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4/06/21 21:23:02 |
Name | the |
Subject | 산모 고통 덜어주는 '페인버스터'…"이젠 환자 100% 부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398321?sid=102 그런데 지난달 보건복지부는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를 확인할수 없다며 무통주사와 페인버스터를 함께 쓰지 말라는 행정예고를 했습니다. 하지만 관련 보고서에는 제왕절개의 경우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더 많았습니다. 취재결과, 80%만 환자가 부담했던 기존 정책과 달리 환자가 모두 부담하는 비급여로 결정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저출산에 참 이상한데서 돈을 아끼네요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the님의 최근 게시물
|
그렇죠 백번 이해가 갑니다. 다만 종사자 입장에서 보면, 정부의 의료비 절감을 위한 노오오력 중에 질환별로 종종 있던 일이라서, 새삼스럽게,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해서요. 이게 이번 정부 뿐 아니라 이전 모든 정부에서 계속 이뤄졌던 일이거든요. 차라리 이건 돈 좀 내더라도 가능한 부분이라서 아주 나쁜 것도 아니고요. 홍차넷에서 얘기 나왔던거만 해도 https://redtea.kr/news/14805 그리고 ... 더 보기
그렇죠 백번 이해가 갑니다. 다만 종사자 입장에서 보면, 정부의 의료비 절감을 위한 노오오력 중에 질환별로 종종 있던 일이라서, 새삼스럽게,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해서요. 이게 이번 정부 뿐 아니라 이전 모든 정부에서 계속 이뤄졌던 일이거든요. 차라리 이건 돈 좀 내더라도 가능한 부분이라서 아주 나쁜 것도 아니고요. 홍차넷에서 얘기 나왔던거만 해도 https://redtea.kr/news/14805 그리고 https://redtea.kr/news/14820 이런 이야기들 있었고,
예~전에 외상 쪽 관심이 모였을 때, 이국종 교수 및 외상 관련 교수들 모여서 상황은 어떻고 어떤 지원이 필요하다고 국회의원들 여럿 초청했는데 온 사람은 많았지만 다들 와서 사진만 찍고 가버린 일도 있었고요. 그냥 한국은 국민 건강에 관심 있는 권력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다만 이번 정부는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의료에서는 아주 역대급입니다 정말... 요즘 의료대란 때문에 아프지 말자고 하는데, 당장 내년에 의사 몇 명 배출될지 전문의 몇 명 배출될지도 모르는 상태에 여러모로 파장이 어마어마 하네요
예~전에 외상 쪽 관심이 모였을 때, 이국종 교수 및 외상 관련 교수들 모여서 상황은 어떻고 어떤 지원이 필요하다고 국회의원들 여럿 초청했는데 온 사람은 많았지만 다들 와서 사진만 찍고 가버린 일도 있었고요. 그냥 한국은 국민 건강에 관심 있는 권력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다만 이번 정부는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의료에서는 아주 역대급입니다 정말... 요즘 의료대란 때문에 아프지 말자고 하는데, 당장 내년에 의사 몇 명 배출될지 전문의 몇 명 배출될지도 모르는 상태에 여러모로 파장이 어마어마 하네요
일단 큰 틀에서 봤을때 복지의 한계는 존재하고 그냥 불쌍하니까, 인간적으로 이건 해주자 이런 식의 계산 필요 없다는 식의 감성적 접근은 지양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그 논리의 확장으로 파멸이 예상되는 건보재정을 근거가 분명한 곳에만 사용하자는 논리도 찬성합니다. 큰 틀에서는 하얀님 의견과 마찬가지라고 볼 수도 있는데요,
다만 하얀님 댓글의 논리가 안맞는다고 여긴건 처음 쓴대로 애초에 좋냐 나쁘냐가 문제지 나쁜데 그래도 조금 나쁘니 봐주자는 좀 이상한 논리라는 것이고요. 근데 지금 댓글은 일단 사실관계부터 명확히 해야 하겠네요. 댓글 가독성을 위해 분리합니다.
(죄송합니다 아이를 좀 봐야해서 밤에 글 마저 쓰겠습니다;)
다만 하얀님 댓글의 논리가 안맞는다고 여긴건 처음 쓴대로 애초에 좋냐 나쁘냐가 문제지 나쁜데 그래도 조금 나쁘니 봐주자는 좀 이상한 논리라는 것이고요. 근데 지금 댓글은 일단 사실관계부터 명확히 해야 하겠네요. 댓글 가독성을 위해 분리합니다.
(죄송합니다 아이를 좀 봐야해서 밤에 글 마저 쓰겠습니다;)
의료개혁이고 필수의료패키지고 뭐고간에 정작 필수과 살릴 의지도 능력도 없다는게 단적으로 표출된 예라고 보시면 됩니다. 의대증원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시켜서 정권 본체에 대한 분노를 돌리는 목적이 더 크지 않나 싶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