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보다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R1
모든걸 다 올려버린게 더 무서운 점이죠
그럼 안 올린건 어느정도일까? 하는 의문이 바로 나오는...
모든걸 다 올려버린게 더 무서운 점이죠
그럼 안 올린건 어느정도일까? 하는 의문이 바로 나오는...
중국어(한자) 때문이 좀 큰 것 같아요. 가끔 중국 전용 한자가 들어간 국한문혼용체를 쓰더라구요.
영어로 된 건 각국의 번역본이 있는데, 중국어로 된 건 영어로 된 것 외에는 짝이 맞는게 부족하니, 아무래도 중국어 영어 아닌 언어는 상대적으로 약할 것 같아요. 위의 국한문혼용(?)도 그나마 중국어와 연관이 있는 한국어를 찾아보니 그런거구요.
영어로 된 건 각국의 번역본이 있는데, 중국어로 된 건 영어로 된 것 외에는 짝이 맞는게 부족하니, 아무래도 중국어 영어 아닌 언어는 상대적으로 약할 것 같아요. 위의 국한문혼용(?)도 그나마 중국어와 연관이 있는 한국어를 찾아보니 그런거구요.
사실 더 저렴하게 구현한 모델을 이것보다 빠르게 구글이 출시했었읍니다..
왜인지 모르지만 이 사진이 다시 쓰이는...
뭐 어찌되었던 DeepSeek-R1은 Reasoning 모델이라, 일반적인 LLM과는 조금 다르긴 하고,
기본 베이스 모델이 되었던 DeepSeek-V3도 데이터를 GPT로 생성된 데이터를 불법으로 끌어다 썼다는 의혹도 있기도 합니다.
DeepSeek의 신드롬은 연구윤리같은건 크게 상관 없이, 최신 이론들을 가장 빠르고 민첩하게 대응해서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어서 빚어진 결과정도로 생각합니다.
... 더 보기
왜인지 모르지만 이 사진이 다시 쓰이는...
뭐 어찌되었던 DeepSeek-R1은 Reasoning 모델이라, 일반적인 LLM과는 조금 다르긴 하고,
기본 베이스 모델이 되었던 DeepSeek-V3도 데이터를 GPT로 생성된 데이터를 불법으로 끌어다 썼다는 의혹도 있기도 합니다.
DeepSeek의 신드롬은 연구윤리같은건 크게 상관 없이, 최신 이론들을 가장 빠르고 민첩하게 대응해서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어서 빚어진 결과정도로 생각합니다.
... 더 보기
사실 더 저렴하게 구현한 모델을 이것보다 빠르게 구글이 출시했었읍니다..
왜인지 모르지만 이 사진이 다시 쓰이는...
뭐 어찌되었던 DeepSeek-R1은 Reasoning 모델이라, 일반적인 LLM과는 조금 다르긴 하고,
기본 베이스 모델이 되었던 DeepSeek-V3도 데이터를 GPT로 생성된 데이터를 불법으로 끌어다 썼다는 의혹도 있기도 합니다.
DeepSeek의 신드롬은 연구윤리같은건 크게 상관 없이, 최신 이론들을 가장 빠르고 민첩하게 대응해서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어서 빚어진 결과정도로 생각합니다.
가성비 제품들을 누구보다 빠르게 쏟아내던 공산품 시장의 알리같은 포지션이 DeepSeek인 것 같아요.
분명 경계해야하지만, 이것의 등장으로 모든 AI판이 다 망해버릴 것이다는건 조금 많이 갔다 시프요
정리하면 DeepSeek 쇼크는 AI판 알리/테무사태임
왜인지 모르지만 이 사진이 다시 쓰이는...
뭐 어찌되었던 DeepSeek-R1은 Reasoning 모델이라, 일반적인 LLM과는 조금 다르긴 하고,
기본 베이스 모델이 되었던 DeepSeek-V3도 데이터를 GPT로 생성된 데이터를 불법으로 끌어다 썼다는 의혹도 있기도 합니다.
DeepSeek의 신드롬은 연구윤리같은건 크게 상관 없이, 최신 이론들을 가장 빠르고 민첩하게 대응해서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어서 빚어진 결과정도로 생각합니다.
가성비 제품들을 누구보다 빠르게 쏟아내던 공산품 시장의 알리같은 포지션이 DeepSeek인 것 같아요.
분명 경계해야하지만, 이것의 등장으로 모든 AI판이 다 망해버릴 것이다는건 조금 많이 갔다 시프요
정리하면 DeepSeek 쇼크는 AI판 알리/테무사태임
MS와 오픈AI 측에 이어 백악관(David Sacks)까지 지재권 침해라고 나섰더군요. 금융시장에서의 문제는 알리나 테무가 되는 것이 아니라 CAPEX가 확 주는 것 아닌가, Nvidia로 대표되는 AI관련주들 가치가 과도하게 높게 매겨진 것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었던 것 같습니다. 딥시크가 아니라도 전기차 시장의 BYD 같은 AI 회사들이 중국 측에서 나올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만, MS 수장이 얘기한 것처럼 비용, 가격이 더 내려가면 제본스 역설로 앞으로 오히려 AI가 더 빨리 대중화되고, 관련 기술/제품 수요가 더 늘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업이 AI 쪽이라, 금융시장에서의 충격은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쪽 업계에서는 사실 DeepSeek 자체는 DeepSeek-Coder가 나왔을 때부터 신선한 충격으로 이미 자리잡고 있었어서, 이번 일이 새롭고 큰 사태라기보다 이렇게 서로 치고받고 싸우다보면 대중화는 빨라지고, 더 많은 서비스들이 창출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더 큰 것 같습니다.
아마, 중국이라는 트레잇을 달고 있는 AI기업들이 더 등장한다 하더라도 메인스트림에 큰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하진 않아요. 다만, 또 하나의 빅네임이 등장했기 때문에 경쟁이 가속화되고 더 많은 사람이 AI 서비스에 친숙해져서 시장이 더 넓어지고 저 같은 서비스 개발자들의 먹거리가 더 늘어났으면 합니다.
이 쪽 업계에서는 사실 DeepSeek 자체는 DeepSeek-Coder가 나왔을 때부터 신선한 충격으로 이미 자리잡고 있었어서, 이번 일이 새롭고 큰 사태라기보다 이렇게 서로 치고받고 싸우다보면 대중화는 빨라지고, 더 많은 서비스들이 창출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더 큰 것 같습니다.
아마, 중국이라는 트레잇을 달고 있는 AI기업들이 더 등장한다 하더라도 메인스트림에 큰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하진 않아요. 다만, 또 하나의 빅네임이 등장했기 때문에 경쟁이 가속화되고 더 많은 사람이 AI 서비스에 친숙해져서 시장이 더 넓어지고 저 같은 서비스 개발자들의 먹거리가 더 늘어났으면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