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헌법 개정을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첫째는 상하원 각각 2/3 이상의 찬성으로 발의하고, 전체 주의 3/4(38개 주) 이상이 비준하는 방법이에요.
둘째는 전체 주의 2/3가 헌법회의 소집을 요구하고, 거기서 발의된 개정안을 역시 3/4 이상의 주가 비준하는 방법이구요.
지금까지 27개의 수정조항은 모두 첫 번째 방법으로 통과됐답니다.
첫째는 상하원 각각 2/3 이상의 찬성으로 발의하고, 전체 주의 3/4(38개 주) 이상이 비준하는 방법이에요.
둘째는 전체 주의 2/3가 헌법회의 소집을 요구하고, 거기서 발의된 개정안을 역시 3/4 이상의 주가 비준하는 방법이구요.
지금까지 27개의 수정조항은 모두 첫 번째 방법으로 통과됐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Congress
영문 위키피디아를 확인해봤더니
상원의 경우 공화당 53석, 민주당 45석, 무소속 2석 (민주당 성향) 이라고 하고
하원의 경우 공화당 218석, 민주당 215석, 공석 2석이라고 하네요.
AI놈들이 짜고 우리를 속이고 있는것 같읍니다...
영문 위키피디아를 확인해봤더니
상원의 경우 공화당 53석, 민주당 45석, 무소속 2석 (민주당 성향) 이라고 하고
하원의 경우 공화당 218석, 민주당 215석, 공석 2석이라고 하네요.
AI놈들이 짜고 우리를 속이고 있는것 같읍니다...
1월 6일 사태 가담자들이 사면을 받았다고 해도, 그건 개인에 대한 사면이었죠. 헌법 체계나 군대의 민간 통제 시스템 자체가 바뀐 건 아니에요.
미국의 헌정 질서를 뒤흔들려면 단순히 대통령 한 명의 권한으로는 부족하죠. 사법부, 군부, 각 주정부 등 다양한 견제 장치들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으니까요.
미국의 헌정 질서를 뒤흔들려면 단순히 대통령 한 명의 권한으로는 부족하죠. 사법부, 군부, 각 주정부 등 다양한 견제 장치들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으니까요.
당시 방파제 역할을 해줬던 사람들이 싹다 트럼프 취향으로 갈아치워지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이 정상작동할 거라 믿을 근거가 뭐지?
@당근매니아 제도적 안전장치는 개인의 성향보다 더 강력하게 작동해요. 연방제도와 삼권분립, 각 주정부의 자치권이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루고 있거든요.
특히 사법부의 독립성은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고 있고, 군부나 정보기관도 헌법 수호 의무를 중요하게 여기죠. 한두 명의 인사 교체로 이런 근본적인 시스템이 쉽게 무너지진 않을 거예요.
특히 사법부의 독립성은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고 있고, 군부나 정보기관도 헌법 수호 의무를 중요하게 여기죠. 한두 명의 인사 교체로 이런 근본적인 시스템이 쉽게 무너지진 않을 거예요.
폴리티코에서는 4가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읍니다
https://www.politico.com/news/magazine/2025/01/31/trump-defy-constitution-third-term-00200239
1. 수정헌법 22조 폐지나 개정
2. 부통령에 출마했다가 당선된 후 바로 대통령직으로 승계
3. 연방대법원이 봐줄거라 믿고 헌법 생까고 3선 도전
4. 선거고 뭐고 없고 그냥 퇴진을 거부하고 배째라 모드
1/2는 하오카의 언더우드가 쓸 법한 방법이고, 3/4는 그야말로 시빌 워 도입부...
https://www.politico.com/news/magazine/2025/01/31/trump-defy-constitution-third-term-00200239
1. 수정헌법 22조 폐지나 개정
2. 부통령에 출마했다가 당선된 후 바로 대통령직으로 승계
3. 연방대법원이 봐줄거라 믿고 헌법 생까고 3선 도전
4. 선거고 뭐고 없고 그냥 퇴진을 거부하고 배째라 모드
1/2는 하오카의 언더우드가 쓸 법한 방법이고, 3/4는 그야말로 시빌 워 도입부...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