 차선책으로 좋은 의자나 높이 조절 책상 등 주변환경을 가능한 허리, 목 등에 무리가 안 가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유럽의 경우는 특히 무의식적으로 계속 움직이게 만드는 컨셉이나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움직임을 덜 제약하는 컨셉이 적용된 사무용 의자들이 10년 사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이런 앞선 컨셉들이 적용되어서 잘 만들어져 있다고 해도, 계속 앉아있는 것은 몸에 무리가 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의자만 단독으로 쓰이는 것도 아니고, 의자가 쓰이는 환경, 쓰는 사람 체형, 앉아서 하는 작업의 종류 등등 변수가 많아서 무조건 좋은 의자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비싸도.

하지만, 좌판 높이부터 해서 팔걸이 조절, 등판 높이, 좌판 폭, 헤드/넥레스트 조절 등등 조절폭이 아무래도 고가의 하이엔드 의자들이 넓고, 구입할 때부터 중심봉 높이라든지 패브릭, 가죽 종류, 알루미늄 등 소재, 마감 등을 고를 수 있고, 소재가 아무래도 내구성이 더 좋은 경우들이 왕왕 있습니다. 포워드 틸팅이라든지 작업에 따라서는 있으면 무척 좋은 기능들도 아무래도 고가의 제품들이 더 좋습니다.

일반적인 환경, 일반적인(?) 체형이면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의자도 잘 맞을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저는 최근에 의자 바꾼 지 몇 달 되었는데, 만족도가 높습니다. 목이 안 좋고, 앉아있는 시간이 굉장히 긴 편이라서 특히 그런 것 같습니다.

===

1. 고질적으로 허리가 아픈 사람에게는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 허리가 아픈 것도 다양한 원인이 있어서 일괄적으로 얘기는 못 하겠지만, 아무래도 좋은 의자는 허리에 무리가 덜 가는 자세를 편하게 유지하도록 해줍니다. 물론 이것도 사람마다 달라서 본인에게 맞는 의자를 골라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효과가 매우 크다고 느낍니다.

2. 허리가 안 아픈 보통의 사람에게는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 본인에게 맞아 좋은 자세를 무리 없이 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라면 나이가 들어서 목, 허리가 안 좋아지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3. 그 효과가 해당 가격을 납득할 수 있을 정도인지
=> 이건 사람과 상황마다 다를 것입니다만, 저는 만족합니다. 늦게 바꾼 것을 후회하고 있습니다. 가격보다도 본인에게, 상황에 맞는 의자를 찾는 것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고가 의자 중에 잘 맞는 의자를 찾을 확률이 더 높기는 한 것 같습니다. 고가라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고.


홍보 영상이기는 합니다만, 액티브 시팅 컨셉들이 들어간 사무용 의자들입니다.

https://youtu.be/z4Is0HlFWys
Understanding the active workplace


https://youtu.be/F8_ME4VwTiw
Ergonomics Expert Explains How to Set Up Your Desk


참고로 물을 자주 많이 마시면 화장실을 자주 가야 해서라도 오래 계속 앉아있지 않게 만들어줍니다.

맥주도? :)
5
보이차
의자 침대에 신경쓰라는 말은 하루에 의자에 10시간 앉아있고 침대에 8시간 누워있어야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좀 비싼걸 사더라도 가성비는 꽤나 나오는 편입니다
다군님 말씀처럼 아무리 비싼 의자라도 중간중간에 쉬어주는게 꼭 필요한데 허먼 밀러가 그래서 일부러 목받침대를 안 달아놓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1
회색사과
좋은 얘기는 위에서 다 해주셨고...

암만 비싼 의자여도 자기랑 안 맞으면 말짱 꽝입니다.

그리고 시디즈는.... 의자 중에는 순한맛이에요..
1
좋은 의자에 앉으면 좋다는 느낌이 안듭니다.
대신 안좋은 의자에 앉으면 안좋다는 느낌이 들지요.
7
은하노트텐플러스
아무런 쿠션 없는 나무로 만든 간이 의자에 2시간만 앉았다 일어나보세요.
왜 의자는 비싸야 하는지 바로 알게 되실겁니다...
1
한계효용은 확실히 있습니다. log x느낌인데, 개인적으로 허먼밀러는 한계효용을 넘어선 마케팅 비용이 일부 들어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비용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엄청 많습니다. 일단 미세 조정 수준이 비교불가예요. 회사같이 많은 사람이 쓸 의자로선 최고죠.

저도 예전에 비슷하게 생각했어서... 궁금증 해결하기 위해 매장 다녀보면서 앉아보고 테스트해봤는데
허먼밀러 가격부터는 기본적으로 달려있는것들이 비슷해집니다. 핵심은 1. 요추 받침, 2. 좌판 틸팅 및 길이 조절입니다.
앉아서 일하는 사람들이 가장 취약... 더 보기
한계효용은 확실히 있습니다. log x느낌인데, 개인적으로 허먼밀러는 한계효용을 넘어선 마케팅 비용이 일부 들어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비용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엄청 많습니다. 일단 미세 조정 수준이 비교불가예요. 회사같이 많은 사람이 쓸 의자로선 최고죠.

저도 예전에 비슷하게 생각했어서... 궁금증 해결하기 위해 매장 다녀보면서 앉아보고 테스트해봤는데
허먼밀러 가격부터는 기본적으로 달려있는것들이 비슷해집니다. 핵심은 1. 요추 받침, 2. 좌판 틸팅 및 길이 조절입니다.
앉아서 일하는 사람들이 가장 취약한 곳이 요추 허리쪽 디스크와 거북목인데, 엉덩이를 끌어당겨주는 의자가 있으면 앉는 자세가 올바르게 됩니다.

위 선생님들이 말씀하신대로 원래 좋은 자세라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나이가 들면서 근육이 빠지고 살이 찌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해주는 보조기구로서 신체에 맞게 조정할 수있는 기능이 비싼겁니다.
왜 1과 2가 그리 비싼가... 그리고 저렴한 의자는 왜 저 두가지가 부족한가를 알기 위해선 앉아봐야 합니다.
앉아보고 요추받침 당겨보고 올려보고 좌판 무릎쪽 올려봤다가 길이 줄여봤다가 늘려봤다가 하면서 최적의 자세를 찾아서 앉아보는거죠.
그 다음 집에 돌아와 원래 의자에 앉으면 뭐가 부족하지 느낌이 바로 옵니다. 아... 이게 미세조절이 안되는구나... 그래서 비싼거구나 주륵
1
사과농장
회사에서 허먼밀러로 의자를 바꿔줬습니다. —> 이게 그렇게 좋은 의자라고? 잘 모르겠는데?
집 인테리어를 하면서 의자를 허먼밀러로 구입했습니다. —> 역시 잘 모르겠네, 좋은지... 괜히 돈 썼나...
사정이 생겨서 일반 의자에 2시간 앉아서 일을 했습니다. —> 헉헉... 허먼밀러가 좋은 거였구나...

개인적인 경험담입니다...
2
침묵의공처가
좋은 회사 다니시는군요!
사과농장
엄... 오래 앉아있어야 했거든요... ㅠ
Dr.Pepper
시디즈는 진짜 순한 맛.. ㅋㅋㅋ
상위로 가면 디자인/소재에 따라 가격이 엄청 갈리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비싼 값을 한다는건 기능/성능적으로 비싼게 값을 한다는 의미로 이해하셔야 좋습니다ㅋㅋㅋ
1
그러게요...댓글 보고 시디즈 이상의 의자도 있다는 걸 처음 알았습니다...
버터쿠키
내구성부터가 다릅니다
허먼밀러 잘 나가는 모델은 지금 공식 업체에서도 공급이 제대로 안 되어 기다리고 있죠.
1
강한 척추기립근으로 극복
시디즈 의자는 비싼의자가 아니지않나요...?
1
위에 댓글들 보고 그 이상의 세계를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더스키더스키
시디즈 정도면 괜찮을 것 같네요... 정말 싼 10만원 이내? 사무용의자의 경우엔 쓰다보면 좌우밸런스가 무너져서 허리가 아픈 경우가 있어요..
1
아 맞아요 더 싼 의자를 쓰다가 한쪽이 내려앉아서 교체한 기억이 나네요 ㅎㅎ
전 장시간 컴퓨터로 일해 왔는데, 키보드도 의자도 딱히 가리지 않습니다. 잘 걸어서 그른가 허리는 튼튼한 거 같은데...그냥 편한 의자가 대학교 강의실 나무 의자라서 제 데스크탑 책상 의자네요ㅋ 그런데 또 귀는 안좋은 편이라...사용제품이 비싸면 비싸졌지...합리적(?) 가격이 될 일은 없을 거 같습니다. 그러니 개인 상황에 맞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호미밭의 파스꾼
극히 주관적인 사례임을 전제하고,

고딩 때부터 디스크로 고생했던 저는 약 2년 전 돌침대 + 식탁 의자처럼 부가 기능 없는 딱딱한 의자로 바꾼 뒤,
근 20년 만에 처음으로 디스크 통증 없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24 IT/컴퓨터'물건 정리'에 활용하기 좋은 소프트웨어는 뭐가 있을까요? 8 똘빼 22/05/29 4599 0
1759 게임'미궁' 게임 아시는 분 계시나요? 7 Toby 16/11/11 3367 0
5970 진로'보통 한국 남자' 에 대한 거부감/ 공포감 7 [익명] 18/11/27 3019 0
1233 의료/건강'세라토닉' 명칭 관련 질문입니다 3 얼그레이 16/06/27 10991 0
1414 의료/건강'소아정신의학'은 언제부터 배우나요? 본과? 7 jklljh 16/08/13 4929 0
1850 교육'손은 눈보다 빠르다'를 어떻게 영어로 설명할까요? 49 tannenbaum 16/12/01 8261 0
10883 과학'악령이 출몰하는 세상'과 비슷한 책이 있을까요? 3 [익명] 21/01/23 3924 0
6344 의료/건강'약재'에 대해 여쭤봅니다. 4 snobbism 19/01/20 3713 0
1325 체육/스포츠'어깨가 식는다.' 라는 말은 정확히 뭘 말하는건가요? 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7/25 6413 0
6809 기타'어중간한 놈' 대회에서 우승하면 어중간한 걸까요? 6 [익명] 19/03/21 2758 0
11386 기타'어짜피' 를 실제 대화에서 사용하는 분 혹은 사용을 목격하신 분 계신가요? 19 arch 21/04/19 5752 0
4109 IT/컴퓨터'예쁜' 사무용 무선 키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12 리페이스 18/02/06 5700 0
16711 기타'이게 맞아?'라는 표현이 언제부터 유행했을까요? 1 + 토비 25/05/02 182 0
9839 기타'지구 온난화'에 의심이 많은 편입니다 28 토비 20/07/27 5011 0
5840 기타'지킬 거 다 지키면 못 해'가 많은 이유가 뭘까요? 16 김우라만 18/11/06 4357 0
2995 의료/건강'침습성'의 정의에 대해 4 작은 아무무 17/07/02 4795 0
1107 기타'특이점' 이 온 ~!@#$%^&*() 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3 4311 0
13931 경제'한 장'은 얼마인가요? 8 서당개 22/09/30 6692 0
11415 기타‘내가 스물 넷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하나씩만 말씀해 주세요 홍차넷 선생님들!! 50 21/04/24 5833 1
5108 기타‘서점에서 책한권 다읽기’ 어떻게 생각하세요? 11 현타247 18/07/21 6325 0
11145 의료/건강‘의자는 비싼 거 써야 한다’는 통념이 얼마나 사실인가요? 25 21/03/07 8442 0
11207 기타‘좋은’ 사람과 친해지고 싶은 욕망은 보편적인 건가요? 9 [익명] 21/03/19 4742 0
4081 의료/건강‘체력’이 궁금합니다. 5 우분투 18/01/30 4529 0
5170 기타"-읍니다" 유행어(?)의 근원지가 어디인가요? 18 [익명] 18/07/31 4681 0
11400 기타"구동존이"라는말 아세요? 18 주식하는 제로스 21/04/21 5740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