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12/07 20:56:16
Name   [익명]
Subject   제가 이 노트북 구매할려고 하는데, 노트북계의 김연아님 모십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오피스 업무/ 웹서핑 및 영화 시청/  게이밍  겸용으로 노트북을 구할려고 검색했고

제가 보기에는 맘에 드는 노트북을 찾았는데,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듣고 싶어서 글 올려봅니다.




일단, 제가 하는 업무가 3-4 개월에 한 번씩 여기저기 파견 나가는 업무라서, 데스크탑 PC 는 애초에 제외를 했고요,

오피스 업무도 하면서,  업무가 끝나면 틈틈이 AA 급 게임도 하려고 노트북 알아봤습니다. 전 17 인치가 좀 더 광활해보여서 선호하고요.



17인치 노트북에, 오피스 업무도 하고, 업무가 끝나면 게임도 하고, 그럴 용도로 다나와 노트북에서 알아봤는데



17인치 MSI 크리에이티브 노트북이 꽤나 괜찮아 보이더군요.

http://www.11st.co.kr/products/3065535326?xfrom=order%5Elist&xzone=order%5Elist



원가는 164만원인데, 지금 전자제품 할인시기 이기도 하고 해서, 이것저것 중복할인에 카드할인까지 합치면 150 만원에 구입 가능할 것 같더라고요.


참고로 제가 이 노트북으로 하고 싶은 게임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니어오토마타 (권장사항: NVIDIA GTX 980)

2. 천수의 사쿠나히메 (권장사항: NVIDIA GTX 1060)

3. 레드데드리뎀션2 (권장사항: Nvidia GTX 1060 )

4. Kingdom Come: Deliverance (권장사항:Nvidia GTX 1060)

5. 위쳐3 (권장사항: Nvidia GTX 770)

6. 하락군협전 (권장사항: NVIDIA GTX 1050ti )

7. 토탈워 :쓰리킹덤즈 (권장사항: GTX 970)

8. 크루세이즈 킹즈3 (권장사항: Nvidia® GTX 1650)



   사양만으로 봤을때는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게다가 이 노트북이 다른 게이밍 노트북처럼 너무 존재감 내뿜는 화려한 노트북이 아니라는 점도 맘에 듭니다. 업무용으로도 같이 쓸 거라서... 다른 게이밍 노트북처럼 너무 화려하고 존재감 지나친 노트북은 패스하고 싶어서요.


   사실 제가 제일 원했던 건 게이밍 노트북에 터치스크린 기능도 포함되어 있는거였는데...
게이밍 노트북에 터치스크린 기능 추가한거 알아보니까 가격대가 상상을 초월해서....;;; 터치스크린 기능은 눈물을 머금고 걍 포기했습니다.


여튼 이런 목적으로 이 노트북에 마음이 가는데, 노트북 잘알 분들 의견 듣고 싶네요.  혹시 더 나은 대안 모델이나 노트북 추천 모델 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의견 있으면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동네주방장
저도 게이밍 노트북 구매해서 잘쓰고 있는데요.
꽤나 치명적으로 오는 단점이 팬소음입니다.
이게 방에서 혼자 게임할때도 꽤나 커서 이걸 업무용으로는 못쓰겠다 싶어서 팬리스 노트북을 업무용으로 하나더 준비할 생각입니다.
업무용으로도 쓰신다고 하니 생각나서 말씀드립니다.
[글쓴이]
안 그래도 노트북 발열 심한건 기정사실 같아서...

노트북 발열과 팬소음 잡을 방법 생각하고 있는데 쿨링 거치대 말고는 마땅한 방법이 생각나질 않아 고민입니다..
200 안쪽으로 말씀하신 조건(17인치대, AA급 중옵 이상, 점잖은 디자인) 만족하는 제품은 크리에이터 정도가 끝입니다. 굳이 더 추가하자면 어로스나 에어로 같은 기가바이트 제품들 정도 있으려나요... 15인치까지는 선택 폭이 넓은데 17인치부터는 많지 않더라구요.
다만 이런 슬림형 겜트북들 발열 엄청 심할 거에요. msi는 as도 꽤 불편한데 보드에 문제 생기면 골치 아프실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리고 싶어요. 사실 이건 다른 중화권 제조사들도 마찬가지긴 해요. asus가 조금 더 낫다는 평이지만요. :)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링크한 노트북 사양의 램이 8 * 8 g 로 16g(2666) 인데, 16* 16g 로 32g(3200) 램으로 업그레이드하면 위에서 열거한 게임하는데 체감이 있을까요?

저 사양으로는 레데리와 삼탈워가 조금 원활하지 않을거 같아서요.


그리고 안 그래도 저 노트북 발열 심한건 구매후기 보면 기정사실 같아서...

노트북 발열과 팬소음 잡을 방법 생각하고 있는데 쿨링 거치대 말고는 마땅한 방법이 생각나질 않아 고민입니다..
예전엔 언더볼팅 통해서 약간이나마 발열 해소가 가능했는데, 요즘은 해킹 우려 때문인지 제조사 측에서 원천 차단시켜놨더라구요.
메모리는 다다익선입니다. 고수율의 메모리가 여러 채널로 구성될 수록 성능이 올라가는 건 확실합니다. 문제는 그 상승폭입니다. 플레이하실 게임에서 체감되느냐는 건데, 솔직히 이건 제작사 측에서 개발한 방식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보통의 경우 8g-16g 체감은 대단히 크지만, 현세대 게임 플레이에서 16g-32g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하이엔드 사양의 데탑에서 qhd 이상의 해상도로 플레이할 경우에는 분명히 클럭 등의 영향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지금 구매를 계... 더 보기
예전엔 언더볼팅 통해서 약간이나마 발열 해소가 가능했는데, 요즘은 해킹 우려 때문인지 제조사 측에서 원천 차단시켜놨더라구요.
메모리는 다다익선입니다. 고수율의 메모리가 여러 채널로 구성될 수록 성능이 올라가는 건 확실합니다. 문제는 그 상승폭입니다. 플레이하실 게임에서 체감되느냐는 건데, 솔직히 이건 제작사 측에서 개발한 방식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보통의 경우 8g-16g 체감은 대단히 크지만, 현세대 게임 플레이에서 16g-32g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하이엔드 사양의 데탑에서 qhd 이상의 해상도로 플레이할 경우에는 분명히 클럭 등의 영향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지금 구매를 계획하시는 노트북 정도에서는 어차피 사양의 한계 때문에 옵션 타협은 불가피합니다. 즉, 32g로 구성하셔도 cpu와 gpu에서의 병목 현상 때문에 게임 상의 큰 의미는 없습니다. 다만, 게임 외 다른 작업 프로그램(영상편집, 음악제작, CAD 등)을 사용하실 경우에는 작업 스타일에 따라 업무 속도의 적지 않은 향상이 가능합니다.
참고하실 만한 영상 하나 링크합니다. https://youtu.be/yTPDR2tHH5g?t=262
How Much RAM Do You Need for Gaming?

유투브에 검색하시면 이렇듯 각종 게임들의 사양별 플레이 성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첨부한 영상은 레데리2의 메모리 용량별 플레이입니다. 꽤 높은 옵션임에도 16g와 32g의 차이가 사실상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삼탈워의 경우 커뮤니티에서는 16g로 충분하다는 평이 많습니다. 물론, 앞으로 나올 AA 게임들의 플레이를 희망하시면 추후 자금 사정을 고려하셔서 32g로 증설하는 방향 역시 생각해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비용을 절약하셔서 다음에 구매하실 본체의 사양 업그레이드에 투자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그 쪽이 훨씬 더 높은 성능 향상폭을 기대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1
덧붙이자면, 발열 해소는 슬림형 겜트북들의 영원한 숙제입니다. 최근 출시된 asus의 zephyrus의 경우 사용 시 아예 하판이 외부에 노출되는 설계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했지만, 다른 제품들에서는 여전히 그 해법이 요원합니다. 하절기 전에는 히트파이프와 하판 사이에 써멀패드를 부착하시고, 주기적인 먼지 청소와 써멀 재도포를 통해 해결하시는 방법만이 수명 연장을 도울 수 있을 듯합니다. 그리고 이건 상식적인 얘기이지만, 침구류 등 하판의 통기가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용 역시 지양하는 편이 좋습니다.
쿨링 거치대는... 이용하는 편이 당연히 낫기야 하겠지만, 큰 의미는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효... 더 보기
덧붙이자면, 발열 해소는 슬림형 겜트북들의 영원한 숙제입니다. 최근 출시된 asus의 zephyrus의 경우 사용 시 아예 하판이 외부에 노출되는 설계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했지만, 다른 제품들에서는 여전히 그 해법이 요원합니다. 하절기 전에는 히트파이프와 하판 사이에 써멀패드를 부착하시고, 주기적인 먼지 청소와 써멀 재도포를 통해 해결하시는 방법만이 수명 연장을 도울 수 있을 듯합니다. 그리고 이건 상식적인 얘기이지만, 침구류 등 하판의 통기가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용 역시 지양하는 편이 좋습니다.
쿨링 거치대는... 이용하는 편이 당연히 낫기야 하겠지만, 큰 의미는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효과가 있다는 분들 역시 제품의 쿨링팬이 아니라, 하판과 바닥 사이의 공간을 띄워서 공기순환을 원활히 하는 것에 의의를 둡니다. 그래서 쿨링 목적의 거치대를 마련하시는 것보다는, 차라리 하판의 구조를 파악하신 후 통풍구 전면의 공간을 확보하실 수 있는 노트북 스탠드를 구입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aptop&no=204513
디시 글이라 문체가 다소 거칠긴 하지만, 참고하실 수 있을 것 같아 링크합니다. 댓글에 의견이 분분하긴 한데 저는 경험상 글쓴이의 주장이 더 설득력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열린음악회
M1 pro 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699 IT/컴퓨터네 카카오 서비스 내의 각 아이콘의 바탕색이 다 다른 것인가요? 5 알겠슘돠 20/12/24 5383 0
10694 IT/컴퓨터43인치 4K 모니터 10 blu 20/12/23 5481 0
10669 IT/컴퓨터문서작업용 모니터를 사려고 합니다.(제목수정) 11 [익명] 20/12/21 4199 0
10668 IT/컴퓨터저소음 피씨에 대한 질문입니다. 4 나루 20/12/20 4311 0
10665 IT/컴퓨터스마트폰 - 모니터 연결 질문입니다. 3 불타는밀밭 20/12/20 5218 0
10664 IT/컴퓨터(유튜브) 녹음시 '치-' 혹은 '삐-'하는 소음 어떻게 해야 없앨 수 있을까요..? 7 [익명] 20/12/20 7166 0
10663 IT/컴퓨터부모님 컴퓨터 사양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28 [익명] 20/12/19 4728 0
10658 IT/컴퓨터중소 규모 프로젝트 예산 관리 툴이 뭐가 있을까요? 1 [익명] 20/12/18 4003 0
10652 IT/컴퓨터유료 안드로이드 앱 추천 부탁드려요 8 아침커피 20/12/17 4368 0
10644 IT/컴퓨터소리가 아니라 진동으로 알람되는 손목시계 11 불타는밀밭 20/12/16 5958 0
10642 IT/컴퓨터네이버 탈퇴계정 관련 질문입니다. 4 [익명] 20/12/16 4134 0
10639 IT/컴퓨터기술지원 건당 가격 책정을 해야 합니다 도와주세요 2 행운 20/12/16 4310 1
10637 IT/컴퓨터파이선 코드 백업을 효율적으로 하고 싶습니다 16 [익명] 20/12/16 4484 0
10634 IT/컴퓨터잘 쓰던 D드라이브가 사라졌습니다... 13 [익명] 20/12/15 19523 0
10632 IT/컴퓨터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와이 20/12/15 5118 0
10626 IT/컴퓨터새로 산 컴퓨터 멈춤 현상 질문입니다. 1 원스 20/12/14 5234 0
10617 IT/컴퓨터데이터베이스 교재 추천 5 [익명] 20/12/13 4722 0
10613 IT/컴퓨터에어팟 프로 충전 문의드립니다. 6 Yossi 20/12/12 5625 0
10612 IT/컴퓨터태블릿이 충전되지 않습니다. 5 불타는밀밭 20/12/12 4383 0
10599 IT/컴퓨터태블릿 pdf 필기가 너무 불편합니다. 17 제루샤 20/12/10 8616 0
10597 IT/컴퓨터백엔드 기술면접 관련 질문입니다 10 거소 20/12/10 3689 0
10592 IT/컴퓨터nvidia driver 다운이 너무 느립니다ㅠㅠ 1 원스 20/12/09 4972 0
10582 IT/컴퓨터컴퓨터 구매 질문입니다. 7 Darwin4078 20/12/09 5205 0
10575 IT/컴퓨터파이어 hd 8 vs 10 8 Jazz 20/12/08 4459 0
10566 IT/컴퓨터제가 이 노트북 구매할려고 하는데, 노트북계의 김연아님 모십니다! 7 [익명] 20/12/07 406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