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2/08 09:36:38
Name   구밀복검
Subject   '천당 아래 분당' 불렸는데…"초등 1학년 교실에 5명 뿐" 쇼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278911
1기 신도시 학교 중 상당수는 1990년대 신도시 입주에 맞춰 지어졌다. 한때는 과밀학급으로 몸살을 앓은 곳이지만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 지역 아파트가 노후화되는데 집값은 떨어지지 않자 젊은 사람들이 떠났고, 이는 곧 학생 수 급감으로 이어졌다. 지역의 한 초등학교 교장은 “1990년대 지어진 구축 아파트도 전세가가 7억원을 넘나들자 부모 세대만 이 지역에 남고, 자식 세대는 회사 근처나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도심 폐교 현실화하나

서울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서울 일원동 대청초는 지난해 입학생 수가 10명에 불과했다. 총 학생 수는 92명으로,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5.1명이다. 과거에도 도심 공동화로 도심 학교들의 학생 수가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이제는 주거지 인근 학교에서도 학생 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이다. 주로 빌라촌과 구축 아파트가 있는 곳이다. 대청초를 포함해 개화초, 등명초, 북한산초 등이 서울 내에서 학생 수가 100명이 되지 않는 ‘미니 학교’다..

..재건축·재개발 지도에 따른 학교 쏠림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 같은 일원동 내에서도 대청역을 중심으로 대청초 반대편에 있는 일원초는 학생 수가 1381명에 달한다. 대청초와 일원초의 거리는 불과 1.2㎞. 이곳은 1996가구가 사는 디에이치자이개포와 맞닿아 있다.

전체 학생 수가 1500명 넘는 ‘과대 학교’는 주로 서울 강남·서초, 강동·송파, 강서·양천 지역에 쏠려 있다. 서울 도곡동 대도초(2038명), 상일동 고일초(1900명), 반포동 잠원초(1881명), 역삼동 도성초(1759명) 등이다. 대단지 아파트 입주가 시작됐거나 학군지로 분류되는 지역이다.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 여부가 집값을 좌우하면서 재건축·재개발 조합은 초등학교 신설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교육당국이 학교 설립을 허가하기도 어렵다. 학생 수가 ‘반짝’ 늘어난다고 하더라도 학령인구 감소라는 거대한 흐름을 거스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한쪽에선 학령인구 감소로 폐교를 걱정하는 와중에 다른 쪽에선 재개발·재건축으로 인한 ‘콩나물 교실’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말 국회에서 도심에도 분교를 지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도시형 캠퍼스 설립·운영에 관한 특별법’이 통과된 배경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40854
이처럼 학령인구가 눈에 띄게 줄고 있는데 학원 매출은 오히려 역주행하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와 상관없이 학원 실적이 견고한 데에는 고질적인 사교육 의존 문제가 꼽힌다. 통계청의 최근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를 보면 2023년 국내 초중고생 5명 중 4명(78.5%)이 사교육을 받았다.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27조원으로, 2020년 19조원에서 40.1% 늘었다. 반면 이 기간 학령인구는 608만8827명에서 520만9029명으로 88만명가량(14.5%) 줄었다. 학령인구는 줄었는데 사교육비가 늘었다는 것은 인당 교육 씀씀이가 더 커졌다는 얘기다... 정부가 발표한 초중고 월평균 사교육비 추이를 보면, 1인당 사교육비는 2020년 30만2000원에서 지난해 43만4000원으로 43.7% 증가했다. 학부모가 체감하는 사교육비 지출은 더욱 크다. 지난해 11월 시민사회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실시한 조사에서 사교육 참여 응답자들은 월평균 106만1000원을 쓴다고 답했다. 재수·삼수하더라도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는 게 낫다고 판단하는 분위기가 굳어지면서 재수학원, 기숙학원이 인기를 끄는 현상은 학원 단가 인상으로 이어진다.



'쉰도시' 된 신도시 드립이 재밌네요 ㅋㅋ



2


지금 분당 집값을 마련할 수 있는 초등학생 자녀 둔 부부가 대한민국에 몇이나 될까요...
10
Mandarin
그건 그러네요
절름발이이리
분당도 그렇고 강남 구축들도 그렇지만 사실 매수가격이 높은거지 거주비용이 생각보다 높지는 않습니다. 낡아서 전세가나 월세가가 낮거든요.
3
cheerful
자 이제 시작이야~
1
효모 루덴스
내 꿈을~
1
cheerful
ㅋㅋㅋㅋ 그래프 보면 학령인구 감소의 정체기가 끝나고 진짜 쓰나미가 곧 올 것 같읍니다 ㅋ
1
택시기사8212
인구그래프가 마치 비상하는 가오리같군요.
1
cheerful
가오리의 꼬리가 곧 보일 예정입니디... ;ㅁ;
1
답은 실버산업이다?
역시 부동산은 죄악의 근원입니다
4

분당이 그나마 제일 나은 1기 신도시일 겁니다. 여론이나 정부 관심도도 높고. 집값도 가장 높고?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1기 신도시나 다른 계획도시들도 한때는 젊은 중산층 거주지로 아이들도 많고, 학원도 많고, 잘 나갔지만, 지금은 노인들의 도시가 되어가고 있죠. 나중에 새로 만들어진 신도시들도 비슷한 길을 가는 것 같습니다. 현재는 과밀학급 문제를 겪고 있지만? 정부나 건설사, 부동산 개발업자 등 입장에서는 구 신도시(?)들을 어떻게 하는 것은 너무 어렵고, 새로 신도시 만드는 게 훨씬 쉬우니 자꾸 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것 같습니다.
4
cheerful
돌려막기군요 ㅋㅋㅋ
2
저출산, 저성장 시대라 이제 그것도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2
은하스물셋
제 생각에도 구 신도시를 재개발 하는게 아니라, 신 신도시를 만드는 게 맞습니다.

문제는 신 신도시를 만드는 그 자체가 아니라, 구 신도시 부동산 가격이 감가상각 되지 않고 재개발 호재라는 허명에 유지 되는 거죠. 신 신도시는 죄가 없습니다.
결국 돈이 문제겠죠. 구 신도시도 나중에 더 주택가격이 내려가고, 재개발 비용이 줄어들면 재개발이 본격적으로 될 수도 있겠지만. 어중간하게 가격 유지가 되면서 재개발도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저출산이 뉴노멀인 상태에서 계속 신도시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문제도 있는 것 같습니다. 기반 시설 만들고 하는 것도 다 돈이니.
절름발이이리
주택가격이 높아져야 재개발 재건축이 사업성이 나오는 것이고, 가격이 안 오르면 그냥 낡아갈 뿐입니다.
1
맞습니다. 저는 10년 20년쯤 후에 구 신도시들 주택가격이 많이 내려가고 더 노후가 되어서 전체적으로 도시 재개발 가능성이 생길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어차피 수요가 없는 지역은 재개발이 어려울 것 같네요. 분당 정도나 가능하려나요?
절름발이이리수정됨
예컨대 한남뉴타운이나 성수전략정비구역 같은 '재개발하면 수익성이 높은 지역'들을 보면, 노후도도 올라가지만 가격도 계속 올라가죠. 이건 사실상 동어 반복인데
정비가 될 것같다=정비가 진행될만한 수익성이 있다=토지가격이 높다(건물들만 새로 바꾸면된다)
이거든요. 분당도 수요가 높은 지역이고, 그래서 1기 신도시중 가장 가격이 높고, 그래서 1기 신도시 중 사업성이 제일 높고, 그래서 1기 신도시 중 정비가 잘 진행될 가능성이 제일 높은 겁니다. 만약 가격이 떨어지면 정확히 반대의 악순환이 일어나서, 그냥 하염없이 낡아가다가 빈집 생기고 공동화 됩니다. 분당정도면 일자리도 있고 해서 그래도 최소한의 수요가 계속 채워질수도 있는데, 배드타운들은 속절없지요.
1
은하스물셋
제가 그 쪽 방면 전문가는 아니지만, 간단히 생각해봐도

기반 시설 만드는 데 들어가는 돈이,
구도심 재개발 하는데 투입되는 돈(시간도 돈이고, 각종 잡음도 다 돈이죠)보다는 작을 거라는 데 돈을 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네, 이해관계자가 적은 새판에서, 지가 저렴한 곳에 하는 것이 쉽고, 저렴해서, 돈을 많이 벌 수 있어서 하는 면이 있죠. 문제는 교통이나 인프라 비용이 새로 투입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미 만들어 둔 곳은 노후화되어 버려지거나 유지보수 비용이 계속 생기는 것인데, 고속성장기에는 지속가능했지만, 이제는 자꾸 새로 만들기보다 있는 것 유지보수 하는 비용을 걱정해야할 시점인 것 같습니다.
절름발이이리수정됨
원론적으로 재건축 재개발사업은 민간사업이라 국가의 돈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신도시 개발은 민간이 해내는 경우는 없다고 보면 되고요. 그리고 신도시 개발에 들어가는 돈은 천문학적입니다. 물론 전부 회수가 안되는 건 아닙니다만.
그리고 안방이 더러워졌을 때 그걸 안 치우고 옆방에서 몸만 옮겨가 사는게 당장 정신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편하긴 하겠지요. 어찌보면 그렇게 해온 결과가 현재인데, 무한히 가능하지 않을 뿐입니다.
절름발이이리
그리고 속도에 대해서도 마냥 신도시가 빠른가도 좀 더 생각해볼 부분이 있는데, 집을 짓는 것 자체는 얼추 십여년이면 됩니다만, 인프라 깔리는 건 생각보다 훨씬 더 걸립니다. 계획상 존재하는 전철등이 깔리는데 많게는 20여년은 걸리고 있습니다.
절름발이이리수정됨
신신도시를 계속 만들면 구신도시들이 공동화되며서 발생하는 각종 사회 문제들과, 인프라에 대한 불필요한 과잉투자, 녹지 감소 및 수도권 스프롤등의 다양한 문제가 일어납니다. 그에 반해 구신도시는(서울도 마찬가지고) 이미 각종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건물만 신축으로 바뀌면 되는 것이라 사회적 비용이 더 적습니다. 그리고 신축 아파트의 가격은 해당 지역의 입지와 여건에서 형성되는 거라, 재건축 가능 연한 넘겨 형성된 가격은 허명이 아니라 실질적인 가치입니다.
4
분당 일부 학년은 오히려 과밀입니다. 3지망도 간당간당할 정도로...
2
요즘도 서현이 문제인가요?

콩나물 교실로 ‘맹모삼천’ (2020년)
https://h21.hani.co.kr/arti/COLUMN/44/7053.html
1
수내동이 가장 힘듭니다.
1
서울에 신입 20명 안되는 학교도 있는데 ㅎㅎ
올해가 유달리 이전 해보다 신입생이 매우 적어요. 저출생은 당연하고 특히 이 근처에서는 공립 이외의 기관으로 보내는 움직임도 꽤 크게 느껴집니다. 현직 입장에서 매년 참 두근두근해요.
누가크래커
이래서 얼어죽어도 도심 대단지 아파트...
방사능홍차
인구감소가 주도하는 질서, 그것을 거역할순 없습니다
P의노예
저출산이 노멀화 되었으니 다 같이 늙어가는 수 밖에 없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24 사회210만원 지하철 요금 고지서 날벼락…50대 아저씨가 청년 기동카 썼다 10 먹이 25/05/22 2527 0
2315 사회MBC, 故오요안나 괴롭힘 가해자 지목 기상캐스터와 계약 해지 the 25/05/22 1933 0
2305 사회이창수 중앙지검장·조상원 차장검사 동반 사의 9 the 25/05/20 2597 0
2304 사회‘조희대 사퇴’ 안건서 빠졌다···법관회의, 26일 ‘재판독립 침해 우려’ 논의 26 the 25/05/20 2781 0
2298 사회장애인 통장 가로채고 청년들 월급 떼먹고···체포되자 즉시 지급 11 박지운 25/05/20 2971 24
2296 사회고 오요안나건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 결과 14 매뉴물있뉴 25/05/20 3168 20
2291 사회시흥 흉기사건 용의자 중국동포 차철남 긴급체포…범행 시인(종합) 6 매뉴물있뉴 25/05/19 2403 1
2288 사회"먼저 하늘나라 간 딸은 집에" …딸 잃은 슬픔 속 엄마도 숨진채 발견 3 swear 25/05/19 2794 0
2286 사회SKT 개인정보·IMEI 유출 가능성…3년전 악성코드 설치 추정 12 다군 25/05/19 2730 1
2283 사회SPC삼립 시흥 제빵공장서 50대 근로자 사망…윤활 작업중 사고(종합) 12 다군 25/05/19 2561 0
2276 사회택시비 3만원 때문에 소개받은 여성 '백초크' 살해 시도 10 swear 25/05/17 3145 0
2275 사회"담임 몰아내자"…'아이혁신당' 만들어 담임 내쫓은 초등생들 14 swear 25/05/17 3870 0
2274 사회싸움 말린 여교사 폭행한 초등생…부모는 아동학대로 신고 8 swear 25/05/17 2843 0
2272 사회금호타이어 화재 적재물 모두 연소돼야 완진, 수일 예상(종합) 10 다군 25/05/17 3210 0
2263 사회헌재, 민주당 추진 재판소원에 찬성... "대법 따르도록 규정해야" 역제안도 12 the 25/05/16 3643 0
2260 사회'동탄 납치살인' 피해자 호소에 손놓은 경찰, 죽음 막지 못했다 5 swear 25/05/16 2480 0
2257 사회창원NC파크 정밀안전점검 일수 '이례적'으로 짧았다 2 이이일공이구 25/05/16 2315 0
2254 사회 '음주 뺑소니' 김호중, 상고 포기…징역 2년 6개월 확정 3 swear 25/05/15 2597 2
2253 사회39년간 돌본 장애아들 살해 아버지 항소심서도 실형 7 이이일공이구 25/05/15 2855 1
2248 사회배우 황정음 회삿돈 42억 빼돌려 암호화폐 투자…혐의 인정 28 매뉴물있뉴 25/05/15 3226 1
2238 사회'라임 술접대' 검사 5년 만에 징계‥"특권 계급 선언" 4 Overthemind 25/05/14 2583 0
2237 사회일본, 사찰의 초록 우체통…고인을 향한 편지 메리메리 25/05/14 2340 1
2234 사회‘서부지법 폭동’ 실형 선고 판사 “시민들 계속 관심 가져주시길” 4 과학상자 25/05/14 2588 3
2223 사회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서 무죄 71 이이일공이구 25/05/13 4326 2
2216 사회NC파크 긴급안전점검 부실해 정밀안전진단 권고했지만 재개장 준비? 13 the 25/05/12 2426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