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7/19 21:22:24 |
Name | 알료사 |
Subject | 코로나 확진 다시 늘어도.. 봉쇄,마스크 의무화 없는 미/유럽, 왜 |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알료사님의 최근 게시물
|
안무섭다기보단 비교선택을 했다고 봐요. 냉정하게 취약계층이 걸려서 죽는 비용보다 락을 걸고 불경기를 심화시키는게 여러모로 더 무서운거겠죠.
세상에 비교선택 아닌게 없으니, 별로 무섭지 않은 것도 맞는 말이긴 하겠지요. 지금도 한국에서 사망하는 사람들이 있고 돈을 부으면 사망자 수가 줄 게 분명한 분야갸 꽤 되지만 지켜보고만 있지요..
이쯤에서 몇가지 팩트로 이야기를 해보자면
1) 한국의 코로나 사망률은 0.1% 가량, 40세 미만으로 간다면 0.01% 수준
2) 한국의 코로나 확진자 수는, 전국민의 1/3 이상이 걸려서 인구대비로 대략 전세계 10위 정도 수준
3) 한국의 코로나 방역으로 인한 생활 제한은 OECD 국가 기준으로 빡빡한 수준에 속함. 전 세계 기준으로 봐도 빡빡한 축에 속할 것으로 생각됨(인구수로 따지면 제로코로나 펼치는 중국때문에..)
이런 상태인지라, 한국은 정부에서 특별히 더 하지 않더라도 이해가 안되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 더 보기
1) 한국의 코로나 사망률은 0.1% 가량, 40세 미만으로 간다면 0.01% 수준
2) 한국의 코로나 확진자 수는, 전국민의 1/3 이상이 걸려서 인구대비로 대략 전세계 10위 정도 수준
3) 한국의 코로나 방역으로 인한 생활 제한은 OECD 국가 기준으로 빡빡한 수준에 속함. 전 세계 기준으로 봐도 빡빡한 축에 속할 것으로 생각됨(인구수로 따지면 제로코로나 펼치는 중국때문에..)
이런 상태인지라, 한국은 정부에서 특별히 더 하지 않더라도 이해가 안되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 더 보기
이쯤에서 몇가지 팩트로 이야기를 해보자면
1) 한국의 코로나 사망률은 0.1% 가량, 40세 미만으로 간다면 0.01% 수준
2) 한국의 코로나 확진자 수는, 전국민의 1/3 이상이 걸려서 인구대비로 대략 전세계 10위 정도 수준
3) 한국의 코로나 방역으로 인한 생활 제한은 OECD 국가 기준으로 빡빡한 수준에 속함. 전 세계 기준으로 봐도 빡빡한 축에 속할 것으로 생각됨(인구수로 따지면 제로코로나 펼치는 중국때문에..)
이런 상태인지라, 한국은 정부에서 특별히 더 하지 않더라도 이해가 안되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이 와중에 갑자기 규제를 아얘 풀거나 심각한 수준의 거리두기를 재개한다면 잘못한 행위가 되겠지만요. 제가 정책결정에 참여할 정도의 짬밥은 아니라도 관련 업계에서 일을 하고 있어서, 홍차넷에서도 뭘 알고 하는 소린가 싶은 느낌이 드는 글을 보면 안타까울 때가 있네요.
아무튼 대략적인 시뮬레이션에서 8월 중순정도에 피크가 올 것으로 생각되니 여름 휴가 일정 조심하시고.. 이번 ba5 변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한 전염력을 가진 질환 중 하나로 생각되나 사망률은 매우 낮으니(많이 아프지만) 몸조리 잘 하시되 너무 걱정을 많이 하시진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1) 한국의 코로나 사망률은 0.1% 가량, 40세 미만으로 간다면 0.01% 수준
2) 한국의 코로나 확진자 수는, 전국민의 1/3 이상이 걸려서 인구대비로 대략 전세계 10위 정도 수준
3) 한국의 코로나 방역으로 인한 생활 제한은 OECD 국가 기준으로 빡빡한 수준에 속함. 전 세계 기준으로 봐도 빡빡한 축에 속할 것으로 생각됨(인구수로 따지면 제로코로나 펼치는 중국때문에..)
이런 상태인지라, 한국은 정부에서 특별히 더 하지 않더라도 이해가 안되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이 와중에 갑자기 규제를 아얘 풀거나 심각한 수준의 거리두기를 재개한다면 잘못한 행위가 되겠지만요. 제가 정책결정에 참여할 정도의 짬밥은 아니라도 관련 업계에서 일을 하고 있어서, 홍차넷에서도 뭘 알고 하는 소린가 싶은 느낌이 드는 글을 보면 안타까울 때가 있네요.
아무튼 대략적인 시뮬레이션에서 8월 중순정도에 피크가 올 것으로 생각되니 여름 휴가 일정 조심하시고.. 이번 ba5 변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한 전염력을 가진 질환 중 하나로 생각되나 사망률은 매우 낮으니(많이 아프지만) 몸조리 잘 하시되 너무 걱정을 많이 하시진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3)은 사실이 아닙니다. 오히려 락다운 때문에 봉쇄 지수같은걸 보면 선진국에서도 약한 편에 가까웠어요. 2022년 오미크론 유행때 잠시 상대적으로 빡빡해지긴 했습니다만, 몇달 뒤 비슷하게 수렴합니다.
3번은 사실여부를 따지기가 굉장히 어려운 부분으로 생각하긴 해요. 작년 생각해보시면, 한국도 확진자 수나 추세에 따라 거리두기 단계가 있는데 타 국가들의 경우 한국보다 빠르게 코로나 유행이 돌아서 빠르게 거리두기를 시작했죠. '확진자 대비'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국은 확진자 수 대비 휴교나 마스크 강제도 빡센 편이고 위드 코로나는 외국보다 늦게 시작한 편이고 그렇지요.
https://www.hani.co.... 더 보기
https://www.hani.co.... 더 보기
3번은 사실여부를 따지기가 굉장히 어려운 부분으로 생각하긴 해요. 작년 생각해보시면, 한국도 확진자 수나 추세에 따라 거리두기 단계가 있는데 타 국가들의 경우 한국보다 빠르게 코로나 유행이 돌아서 빠르게 거리두기를 시작했죠. '확진자 대비'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국은 확진자 수 대비 휴교나 마스크 강제도 빡센 편이고 위드 코로나는 외국보다 늦게 시작한 편이고 그렇지요.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19456.html 요런거 참조하시면 대략...
쓰고 위에 보니까 '생활 제한'이라고 제가 썼네요. 말이 굉장히 부정확했는데,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한국이 코로나 시국에 선방한게 코로나로 인한 상업침체가 타 국가에 비해 많이 적었던 것이기 때문에(예전에 봤던 자료로는 차이가 꽤나 많이 납니다. 덕분에 강남 신세계가 전세계 매출 1위 백화점 됨 ㄷㄷ) 좀 이상한 발언은 맞는거 같네요.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19456.html 요런거 참조하시면 대략...
쓰고 위에 보니까 '생활 제한'이라고 제가 썼네요. 말이 굉장히 부정확했는데,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한국이 코로나 시국에 선방한게 코로나로 인한 상업침체가 타 국가에 비해 많이 적었던 것이기 때문에(예전에 봤던 자료로는 차이가 꽤나 많이 납니다. 덕분에 강남 신세계가 전세계 매출 1위 백화점 됨 ㄷㄷ) 좀 이상한 발언은 맞는거 같네요.
할 만큼 했다는 체념이 새로운 합리의 바탕이 된거죠. 서양은요.
그 끈을 못 놓는게 중국일본대만인데, 이미 결과값(오미크론 이후로는 인구 일정비율 이상 감염 될수 밖에 없죠)이 나온 타국과 다르게 이 나라들은 아직도 그 선을 못 넘었거든요. 중국은 말할것도 없고, 일본은 아직도 인구1할도 안걸렸습니다. 겨울 오미크론 웨이브를 너무 작게 넘어갔어요. 대만은 뭐 일본 따라가고 있고요...
그 끈을 못 놓는게 중국일본대만인데, 이미 결과값(오미크론 이후로는 인구 일정비율 이상 감염 될수 밖에 없죠)이 나온 타국과 다르게 이 나라들은 아직도 그 선을 못 넘었거든요. 중국은 말할것도 없고, 일본은 아직도 인구1할도 안걸렸습니다. 겨울 오미크론 웨이브를 너무 작게 넘어갔어요. 대만은 뭐 일본 따라가고 있고요...
할 만큼 한게 맞을까요? 전 그냥 사고방식이 다른거 같아요.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398793 이거 기억 나시나요? 저 당시에 우리나라 분위기는... ㅋㅋ 그리고 서양애들 중에 우리나라보다 백신 잘 맞은 나라가 없죠. 한국은 백신 수급이 힘들었는데도..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398793 이거 기억 나시나요? 저 당시에 우리나라 분위기는... ㅋㅋ 그리고 서양애들 중에 우리나라보다 백신 잘 맞은 나라가 없죠. 한국은 백신 수급이 힘들었는데도..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