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3/30 19:15:30
Name   삼유인생
Subject   가족주의 판타지를 넘지 못한 ‘폭싹 속았수다’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7088.html

와이프는 눈 퉁퉁부어가며 보지만 전 취향이 아니라 안봅니다.

그런데 이런식의 평론은 영 별로입니다. 뻔하고 올드해요. 이 비평 자체가. 제대로 된 분석가라면 사람들이 왜 난리인지 찬찬히 들여다봐야지요. '풉. 가족주의 신파에 왜들 난리람?'을 깔고 글을 쓰면 안되지요.

한겨레 경향의 한계가 이런 거지요.




16


Mandarin
이쪽 계열 언론인들은 특정 주제에서 유독 교조적인 훈계조를 띠는 경향이 강한것 같습니다
19
삼유인생
나만 똑똑하고 내가 계몽해야겠다는 강박
17
Mandarin
그 특유의 선민의식
14
기아트윈스
계몽령을 받아라!
25
즐거운인생
알지만 시름!
1
문샤넬남편
그정도로 똑똑했으면 조...아닙니다.
6
dolmusa
저도 처음에는 국제시장 제주도 버전인줄 알았는데, 보다 개인의 서사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기자가 하고자 하는 말은 이해는 가지만, 그런 지향점을 가진 영화가 애초에 아닌데 왜 기자 본인의 잣대를 들이대는가는 뭐.. (생략)
3
삼유인생
(기자는 아니고 자유기고가 글이긴 합니다만...)
저런 비평하는 좌파 지식(?)인들의 패턴이 오래되고 발전이 없어서 더 이상 공감을 얻지 못하는 듯 합니다.

외려 '가족주의 한계를 못넘는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지만...중요한 건 그 안에서 삶을 살아낸 개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을 투영했고 어쩌고...'이렇게라도 했으면 한 번쯤 끄덕였을 겁니다.
3
켈로그김
저는 반대로 아주 작은 가족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뭔가를 더 녹여놔서 그게 아쉬웠읍니다.

삶이라는게 그저 이어진다는 수묵화에
미개한 20세기 ㅉㅉ 하고 멋대로 채색을 입혀놓아 몰입에 방해가 되는 느낌(...)
4
닭장군
빨갱이 사냥하듯 신파를 사냥하죠. 사람이 하는 짓이란 대개 비슷한 것 같습니다.
7
저 시대가 끝나가니까 폭싹이 더 가치있는거죠
저런 가족애와 가부장의 시절이 종말에 가까워졌으니까
이 드라마가 2025년에 있으니까 더 좋은드라마고
그래서 앞으로도 계속 좋은 드라마일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니 이런 평론은 홀로 구시대에 남은 망령같아요.
43
삼유인생
???: 자네 혹시 평론해보지 않겠나...
5
초밥은연어
지금은 가모장제 초입 같은데 아직도 가부장제 타령하면
뭐랄까... 가모장제라는 왕관의 무게를 못 쓰는 사람 처럼 보이는 것 같습니다.
4
노바로마
뭐 가부장제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가족관이 흐트러지는건 맞지만, 그게 가모장제화로 볼 수 있습니까?
애초부터 1인가구, 맞벌이, 딩크족 등 현대 사회의 가족형태들이 다양해지는 형태로 바뀌는 거 아닌가요?
2
초밥은연어
결혼을 해서도 여성이 경제활동을 해야하는 것이 가모장제 초입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성이 반려보다 많은 금전을 벌어오고 자산을 쌓을 수록 가정의 형태가 가모장제의 성격을 띄겠죠.

현재 신혼부부의 20%가 연상연하 커플이라는걸 생각하면 충분히 해석할 수 있는 근거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즐거운인생
오 그러면 결혼 후에 남편:아내가 8:2로 경제활동을 하면 가모장제군요..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남편:아내가 4:6으로 바뀌면 확실한 가모장제...
2
노바로마
그게 왜 가모장제입니까? 전통적인 가부장제도가 퇴색되어가는 형태인건 맞아도, 그걸 가모장제라고 칭하는 건 논리적 비약이 아닌가요?
그리고 가부장제도 라는거 자체가 그냥 집안 내에서 아버지가 가장으로서의 권위과 책임을 갖는 것도 있지만, 사회구조 전체적으로도 이러한 제도가 당연시, 공고화 되는 것이 가부장제도에요. 그냥 결혼한 여성이 돈 버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면 가모장제다? 그런 식으로 성립하는 말이 아닙니다. 그리고 이 세상의 가족관이 가부장제와 가모장제만 있는게 아닙니다. 가족관이라는거 자체가 단순히 이분법적인 개념이 아니에요.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가족의 형태는 1인가구, 딩크족 등을 포함해서 대단히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 단순히 가부장, 가모장 같은 단순한 프레임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아니구요.
11
자공진
조선 시대에도 기혼 여성은 농사를 짓고 길쌈을 하였으며... 산업화 시대에도 누나와 여동생이 공장에 가서 장남을 대학 보냈고, 술독이나 도박에 빠진 아버지 대신 어머니가 일을 해서 가족들을 먹여 살린 이야기는 전혀 새롭지 않죠. 그렇다고 해서 가부장제가 아니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8
초밥은연어
술독이나 도박에 빠진 아버지 대신 어머니가 일을 해서 가족들을 먹여 살린 이야기 이거 자체가 가모장제의 유형 중 하나가 아닌가요?
삼유인생
가모장(실제 엄마가 먹여살림)과 가모장제(사회구조적으로 그러한 상황을 강제 혹은 유도하고 구성원리가 그러함)는 다른 것이라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똑똑한 누나나 여동생이 남동생이나 오빠를 위해 집안을 먹여살리고 오빠는 공부를 했다면...그건 가모장을 통해 완벽히 구현되는 가부장제 질서이지요.
2
초밥은연어
저는 가장이란 단어의 정의가 집안을 경제적이든 정신적이든 책임지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대화가 어렵긴 하네요.
삼유인생
그니까 한 개인이 가장인 것과 전체 사회가 특정 성별이 가장이 되도록 강제하고, 그렇게 구성된 사회원리랑은 뭐랄까...결이 다르다고해야하나, 분석 수준이 다르다고 해야하나, 개념의 층위가 다르다고 해야하나. 뭐 그렇다는 얘기입니다. 가부장제가 뭔가 해체/붕괴 수준으로 가고 있다는 점에는 동의할 수도 있는데, 정말 가모장제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느냐...이건 그렇게 지금 얘기하기 어렵다는 정도의 의견인 거지요. 다른 분들은 여전히 가부장제가 구조적으로 크게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 것이고. 여긴 다 해석의 영역, 의견의 영역 아닐까 합니다.
3
초밥은연어
그래서 처음에 초입이라는 단어를 쓰긴 했습니다.
자공진
가부장제 사회이기 때문에, 술독이나 도박에 빠진 아버지라도 그냥 아버지라는 사실만으로 대접해 주어야 하고 그 아버지는 아내나 딸에게 오히려 돈 벌어오라고 큰소리를 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책임'이라기보다 '지배'의 형태입니다.
7
초밥은연어
저랑 가장이란 단어의 해석 자체가 다르신 것 같은데 제 입장에선 그건 가장의 책임을 버린 것으로 봅니다.
자공진
@초밥은연어 그러니까... 위에서 삼유인생님이 말씀해 주셨듯이 어떤 한 집에서 어머니가 가장의 역할을 하는 것과, 사회 전체가 '가장은 어머니'라고 생각하는 것은 다른 문제지 않습니까... '가모장제'라고 하려면 모든 사람들이 '가장'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당연히, 자연스럽게 여성을 먼저 떠올려야 할 겁니다. 지금은 아니지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7
고기먹고싶다
폭싹 다보고 감상평같은거 찾아보다가 이 기사봤었는데 ㅋㅋㅋㅋㅋ 읽고 엥간히 해라 진짜라는 소리가 절로 나왔었읍니다.
5
맥주만땅
그냥 게을러서 그런 것이지요.

긴 작대기가 나오면 프로이드 이야기를 하는 것 처럼...
17
삼유인생
게으른 비평의 전형이지요.
2
하우두유두
저 평론가한테 여기 댓글보여주면 이불킥할듯여..
아니면 아싸 낚시성공?
5
조회수가 돈이되지 좋은 평론이 돈이되나..
9
퓨질리어
대중을 상대로 하는 상업주의적 드라마에 대한 비평으로는 실패했지만,
클릭 베이팅이 요구되는 온라인 상업주의 기사의 측면에서는 성공한 비평일지도요? ㅋㅋㅋ
3
문샤넬남편
아니요 니들이 멍청해서 그렇지 많이 배우고 똑똑하고 휼륭한 내 말이 맞아라고 생각할겁니다.
2
하필 기사 호수가 굉장히 익숙하군요...
2
더샤드
보진 않았습니다만 고백부부 때도 그랬고 이런 드라마들이 지금도 구닥다리 신파 가족주의라고 생각은 하는데...
요즘은 뭐랄까 그래서 [그 가족주의 가부장주의 없애버렸더니 우리 사회에 남은게 뭐냐]를 고민해야하는 시대가 아닌가 싶어서요. 그래 그거 문제인거 알겠고 후지긴 한데, 그나마 신뢰도 박살난 사회에서 믿고 지켜야할 건 가족주의라는 가치마저 없애버리니 그냥 파편화된 개인만 남아버린게 지금 대한민국 아닌가?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이제 그냥 저거 나쁘다 때려부수자 없애자 이런 주장만으론 더 이상 이 사회에 유용하지도 않고 의미도 없다 봅니다.
17
골든햄스
오 댓글 많길래 각오하고 읽어봤는데 뫄 이렇게 볼 수도 있는 거 아닌가? 싶네요. 그렇게 이상한 평론인가? 그렇게 주목받을 만한 평론도 아닌 거 같은데.
2
90년대 중후반 유행하기 시작한 담론, 그 비평구조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한, 그때 이후로 한 번도 변하지 않은 한겨레/경향 스타일이라 사람들이 혀를 차는 거죠. 다들 나이들이 있으셔서...
7
맥주만땅
떽...

아니 마지막 라인이...
삼유인생
(쉿)
평론에서 쉰내나요..
3
침묵의공처가
인류라면 누구나 가족이 있기 때문에 국가 막론하고 웰메이드 가족 콘텐츠는 언제나 먹히죠. 그걸 우습게 보는건 뭔가 정신적으로 어리기 때문 같습니다. 중2라든가....
7
가족이 없는 케이스는... 제법있죠
할머니
작품이 말하지 않은걸로 왜 말하지 않았냐고 꾸짖는 비평.. 이제그만
9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뉴스 게시판 이용 안내 1 토비 16/09/01 31196 1
1793 정치민주당, 단체장 4.2 재보선 완승 4 + 노바로마 25/04/03 111 1
1792 경제"빵지순례 시작은 대전 롯데백화점에서"...새단장 ‘성심당’ 5일 오픈 1 + Leeka 25/04/02 288 1
1791 국제최고급 백화점 대표, 女직원 400명 성폭행…그가 죽은 뒤 생긴 일 4 + Leeka 25/04/02 512 0
1790 의료/건강살 빼는데 머리까지…위고비, 식욕억제제보다 탈모 위험 52%↑ 11 + the 25/04/02 591 0
1789 사회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제이에스티나 대표 기소 10 + cheerful 25/04/02 649 0
1788 국제美, 상호관세 앞두고 “韓 전 산업 불공정 무역” 4 + swear 25/04/02 574 0
1787 게임T1, 해명도 사과도 끝까지 없나요 19 + swear 25/04/02 791 0
1786 경제라인', 日 품으로…"韓은 운영도 개발도 못 한다" 지분도 정리 예고 23 + 활활태워라 25/04/02 991 2
1785 정치'우리가 왜?' 황당한 미군, 개인 SNS에도 정색하고 (2025.04.02/MBC뉴스) 1 + Overthemind 25/04/02 415 1
1784 정치탄핵선고 D-2…헌재 인근 밤샘집회로 도로 통제·출근길 혼잡 2 the 25/04/02 378 1
1783 의료/건강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 인제대 370명 제적 예정자로 분류 8 수퍼스플랫 25/04/01 924 0
1782 의료/건강수액 더 비싸진다…제약사 사업도 '먹구름' [바이탈] 3 메리메리 25/04/01 555 0
1781 의료/건강의사 국가시험 문항 불법 유출...부정응시자 448명 무더기 송치 19 야얌 25/04/01 971 0
1779 정치(단독)계엄군, 물리력 행사…무릎 꿇린 채 케이블타이 '포박' 16 + 명동의밤 25/04/01 971 0
1778 정치‘GDP 킬러’, ‘윤석열 비용’을 계산해 봅시다. 10 맥주만땅 25/04/01 621 2
1777 사회전국 고속버스 1700여대 ‘오늘부터 무료 와이파이’ 1 오디너리안 25/04/01 733 0
1776 정치헌재, 尹대통령 탄핵심판 4월 4일 오전 11시 선고 34 + 다군 25/04/01 2297 4
1775 정치韓대행,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국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 22 the 25/04/01 1106 0
1774 정치머스크 "정부 일하며 큰 대가"‥주가 악영향 인정 8 야얌 25/04/01 606 0
1773 댓글잠금 사회'성폭력 피소'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현장에 유서(종합2보) 65 다군 25/04/01 3553 0
1772 외신캐나다 "오랜 관계는 끝났다…美에 최대 영향 주는 보복 조치 마련" 3 Leeka 25/04/01 803 0
1771 정치中매체 "한중일, 美관세 충격 대응·반도체 공급망 유지 공감대" 1 Leeka 25/04/01 293 0
1770 스포츠프로 골퍼들의 요술 방망이가 된 제로 토크 퍼터 [임정우의 스리 퍼트] 3 메리메리 25/03/31 577 0
1769 경제삼쩜삼보다 편한 '국세청 원클릭' 출시 6 메리메리 25/03/31 749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