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viationa2z.com/index.php/2024/12/29/air-canada-plane-crash-land-and-catches-fire/
https://www.aviation24.be/airlines/air-france-klm-group/klm-royal-dutch-airlines/boeing-737-800-experiences-hydraulic-failure-skids-off-runway-in-norway/
비행기가 사고가 날 확률이 가장 낮다고 하는데 어제 하루동안 3건이나 랜딩기어 문제가 생겼는데 전문가가 아닌지라 이게 왜 이런건지 모르겠네요.
보잉기종이 문제인건지..LCC에서 보수가 제대로 안되고 무리하게 운행하는게 문제인건지..
https://www.aviation24.be/airlines/air-france-klm-group/klm-royal-dutch-airlines/boeing-737-800-experiences-hydraulic-failure-skids-off-runway-in-norway/
비행기가 사고가 날 확률이 가장 낮다고 하는데 어제 하루동안 3건이나 랜딩기어 문제가 생겼는데 전문가가 아닌지라 이게 왜 이런건지 모르겠네요.
보잉기종이 문제인건지..LCC에서 보수가 제대로 안되고 무리하게 운행하는게 문제인건지..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4/12/30/7AD4ICMVUJC4DG7LEVIP57A52A/
'보잉 737-800′ 무안 참사 하루 전 노르웨이서도 비상 착륙
우연이 겹친건지 모르겠지만 저 기종이 문제가 많은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기사의 논조로는 '많이 팔렸기 때문에 많이 사고가 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견해도 있는 것 같고요.
'보잉 737-800′ 무안 참사 하루 전 노르웨이서도 비상 착륙
우연이 겹친건지 모르겠지만 저 기종이 문제가 많은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기사의 논조로는 '많이 팔렸기 때문에 많이 사고가 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견해도 있는 것 같고요.
설계 결함이 있었던 최신 기종인 737MAX가 아니라 그 전세대인 737NG 기종이라 많이 팔려서 그런게 맞을 것 같습니다. 결함이 있었으면 이미 다 발견되고도 남을 시간이라..
제주항공이 예전부터 정비 쪽으로 말이 많았다고는 하던데 진짠가보네요.
https://www.news1.kr/society/general-society/5645515
(블라인드 글들 모아 인용한 기사입니다)
https://www.news1.kr/society/general-society/5645515
(블라인드 글들 모아 인용한 기사입니다)
근데 저 기종은 아마 전세계에서 단일기종으로 제일 많이 판매된 기종이고, 대한민국 모든 항공사를 통틀어서 제일 많이 운용되고있는 기종이기도합니다. 당연히 사고건수도 제일 많을거고, 저게 위험한 기종인지는 사고 확률을 따져봐야 할것같습니다. (저도 어제 제주항공은 아니지만 타항공사 동일기종 타고 제주에 왔..)
오늘껀 왠지 원래 같으면 그냥 갔을건데 어제 사고때문에 회항결정한 느낌이네요..
오늘껀 왠지 원래 같으면 그냥 갔을건데 어제 사고때문에 회항결정한 느낌이네요..
제주항공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LLC 관련해서 정비 관련 이슈가 있을거 같네요. 운영구조상 빨리빨리 비행기를 정비하고 돌려야 할텐데, LLC 규모상 대체편이나 예비 비행기 수배도 매우 힘들거라서요
공신력있는 문건은 찾지 못했지만,기업입장에서 쓰여진 것 같은 브런치 글( https://brunch.co.kr/@jisuthepilot/11 )과 개인 입장에서 쓰여진 블로그 글( https://buly.kr/BeJSprU )만 검색이 되네요.
큰 차이는 없지만 그래도 돈을 더 들인 쪽이 더 낫지 않겠느냐..라는게 두 글의 공통된 결론인 듯 합니다.
큰 차이는 없지만 그래도 돈을 더 들인 쪽이 더 낫지 않겠느냐..라는게 두 글의 공통된 결론인 듯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