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25/03/14 00:51:04
Name   Leeka
Subject   MG손보 결국 청파산으로?...메리츠화재 인수포기 '후폭풍'
재출범 뒤에도 경영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고 금융당국은 지난 2022년 4월 금산법에 따라 MG손보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했다. 이후 다섯차례에 걸쳐 매각 절차가 진행됐지만, 자산 건전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 매번 고배를 마셨다.

메리츠화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것은 지난해 12월 9일이다. 인수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인수 절차가 자산부채이전(P&A) 방식이기 때문에 부실 자산 이전 및 고용승계의무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메리츠화재는 MG손보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려 했으나, MG손보 노조와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이날 인수 포기를 선언했다.

메리츠화재는 예보를 통해 전체 직원의 10%를 고용 승계와 비고용 위로금 250억원 지급한다는 내용의 합의안을 전달했으나 노조 측은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예보가 최종 조율을 위해 메리츠화재와 MG손보 노조, MG손보 대표관리인에 회의를 요청했지만 노조는 회의에 불참했다.

■MG손보, 청·파산 우려↑
이날 금융당국과 예보는 메리츠화재의 우선협상 대상자 지위 반납과 관련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대응 가능한 방안은 크게 두가지다. 새로운 인수자를 찾거나 청·파산에 나서는 방향이다.

문제는 새로운 인수자를 찾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보험 업계 관계자는 "보험사 지급여력비율(K-ICS·킥스) 권고기준이 150%에서 130%로 인하된다고 하지만 '자본의 질' 개선을 강조하고 있어 MG손보 인수는 비용 부담이 크다"며 "(MG손보) 노조가 주장하는 고용승계까지 고려하면 부담은 더 커진다"고 지적했다.

실제 MG손보의 킥스는 경과조치 후 기준 지난해 3·4분기 43.4%로 법정 기준인 100%를 크게 하회한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의무 준수기준(적기시정조치 요건)으로 도입하기로 한 '기본자본 킥스'를 보면 MG손보의 경우 7.7%에 그친다. MG손보 인수에 들어가는 비용과 함께 킥스 개선 및 고용승계 등에도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야 한다는 의미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MG손보가 사실상 청·파선으로 정리될 가능성을 높게 본다. 리젠트화재 등 이전 청·파산 때는 P&A 방식을 통해 계약을 이전한 뒤 청산한 사례가 있어 계약자의 피해가 제한적이었지만 현재 보험 업계의 분위기에서는 MG손보는 계약이전이 없는 첫 청산될 가능성도 있다.

청·파산으로 결론이 날 경우 소비자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보험계약자는 예금자보호법상 5000만원까지 해약환급금을 보장받지만, 이를 초과하는 금액은 손실을 볼 수 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MG손보의 보험 계약자 수는 124만4155명이다. 이중 5000만원 초과 계약자는 1만1470명으로 이들의 계약 규모는 1756억원 수준에 이른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3131409546396



1. MG 손보 상태가 매우 안좋음

2. 몇년간 매각 대상을 찾았으나 메리츠화재가 겨우 나와서 인수 절차 밟음

3. 메리츠는 부분 고용 + 해고자에겐 위로금을 주겠다고 했으나 / 노조에서 완전고용을 주장하며 실사를 3개월간 방해

4. 메리츠화재가 그럼 인수 안하겠다고 철수

5. 3년 넘게 구하면서 계속 몸값을 내려도 살 기업이 한명 겨우 나온 상태였는데, 다시 살 기업을 찾는건 무리에 가까워서 그냥 파산할 것으로 보인다고 함.

파산 시 '기존 보험 가입자들은 전부 해약처리' 되고..  해약기준으로 5천만원까지의 환급금이 있다면 보존해줌. 그 이상은 환급금도 손실 발생..
으로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부 틀린게 있다면 누군가 댓글로 해결해주겠지..)



0


FTHR컨설팅
음 저도 잘 모르겠네요.
일단 과거 리젠트화재의 경우
계약은 해지돼지 않고
각 보험사 사이즈별로 분배해서 가져갑니다.

나중에 보험금 받을 일이 생기면 해당 보험사로 가서 청구하면 나오는 식이었긴 했는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80 사회위기를 불러온 건 “엘리트 과잉생산” 3 메리메리 25/03/22 1495 1
1679 정치"재판관들, 평결 시작도 못해"…예측 다 깬 헌재 '4월설'까지 16 우스미 25/03/21 1713 0
1678 정치'尹 체포 저지' 경호처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모두 기각 7 고기먹고싶다 25/03/21 963 0
1677 경제‘계엄령’ 연상케한 한화생명 주총, 주주 출입 가로막고 20분만에 ‘끝’ 13 swear 25/03/21 1478 0
1676 국제런던 히드로 공항, 화재로 인한 정전으로 폐쇄, 글로벌 여행 혼란 초래 5 맥주만땅 25/03/21 887 0
1675 국제핸드폰, SNS까지 뒤진다…美입국금지 급증에 여행객 불안감 커져 3 다군 25/03/21 1026 0
1674 방송/연예[2보] 법원 "뉴진스 멤버들, 독자활동 금지"…어도어 가처분 인용 11 Leeka 25/03/21 1519 0
1673 정치국민의힘, 이재명 고발키로…"마은혁 임명 강요" 27 JUFAFA 25/03/21 1769 0
1672 사회'시민덕희' 김성자씨 보이스피싱 피해재산 못 받는다 3 Leeka 25/03/21 899 2
1671 경제수원시, 대형마트·백화점 포화…2년간 신규 입점 제한 2 Leeka 25/03/21 734 0
1670 스포츠전준우 “우승하면 팬과 롯데월드 투워” vs 강민호 “한국 최고는 에버랜드, 일일 데이트” 5 메리메리 25/03/21 881 1
1669 국제‘미친 계란값’…미국 “한국산 달걀 더 수입할 것” 8 메리메리 25/03/21 1044 0
1668 사회시뮬하던 베테랑도 '절레절레'…"무안공항 착륙 자체가 기적" 3 Leeka 25/03/20 1234 2
1667 국제"美, 비용절감 위해 주일미군 축소 등 검토"…日 '긴장' 7 먹이 25/03/20 976 1
1666 스포츠신한은행, '원클럽 우먼' 40세 최윤아 감독 파격 선임 "도전하는 젊은 지도자" 1 danielbard 25/03/20 781 0
1665 정치‘대선후보’ 이준석, 앱 ‘준스톡’으로 대국민 소통 나선다 25 danielbard 25/03/20 1357 1
1664 정치헌재, 한덕수 탄핵심판 24일 오전 10시 선고…尹보다 먼저 26 매뉴물있뉴 25/03/20 1811 0
1663 국제러시아 마트에 등장한 북한산 사과...유엔 대북제재 위반 3 메리메리 25/03/20 949 0
1662 사회이젠 ‘죽은 사람’ 가는 곳 2 메리메리 25/03/20 1045 0
1661 IT/컴퓨터[영상]거미·캥거루·바퀴벌레 몸짓 섞으면 ‘이런 로봇’ 나온다 1 메리메리 25/03/20 698 0
1660 사회"최고의 행복이었어"… 결혼 앞둔 어린이집 교사, 5명 살리고 하늘로 3 swear 25/03/20 1105 0
1659 경제민간 발전사들, 한전 제소한다... "전기 보낼 전력망 없어 파산 위기" 4 오호라 25/03/20 1008 0
1658 IT/컴퓨터"삼성은 좋은 기업이지만 " 젠슨 황, 삼성 HBM 납품 확답 또 안줬다 4 맥주만땅 25/03/20 995 0
1657 경제더본코리아의 '대리점 돌려막기'…백종원 신화에 가려진 가맹점주 '눈물' 4 swear 25/03/20 1127 0
1656 국제푸틴 '무늬만 휴전' 내주고 진짜는 숨겼다...트럼프의 딜레마 6 swear 25/03/20 976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