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4/01/17 18:14:21 |
Name | swear |
Subject | “취재 중” 얘기에 슬쩍 내민 ‘눈속임 가격표’…지역 축제 바가지 논란 점입가경 |
https://v.daum.net/v/20240117142638579 식사를 마치고 계산을 하면서 취재 중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러자 상인은 기존 가격표를 달라고 하더니 어디선가 새로운 가격표를 꺼내 보여줬다. 순대는 5000원 내려간 1만5000원이었다. 오징어순대 등 일부 메뉴 가격도 5000원에서 최대 만원까지 조정돼 있었다. 2만5000원을 결제했다. 상인은 “착오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새 가격표를 줘야 했으나 실수로 이전 가격표를 줬다는 말을 덧붙였다. 하지만 다른 테이블을 확인해보니 기존 가격표가 놓여 있었다. 착오는 무슨…이 놈의 축제 물가 바가지는 근절이 안되는군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swear님의 최근 게시물
|
상인은 “새 가격표로 판매하면 사실상 적자”라며 바가지 논란에 억울함을 주장했다. 그는 “수돗물이 공급되지 않아 생수를 사서 쓴다. 물 값만 하루에 70만원 넘게 든다”며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액화석유가스(LPG)와 난방용 기름 비용도 만만치 않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축제기간 일하는 분들과 함께 축제장 인근에 머물러야하기 때문에 숙소비도 든다. 주최 측에 내야하는 돈도 있다.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전혀 비싼 가격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예끼 이양반아!!! 전국 어느 식당을 가도 월세 내고 수도광열비는 똑같이 드는걸 어디서 이빨도 안들어가는 거짓말이여. 걍 한 몫 땡길라고 바가지 씌운거지. 생수로 설거지 같은 소리 한다. 수돗물 통에 받아와 장사하는거 지나가는 똥개도 다 아는데 ㅡㅡ
예끼 이양반아!!! 전국 어느 식당을 가도 월세 내고 수도광열비는 똑같이 드는걸 어디서 이빨도 안들어가는 거짓말이여. 걍 한 몫 땡길라고 바가지 씌운거지. 생수로 설거지 같은 소리 한다. 수돗물 통에 받아와 장사하는거 지나가는 똥개도 다 아는데 ㅡㅡ
해당 지점에 텐트를 설치하고 영업을 하는데
과도한 자릿세를 물린다거나 불공정한 과열경쟁이 있다거나 한게 아니라면
얼마를 받고 팔든 그건 상인의 자유로 놔둬야합니다...
비싸게 팔아서 한철 장사하는게 어떤 이유로 뭐가 잘못인지
저는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파전 만들고 순대만들어서 파는 업이라는게
뭐 그렇게 엄청 고오급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분야가 아닙니다. 아무나, 정말 아무나 돈 몇천 때려박아서 조리기구사고 몇백만원 정도 때려박으면 테이블 설치하고 조리기구 설치하고 영업할수 있는겁니다.
기술적인 진입장벽이 턱없이 ... 더 보기
과도한 자릿세를 물린다거나 불공정한 과열경쟁이 있다거나 한게 아니라면
얼마를 받고 팔든 그건 상인의 자유로 놔둬야합니다...
비싸게 팔아서 한철 장사하는게 어떤 이유로 뭐가 잘못인지
저는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파전 만들고 순대만들어서 파는 업이라는게
뭐 그렇게 엄청 고오급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분야가 아닙니다. 아무나, 정말 아무나 돈 몇천 때려박아서 조리기구사고 몇백만원 정도 때려박으면 테이블 설치하고 조리기구 설치하고 영업할수 있는겁니다.
기술적인 진입장벽이 턱없이 ... 더 보기
해당 지점에 텐트를 설치하고 영업을 하는데
과도한 자릿세를 물린다거나 불공정한 과열경쟁이 있다거나 한게 아니라면
얼마를 받고 팔든 그건 상인의 자유로 놔둬야합니다...
비싸게 팔아서 한철 장사하는게 어떤 이유로 뭐가 잘못인지
저는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파전 만들고 순대만들어서 파는 업이라는게
뭐 그렇게 엄청 고오급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분야가 아닙니다. 아무나, 정말 아무나 돈 몇천 때려박아서 조리기구사고 몇백만원 정도 때려박으면 테이블 설치하고 조리기구 설치하고 영업할수 있는겁니다.
기술적인 진입장벽이 턱없이 낮은 업종인데 가격이 비싸다고 하면
그 가격이하로 팔수있는 기술적 노하우가 있는 사람이 뛰어들어서 막대한 이익을 내면 될일이지 저걸 왜 언론이 나서서 때립니까? 꼬우면 니가 와서 더 싼 가격에 팔면 되요. 파전 부쳐서파는일에 무슨 10년 관련업계 종사 노하우가 필요하고 그런게 아니잖아요.
불공정 가격담합 같은것만 단속하면 됩니다. 가격은 상인들과 축제를 찾은 시민들이 각자 현장에서 합의하고 사먹든 안사먹든 하는거죠. 비싸면 안사먹던지, 조금만 사먹던지, 그것도 아니면 집에서 싸오던지 하면 될일입니다. 정 가격이 그래도 너무 비싸다 싶으면 축제 주최하는 지자체에서 더 싸게 파는 상인들을 구해서 모셔오던가... 저는 진짜 이런 기사에 1도 공감이 안가요. 누구든 더 싸게 팔기만 하면 돈을 쓸어담아서 막대한 이익을 다른 상인들과 1도 나누지 않고 나혼자 독점할수 있는 블루오션인데 상인들이 멍청해서 가격이 너무 비싸게 판다는 얘깁니까? 그게 불만인 기사인가요?? 정말 진짜 이해 안감.
과도한 자릿세를 물린다거나 불공정한 과열경쟁이 있다거나 한게 아니라면
얼마를 받고 팔든 그건 상인의 자유로 놔둬야합니다...
비싸게 팔아서 한철 장사하는게 어떤 이유로 뭐가 잘못인지
저는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파전 만들고 순대만들어서 파는 업이라는게
뭐 그렇게 엄청 고오급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분야가 아닙니다. 아무나, 정말 아무나 돈 몇천 때려박아서 조리기구사고 몇백만원 정도 때려박으면 테이블 설치하고 조리기구 설치하고 영업할수 있는겁니다.
기술적인 진입장벽이 턱없이 낮은 업종인데 가격이 비싸다고 하면
그 가격이하로 팔수있는 기술적 노하우가 있는 사람이 뛰어들어서 막대한 이익을 내면 될일이지 저걸 왜 언론이 나서서 때립니까? 꼬우면 니가 와서 더 싼 가격에 팔면 되요. 파전 부쳐서파는일에 무슨 10년 관련업계 종사 노하우가 필요하고 그런게 아니잖아요.
불공정 가격담합 같은것만 단속하면 됩니다. 가격은 상인들과 축제를 찾은 시민들이 각자 현장에서 합의하고 사먹든 안사먹든 하는거죠. 비싸면 안사먹던지, 조금만 사먹던지, 그것도 아니면 집에서 싸오던지 하면 될일입니다. 정 가격이 그래도 너무 비싸다 싶으면 축제 주최하는 지자체에서 더 싸게 파는 상인들을 구해서 모셔오던가... 저는 진짜 이런 기사에 1도 공감이 안가요. 누구든 더 싸게 팔기만 하면 돈을 쓸어담아서 막대한 이익을 다른 상인들과 1도 나누지 않고 나혼자 독점할수 있는 블루오션인데 상인들이 멍청해서 가격이 너무 비싸게 판다는 얘깁니까? 그게 불만인 기사인가요?? 정말 진짜 이해 안감.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