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컴퓨터 용어로 치면 일종의 레이드의 원리가 아닐까 싶네요.
SSD는 '컨트롤러'라는 걸로 SSD의 '낸드'라는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읽고, 기록합니다.
컨트롤러에서 성능에 따라 한번에 접근 할 수 있는 낸드의 수가 정해져 있겠죠.
아마, 용량에 따라 SSD에 존재하는 낸드의 갯수가 다를것이고.
그 낸드의 갯수는 용량이 크면 클수록 많을테니
같은 기술을 적용한 컨트롤러라면, 용량이 많을 수록 동시에 접근 가능한 낸드가 많아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실세계에서는 고속도로에 진입할때
한번에 진입하는 ... 더 보기
SSD는 '컨트롤러'라는 걸로 SSD의 '낸드'라는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읽고, 기록합니다.
컨트롤러에서 성능에 따라 한번에 접근 할 수 있는 낸드의 수가 정해져 있겠죠.
아마, 용량에 따라 SSD에 존재하는 낸드의 갯수가 다를것이고.
그 낸드의 갯수는 용량이 크면 클수록 많을테니
같은 기술을 적용한 컨트롤러라면, 용량이 많을 수록 동시에 접근 가능한 낸드가 많아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실세계에서는 고속도로에 진입할때
한번에 진입하는 ... 더 보기
컴퓨터 용어로 치면 일종의 레이드의 원리가 아닐까 싶네요.
SSD는 '컨트롤러'라는 걸로 SSD의 '낸드'라는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읽고, 기록합니다.
컨트롤러에서 성능에 따라 한번에 접근 할 수 있는 낸드의 수가 정해져 있겠죠.
아마, 용량에 따라 SSD에 존재하는 낸드의 갯수가 다를것이고.
그 낸드의 갯수는 용량이 크면 클수록 많을테니
같은 기술을 적용한 컨트롤러라면, 용량이 많을 수록 동시에 접근 가능한 낸드가 많아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실세계에서는 고속도로에 진입할때
한번에 진입하는 차선과 톨게이트가 많으면 많을 수록
빨리 지나 갈 수 있는 경우..라고 하면 비유가 적절할지 모르겠네요
SSD는 '컨트롤러'라는 걸로 SSD의 '낸드'라는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읽고, 기록합니다.
컨트롤러에서 성능에 따라 한번에 접근 할 수 있는 낸드의 수가 정해져 있겠죠.
아마, 용량에 따라 SSD에 존재하는 낸드의 갯수가 다를것이고.
그 낸드의 갯수는 용량이 크면 클수록 많을테니
같은 기술을 적용한 컨트롤러라면, 용량이 많을 수록 동시에 접근 가능한 낸드가 많아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실세계에서는 고속도로에 진입할때
한번에 진입하는 차선과 톨게이트가 많으면 많을 수록
빨리 지나 갈 수 있는 경우..라고 하면 비유가 적절할지 모르겠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