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11/08 07:47:17
Name   the
Subject   마포구, 작은도서관 없앤다
https://naver.me/xEqgw98c

작은도서관을 모두 없애고 독서실로 만든다고 합니다.



0


주식못하는옴닉
작은도서관은 진짜... 지선의 병크 중 하나라

200억인가 안 넘으면 계약절차 안 밟아도 되서 우후죽순 만들어졌는데 관리도 잘 안되죠.
기사에서는 주민 활용도가 높은 것처럼 나왔는데 어떤 면에서 병크인 건가요?
댓글 다는동안 이유가 달렸군요..
결국 만드는 것도 막무가내, 없애는 절차도 막무가내.. 자기 공 쌓는데에 물불 안 가리는 느낌이네요. 임기제 선출직의 한계인지;
1
카리나남편
임기제 선출직은 다 그렇죠
주식못하는옴닉
다 없애는 건 좀 심하긴 합니다

줄여서 집중하면 좀 나을거 같긴 한데
1
고구마별
케바케긴 하지만 관리 안되는 덴 진짜….
아니 뭔 사무실하고 같이 해놓고 도서관이라고 하질 않나…
코로나때문에 스탑된 뒤로 영영 나가리된 곳도 있고..
개인적으로 자주 가던 데 있었는데 아쉽습니당
저희 시는 아예 복컴 단위로 내부에 입주해 있는거 같던데.. 시민 반응도 좋고요. 우리 딸님도 휴일에 할일 없으면 가서 책 읽자 하는디..
제도가 미비하면 제도를 고쳐달라 하고 운영이 개판이면 운영을 고치는 방향이 맞는게 아닌가 싶은데.. 때려부술 정도면 고치는 권한도 있지 않겠습니까?
syzygii
https://www.smalllibrary.org/contents/2022/06/14/6c72b9f1-a776-429a-bdb6-8c9bb3eecc81.pdf
60페이지

2021년 전국 작은도서관의 연간 이용자 수는 총 21,955,394명으로 1관당 평균 3,405명으로 조사됨. 2020년 보다 운영된 작은도서관 수가 줄어 총 이용자는 32,167명 감소했으나 1관당 평균 이용자는 9명 증가하였음
--------
주5로 치면 250일이니까 1관당 3500명이면 하루에 14명 오는 곳이군요. 공립은 좀 더 많고 사립은 좀 더 적긴한데..아무튼 하루에 14명 상대하라고 돈주는건 좀 그렇습니다.
노바로마
저거는 전국기준인거 같고요. 마포구 같이 인구 밀도가 높은 곳이면 다를거 같은데요.

기사에 나온 바로는 9개 도서관에 연 15~20만 정도라고 하니 하루에 50명정도 오는거 같네요. 아주 많은건 아니지만 예산도 연 7.2억 정도니 못쓸 수준인가... 싶긴 합니다.
1
syzygii
보니까 사립 작은도서관은 정말 운영이 엉망인거같고 구립은 잘 되는편인데 구립을 없앤다는게 본문 기사군요. 음... 반발할만하네여
2
주식못하는옴닉
시-구립 도서관 없애면 ㄹㅇ 양아치입니다.

공공성이라는 기준에서도 둘은 정말 하늘과 땅 차이에요.
노바로마
개인적으로는 도서관 같은 사업은 수익성이나 효율을 바라보고 하는 사업이 아닌 만큼 더 포괄적으로 접근해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운영 효율을 추구하는 것은 필요하고, 관리가 개판인 곳은 진짜 조치가 필요하겠지만요.

또 도서관 이용자를 어떻게 집계한지는 모르겠는데, 아마 대출을 기준으로 한 거 같긴 합니다. 대학도서관 같은데 아니고서야 출입 체크 기능 있는 도서관도 거의 못 본거 같고.... 도서관 이용이라는게 단순히 대출을 하는 게 아니라 이미 빌린 책이나 개인 소유의 책을 도서관에서 읽는 사람도 있고요. 그냥 도서관에서 필요한 자료만 찾아보고 빌리지 않는 사람도 있는 등 이용 방법은 다양하니까. 저 집계가 도서관의 활용도를 제대로 반영하는지도 확실치 않은거 같긴 해요.
주식못하는옴닉
작은도서관 몇 번 가봤는데 도서관 자체 이용자는 잘 없읍니다(저정도는 아닌거 같긴한데).

독서실 이용자는 많읍니다(다만 많아도 관리는 잘 안되는거 같았읍니다).
지역커뮤니티와 연계된 곳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도 상당히 잘 돌아갑니다.

잘 엮어보는게 좋을듯..
스티브잡스수정됨
한군데 잘 이용중이었는데 짜증;대차 신청하면 없는 책도 받아 볼 수 있고 여러모로 편한 시설인데 박강수 씨 대체 하는게 뭔지 모르겠네요. 쓰레기 소각장은 그냥 눈뜨고 받아오고 대처는 거의 방관수준에 선거법 입건에 이태원 참사때는 무슨 공무원 기십명 끌고 다니면서 휴업요청질이나 하고 있고…..
쓰래기 소각장 리모델링 하면서 마포구에서 서울 복합 땅 1/3을 때어갔다는데
세이슌
저도 요즘은 시간없어 잘 이용안하지만, 한 때 자주 이용했었는데 아쉽네요
서울이나 도시는 어떤지 모르겠으나, 지방은 중앙도서관 가려면 자차로 30분인데 작은도서관은 차로 5-10분이면 갑니다.
경기러입니다. 작은도서관 못 잃어ㅠ

마포구청장은 자기한테 표 주는 사람들 니즈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 같네요.
주식못하는옴닉
개인적으로 작은도서관을 애들 체육시설과 붙이는게 어떨까 하는 상상도 해봅니다.
문무겸비?
저희 동네 작은 도서관은 도서관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마을 공동체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도 유용하기 쓰이고 있읍니다. 그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코로나 때문에 보육 공백 생겼을 땐 돌봄 센터도 한시적으로 운영했었어요. 마포구의 작은 도서관이 어떤진 모르겠지만(성미산 마을 공동체가 저기죠?) 저희 동네 작은 도서관처럼 빨갱이 아지트같다면 구청장님 눈에 매우 거슬렸을 것 같긴 합니다.
1
주식못하는옴닉
보통 뭉쳐있는 도서관들이 잘 되더라구요

단독으로 된 곳은 똥망..
서울이니까 없어지는거겠죠. 도서관 다 지척인데. 지방이었으면 저도 반대했을듯합니다
봄과여름
도서관 기능은 유지하면서 수험생용 스터디 카페로 만들겠다고 마포구 해명이 나왔네요.
사실 마포중앙도서관도 수험생 천국이긴 합니다.
처음 가봤을 때 놀랐어요. 왜 죄다 여기 와서 공부하는 거지 싶어서..
전 대형 도서관 이용을 거의 안 해봐서,
공부용 열람실이 아닌 책 읽으라고 책장 옆에 붙여둔 간이 책상들을 온통 수험생이 점령한 풍경이
주객전도처럼 보여 좋아보이진 않았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360 문화/예술“자식같은 내 책들, 도서관도 안받아준다니…” 16 Beer Inside 22/11/24 2647 0
32355 문화/예술멕시코 외교부 장관: 딴 것은 필요 없고 BTS 공연을 보내주면 26 moqq 22/11/23 2637 0
32135 문화/예술마포구, 작은도서관 없앤다 23 the 22/11/08 3087 0
32029 문화/예술몬드리안의 이 작품 75년 동안 거꾸로 전시돼 있었다 11 뉴스테드 22/10/29 3385 0
32003 문화/예술한국 불교학 발전을 위한 제언 / 강성용 10 구밀복검 22/10/28 2840 6
31861 문화/예술고종, 왕비릉 이장을 위해 조말생 묘를 강제로 옮기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1 Beer Inside 22/10/19 2545 0
31788 문화/예술그런 것이 한국 정신인가 10 구밀복검 22/10/13 2843 1
31711 문화/예술“국가가 정한 말 아니면 틀렸다니” 표준어 없애는 거 어때요? 17 기아트윈스 22/10/08 3587 4
31702 문화/예술양조위 “아침에 거울로 내 눈빛 보면? ‘더럽다’고 생각”[27회 BIFF] 19 고기먹고싶다 22/10/07 2761 0
31699 문화/예술누가봐도 조선시대 목판인데… 日학자도 깜짝 놀란 中 역사왜곡 3 야얌 22/10/07 2634 0
31693 문화/예술"와, 맛있어요" 한국 음식에 뉴요커 탄성…하루 20억 모였다 5 Beer Inside 22/10/07 2644 0
31672 문화/예술양조위 “연쇄살인마 역할 해 보고 싶다···실은, 조금 무섭다” 10 Beer Inside 22/10/06 2642 0
31660 문화/예술일러스트 김정기 47세 나이로 별세, 사인은 심장발작 5 퓨질리어(퓨질리어) 22/10/05 2650 0
31657 문화/예술대전시, 7~10일 원도심서 ‘대전 0시 뮤직페스티벌’ 개최 10 활활태워라 22/10/05 2419 0
31650 문화/예술"인터넷에서 시는 이미 죽었다" 50년 시 쓴 정호승의 탄식 20 Beer Inside 22/10/05 2954 0
31385 문화/예술아이유 “청각 이상…오늘 잘 안 들렸는데”…고백에 ‘아.이.유!’ 15 Beer Inside 22/09/20 2661 0
31332 문화/예술백남준의 ‘다다익선’ 재가동···미디어 아트 보존·복원의 새 이정표 2 곰곰이 22/09/16 2634 0
31294 문화/예술'78세 깐부' 오영수, 파격댄스로 에미상 뒤풀이 찢었다 6 swear 22/09/14 2650 1
31290 문화/예술'누벨바그 거장' 장 뤽 고다르 별세…향년 91세 2 나단 22/09/13 2654 0
31274 문화/예술“뉴진스 봤어요?” 물음에 “누진세요?” 답하는 당신을 위한 4세대 걸그룹 간단 요약 27 Beer Inside 22/09/12 2962 0
31246 문화/예술게임도 문화예술 범주 안에... '문화예술진흥법' 국회 본회의 통과 9 메타휴먼 22/09/08 2711 0
31212 문화/예술함께 한자를 공부하자 7 Beer Inside 22/09/06 2908 12
31198 문화/예술‘오징어게임’ 미 에미상 4개부문 수상…비영어 드라마 최초 6 swear 22/09/05 2752 0
31196 문화/예술시진핑 '소수민족 동화정책'에 옌볜서 한민족이 지워진다 [르포] 11 카리나남편 22/09/05 2704 0
31192 문화/예술한국미술 무섭게 성장중… 미술관 난립 日 같은 실수만 하지말라 3 카르스 22/09/04 264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