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25/01/24 11:11:57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한때는 샤이(shy), 지금은 과표집?
데일리 오피니언 제601호(2025년 1월 4주) -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대선 결과 기대, 대통령 탄핵, 정당별 신뢰 여부, 부동산 집값·임대료 전망, 집 소유 인식 (1월 통합 포함)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539

한국갤럽은 이번주 갤럽리포트에서 여론조사라는 툴의 한계와 그 의미에 대해
매우 상세한 칼럼을 함께 제시했습니다.

────────────
한때는 샤이(shy), 지금은 과표집?
────────────
- 여론조사는 현재 유권자 이념 지형 가늠할 수 있는 유일의 방법
- 방법론상 한계 숙지하고 수치 아닌 추세로 민심 읽어야
────────────
전화조사 콜백, 응답률, 정치 관심도
────────────
- 확률 원칙에 따라 추출된 조사 대상 반복 접촉해 접촉률·응답률 제고 노력
- 정치 고관심층에 집중된 자동응답(ARS) 방법론 지양해야

최근 여조상의 큰 변동으로 많은 분들이 혼란하셨을 것이고
또 그때문에 여조 그 잡채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진것으로 생각됩니다.
이틈에 한국갤럽이 매우 우수한 칼럼을 써서 본인들의 갤럽리포트에 넣었습니다.
하지만 킹차넷 뉴게는 저작권상 두문단 이상의 인용을 지양하는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네, 선생님들이 직접 들어가서 읽어보시란 얘깁니다.
한국갤럽 갤럽리포트는 광고도 없고요, 매우 쾌적합니다.
꼭 꼭 한번 읽어보십시오.

제가 대충 요약해서 제시해보려 했으나 포기했습니다.
한국갤럽의 칼럼 그 잡채가 이미 너무 휼륭한 요약입니다.
뭘 더 빼기도 그렇고 뭘 더 넣기도 어려울 정도로 매우 컴팩트하게 매우 잘 적혔으니
요즘 여조에 관심이 폭증한 이 시기에, 읽어보시면 좋으실것 같아서
굳이 뉴게 게시물을 하나 더 팠읍니다.

해당 칼럼의 맨 아랫쪽에는
한국갤럽이 그동안 제시해왔던 여론조사 관련 칼럼들이 링크되어 있습니다.
다들 일반인도 이해하기 쉬울만큼 어휘도 간결하면서 컴팩트하고 우수한 칼럼들이니
관심 많으신분들은 꼭 츄라이 츄라이



6


갤럽 조사가 0티어의 지위를 내려놓은지는 좀 되었지만,
갤럽의 여론조사 관련 칼럼은 여전히 0티어죠.

과표집 보다는 (다른 곳에서 본) 과응집이 더 맞는 표현인거 같긴 합니다.
여론조사 업체의 의도를 일률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렵기도 하고요.
(물론 공정 같은 곳이야...)
수퍼스플랫
좋은 설명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잘 이해도 가고 수긍이 되는 글입니다.
dolmusa
"최근 비상계엄·탄핵 국면에서 전화조사 응답률이 전반적으로 높아졌다(데일리 오피니언 기준 11월 평균 11.6%, 12월 14.4%, 1월 16.3%; 제22대 총선 앞둔 작년 1분기 평균 14.6%). CATI, ARS 공통된 현상이다. 혼란한 정국에 적극적으로 의견 표명하려는 이들의 조사 참여 의지가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평소보다 조사 진행이 잘된다 하여 콜백을 소홀히 하면 지역·성별·연령대가 주민등록인구분포와 일치하더라도 응답자 특성이 정치 고관심층에 더 편향될 가능성]이 크다. 이럴 때는 적은 수의 번호로 충실하게 콜백하여 사태 이전의 접촉률(전체 투입 유효 번호 대비 통화 연결, 데일리 오피니언 기준 40% 내외) 수준을 유지하도록 조사 과정을 관리해야 한다."

믿고 보는 갤럽
반대가 상당히 많군요
다시말해서 국민들의 생각을 으.....유추해볼 수 있는데
으..... 너무 슬퍼
파로돈탁스
충분히 공감합니다. 여론조사의 한계와 위기가 느껴지는 시국이네요.
갤럽이야 전화면접을 채택한 기관이니까 ARS 지양하자는 얘기할 법 하고, 리얼미터쪽 얘기는 다를 겁니다. ㅎㅎ

저는 개인적으로 전체 여론 지형을 좀 더 가깝게 반영하는 것에는 전화면접이 더 적합하지만, 전화면접에서는 확실히 샤이한 상태에 놓여있는 의견이 과소반영될 여지도 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같은 전화면접인 갤럽과 nbs의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을 보면 여권 대형 악재가 터졌을 때 갤럽이 nbs보다 낙폭이 크게 나오는데, 이는 갤럽은 대통령 국정지지율을 긍정/부정의 양자택일로 묻는데, nbs는 매우잘함/어느정도잘함/... 더 보기
갤럽이야 전화면접을 채택한 기관이니까 ARS 지양하자는 얘기할 법 하고, 리얼미터쪽 얘기는 다를 겁니다. ㅎㅎ

저는 개인적으로 전체 여론 지형을 좀 더 가깝게 반영하는 것에는 전화면접이 더 적합하지만, 전화면접에서는 확실히 샤이한 상태에 놓여있는 의견이 과소반영될 여지도 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같은 전화면접인 갤럽과 nbs의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을 보면 여권 대형 악재가 터졌을 때 갤럽이 nbs보다 낙폭이 크게 나오는데, 이는 갤럽은 대통령 국정지지율을 긍정/부정의 양자택일로 묻는데, nbs는 매우잘함/어느정도잘함/별로못함/아주못함 의 4점 척도로 묻는 것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정말 쉴드 치기 어려운 대세 국면이 형성되고 나면 여당 지지자들은 전화면접 조사에 응하는 걸 꺼리기도 하고, 수화기 너머 있는 '사람'에게 대통령이 잘한다/못한다 중에 차마 잘한다는 선택을 하기가 너무 어려워지거든요. 하지만 '어느정도 잘한다'는 이야기는 할 수 있는 사람도 상당할 거에요. 그래서 전화면접으로 양자택일을 하게 하면 샤이 의견이 과소평가되기가 더 쉽습니다. 그러다가 악재 국면이 서서히 다른 이슈로 희석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원래의 긍정 비율이 회복되는 거고요. 계엄 직후 민주당 지지율이 치솟았을 때는 여론조사 결과가 '정상'이었을까요? 저는 그렇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때는 민주당쪽 '샤우트'가 과다반영되고 국힘쪽 '샤이'가 과소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요.

ARS의 문제는 고관여층의 응답이 너무 많이 반영되어 저관여층의 응답이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외에, 응답자가 자기 나이, 지역 등을 속이고 응답하는 것을 걸러내기가 더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더구나 ARS는 전화면접보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더 많이 활용되기 때문에, 통신사 가입정보를 바탕으로 추출한 가상번호를 구입하지 않고 무작위로 전화번호를 추출해 조사를 돌리는 경우가 많아서 응답자의 인적 정보가 더 부정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사는 나이, 성별, 지역별 숫자에 인구비례로 할당을 나눠서 먼저 할당이 찬 집단은 조사를 마무리하게 되는데, 정치적으로 매우 활성화된 집단이 여론조사를 해킹하려 한다면 손쉽게 조사결과 왜곡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20대는 여론조사 참여율이 저조해서 샘플수 확보를 위해 마지막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과활성된 70대 일부가 20대로 응답하는 전략을 사용하면 70대의 목소리가 과다반영되는 결과가 나오기가 쉬워요.

그래서 두 가지 방식 모두 한계가 있고 또 나름의 의미가 있습니다. 전화면접은 '샤이'에 취약하고, ARS는 '샤우트'에 취약하죠. 개인적으로 두 가지 수치를 아예 다른 지표로 보는 게 나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ARS는 민감 여론지표, 전화면접은 후행 여론지표 뭐 이런 식으로 의미를 다르게 봐서 해석하는 게 낫지 않나 싶어요. 올초 ARS 조사에서 국힘 지지율 급상승했을 때 ARS 조사라 그렇다며 욕을 먹었지만, 전화면접인 NBS, 갤럽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오자 전체 여론조사가 무의미하다며 같이 욕을 먹었죠. 이건 해석을 잘못했기 때문이지 방법론 자체가 문제가 있는 게 아닙니다. 여론조사의 결과는 여론의 향방을 가늠하는 일부의 지표일 뿐이지 진짜 여론의 절대적 수치를 나타내는 게 아니라는 걸 아는 게 중요합니다. 여론조사는 그림자의 그림자 같은 것이고 지금 같이 정국이 불안정하면 노이즈가 더 많이 끼기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노이즈 자체에서도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있을 것이고 그걸 잘 해석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4
당근매니아
재밌게 읽으면서, 갤럽.....이 긁혔다는 생각을 좀 하긴 했습니다.
근데 스스로 인정했듯이 통상적인 경우보다 현격하게 빠른 속도로 응답자의 정치성향 비중이 변화한 건 사실이죠.
이러면 데이터의 연속성이 깨지는데, 결과물로 도출한 지지율 그래프에는 제반사실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니 오독이 일어나기 쉽구요.
매뉴물있뉴
여조 전문가 / 사장 다 통틀어서 최근 몇주간 안긁힌 사람이 없긴합니다. 예시로 며칠전 이택수 리얼미터대표가 올린 페이스북 글에 비하면 갤럽은 정말 매우 안 긁힌편...
당근매니아
읽어보고 오겠읍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뉴스 게시판 이용 안내 1 토비 16/09/01 30582 1
1354 사회유족구조금 받았다가 가해자 감형‥10년간 '54건' 2 + Leeka 25/02/17 214 0
1353 경제AK플라자, 분당점 다시 샀다…본업 강화 '시동' 1 + Leeka 25/02/17 283 0
1352 정치인권위, 내일 내란 혐의 장군 4명 '긴급구제 신청' 안건 논의 14 + the 25/02/17 555 0
1351 IT/컴퓨터역대 최대 사전판매라더니...‘배송 3주 지연’ 4 + 메리메리 25/02/17 548 0
1350 기타중기부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최대 30만원 지원…17일부터 신청 4 + 다군 25/02/17 306 0
1349 사회김새론 비보에 유퀴즈 정신과 교수 “사회가 오징어게임 같아” 11 + swear 25/02/17 873 0
1348 경제정부, 온누리 상품권으로 금 매입 과열 전수조사한다 18 + 다군 25/02/17 627 1
1347 과학/기술메타 '휴머노이드 로봇' 참전…빅테크 '피지컬 AI' 경쟁 본격화 4 + 소피 25/02/17 237 0
1346 사회친모가 자녀 2명·지인과 극단선택 시도…병원, 33곳서 이송거부 1 소피 25/02/17 459 0
1345 경제롯데, 'L7 홍대' 2500억 원에 매각 추진 4 Leeka 25/02/17 475 0
1344 IT/컴퓨터공장은 TSMC, 설계는 브로드컴... '美 반도체 상징' 인텔 쪼개지나 3 맥주만땅 25/02/17 318 0
1343 기타설악 오색케이블카 2027년 개통 9 오디너리안 25/02/17 419 1
1342 경제미국 달걀 품귀에 집에서 닭 키운다…‘암탉 대여 서비스’까지 5 메리메리 25/02/17 426 0
1341 방송/연예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 32 Groot 25/02/16 1865 0
1340 국제"부가세, 대미 관세로 간주" 콕 짚은 트럼프, 유럽 車시장 정조준했다 4 오호라 25/02/16 682 0
1339 정치“대통령으로 절대 지지 안해”…이재명보다 더 ‘비호감’ 1위 차지했다는데 13 danielbard 25/02/16 995 0
1338 정치업무 파악도 안 했나?…미, 핵무기 감독관들 수백 명 해고 6 야얌 25/02/16 572 0
1337 방송/연예배용준, 연세의료원에 30억원 기부 “건강한 세상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길” swear 25/02/16 333 1
1336 국제美, 우크라 희토류 지분 50% 요구…젤렌스키 거부 5 오호라 25/02/16 668 0
1335 의료/건강KAIST, 암세포 발생 순간 되돌리는 분자스위치 발견 2 메리메리 25/02/15 549 0
1334 국제트럼프, 美부통령의 유럽비판에 가세…"유럽, 표현의 자유 잃어" 8 오호라 25/02/15 717 0
1333 정치"인텔과 손잡아라" TSMC에 강요한 美…대만 반응은? 10 우스미 25/02/15 760 0
1332 정치'캡틴아메리카' 복장 尹지지자, 중국대사관 난입하려다 체포(종합) 8 다군 25/02/14 734 0
1331 경제“26년 만의 적자, 야구단 해체하라”... 뿔난 엔씨소프트 주주들 3 danielbard 25/02/14 87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