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2/08 23:30:30
Name   [익명]
Subject   설날에 가족 모임 어떻게 대처하는게 가장 현명할까요??
일단 와이프 쪽은 애초에 명절에 친척들이 다 모이질 않습니다.
직계 가족만 모여서 식사를 하며, 장모님 한 분만 계시기 때문에
장모님, 저, 와이프, 처남 넷이 모여서 식사를 할 예정이에요.
매년 그래왔고, 코로나 시국에도 4인이니 별 문제가 될 게 없지요.

문제는 저희 집 쪽 입니다.
저희는 매 명절마다 큰집에 할머니까지 친척들이 다 모여서 식사를 합니다.
대략 다 모이면 그때 그때 다르지만 보통 10~14명 정도 모입니다.

지난 추석 때는 추석 연휴 시작 2일전에 저희 회사에 코로나 확진자가 다녀가서
저희 직원들 전부 자가 격리를 시작 해 어쩔 수 없이 큰집에 가지 않았습니다.

이번 설에는 5인 이상 모이지 말라는데, 오늘 아버지와 통화해보니
너무 아무렇지 않게 설날 당일에 큰집으로 와라~ 라고 말씀하시더군요.
제가 이번 설은 5인 이상 모이면 안된다고, 다시 생각해보라 했는데도 그걸 누가 지키냐며;;;
설에 가족들이 못 모이는게 말이 되냐며... 상식적인 대화가 통하지 않습니다.

저는 저도 그렇고 와이프도 그렇고 우리가 코로나라도 걸리거나 친척들 중에
코로나 확진자가 나오면 5인 이상 모인 것도 걸리게 되고, 나는 회사에서 매장 당할 것이다 라며
모임에 가는 것을 꺼려 했지만 아버지는 코로나 걸릴일이 없을 거라며... 입장이 강경하시네요;;

이런 상황에서 아버지를 끝까지 설득해서 모임에 안 가는게 맞을 지, 그냥 리스크를 감수하고 모임에 가야 할지,
아니면 아예 아버지 말씀을 무시하고 연락도 받지 말고 모임에 가지 말 지 고민 중입니다.

어떻게 하는 게 가장 좋은 대처 방법일까요??



0


안가는게 맞는거죠. 정부 지침도 지침이지만 만의 하나 누군가 걸리면 집안 박살나는거 일도 아닌데...

특히 나이드신 분들은 더 위험하고요. 저라면 무조건 안가겠습니다. 회사에서 연휴기간에 고향 방문시 인사상 불이익 주기로 했다고 하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4
열대맛차
지금부터 기침하시고 동료가 확진되서 자가격리해야한다고 하시면 됩니다.
나중에 다시 물어보면 동료가 확진이 아니라 확진자랑 같이 있었다네요 정도로 마무리하세요
회사 핑계는 안 통할 가능성이 너무 커요. 거짓말은 한번에 크게 하셔야 합니다.
7
조지 포먼
한순간에 무너지는거죠
저는 욕 먹는 한이 있어도 안간다 하였는데 오지 말라네요
바닷내음
그걸 누가 지키냐니..
글쓴이님한테 죄송하지만 의료진 죽어나는거 생각하면..
네임넴
무시하고 가지 마시든지..그게 좀 찝찝하면 그냥 지금 감기기운 있어서 못가겠다고 하셔요
나코나코나
전 그래서 휴가를 좀 늘려잡고 5인이 모이지 않도록 돌아다닐 예정입니다. 설날 당일엔 근무 있고 다른 날 간다고 하세요.
그냥 당일신ㄱ....읍읍.
못간다고 말하세요. 다른날 가서 뵌다고하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149 가정/육아쓴맛 나지 않는 소금 추천 부탁드립니다 46 몸맘 21/03/07 7211 0
11133 가정/육아초등학교 저학년 의자 추천 부탁드려요. 18 늘쩡 21/03/04 6060 0
11118 가정/육아키즈폰 4 pils 21/03/01 5182 0
11074 가정/육아어머니와 누나의 싸움.. 12 [익명] 21/02/21 4165 0
11064 가정/육아제가 제머리를 때려요.. 19 [익명] 21/02/19 4906 0
11023 가정/육아형제 자매 남매 가정에 시집/장가 8 방사능홍차 21/02/13 3385 0
11012 가정/육아부모님 사용하실 안마의자 추천부탁드려요! 1 DogSound-_-* 21/02/12 5221 0
11011 가정/육아아기 유산균 질문드립니다 2 All is well 21/02/11 4417 0
11001 가정/육아건조기 질문 7 [익명] 21/02/10 4086 0
10991 가정/육아설날에 가족 모임 어떻게 대처하는게 가장 현명할까요?? 7 [익명] 21/02/08 4208 0
10976 가정/육아출산지원책 어디까지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7 나코나코나 21/02/06 4440 0
10954 가정/육아여자와 대화할땐 공감부터 해줘야 되나요? 30 [익명] 21/02/03 6873 0
10934 가정/육아해산물 손질하고 세척을 어떻게 하시나요? 2 기린 21/02/01 4901 0
10922 가정/육아육아 휴직 연장할까 말까 고민 중이에요. 7 [익명] 21/01/29 4155 0
10893 가정/육아이불은 어떻게 버리나요? 4 업무일지 21/01/24 5400 0
10871 가정/육아4세 남아 힘빼는법?? 9 Groot 21/01/20 4808 1
10845 가정/육아어려운 책을 보면 잠이 옵니다 11 행운 21/01/17 6263 0
10816 가정/육아아빠와 관련된 고민입니다. 9 나비보벳따우 21/01/12 4641 0
10792 가정/육아가족간에 갈등이 있으면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1 [익명] 21/01/09 4446 0
10790 가정/육아LED 등이 너무 밝읍니다 6 오쇼 라즈니쉬 21/01/08 6891 0
10762 가정/육아전기세가 많이 나왔는데 어디를 알아봐야 할까요 10 토비 21/01/03 8604 0
10750 가정/육아식칼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자크 21/01/01 5306 0
10746 가정/육아형광등 어떻게 버리세요? 8 토비 20/12/31 5076 0
10745 가정/육아회피형인 타입의 아내와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요? 17 [익명] 20/12/30 6919 0
10716 가정/육아아기 있는 집 TV 보호기 어떤 것을 쓰시나요? 4 세인트 20/12/26 524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