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7/03 17:12:46수정됨 |
Name | 매뉴물있뉴 |
Subject | 안전운임제와 시민 안전의 관계 |
안전운임제와 시민 안전의 관계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814 안전운임제 이후 가장 달라진 것은 화주가 운수사에 주는 운임, 운수사가 화물차주에게 주는 운임의 최저선이 구간별로 정해져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40피트(길이 12m) 컨테이너를 싣고 부산신항에서 서울까지 400㎞ 거리를 왕복한 화물차주는 운수사로부터 최소 87만6200원을 받아야 한다. 화주는 운수사에 최소 98만8900원을 줘야 한다. 안전과 운임의 연관성을 입증한 국내외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경제학자 마이클 벨저 등이 2002년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화물운송 업체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거리당 운임이 10% 증가할 때마다 월별 사고 확률이 34% 감소했다는 연구가 대표적이다. 국내 화물운송 시장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해보니, 회당 운임이 하락할 때 사고 위험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도 있다(이광훈·김태승 ‘한국 화물운송 노동자의 노동환경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7). 설령 안전과 운임이 상관이 있더라도, 특정 금액 이상을 주도록 ‘강제’하는 것은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 “정부가 이거 얼마 줘라, 그거 안 지키면 처벌받는다는 게 이건 뭐 사회주의 국가입니까(함진규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 그러나 안전운임제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특정 운임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다. 화주·운수사·화물차주 등이 참여하는 안전운임위원회에서 심의해 결정한다 화주와 대형 운수사들이 사적 이익을 위해 떠넘긴 부담은, 결국 도로 위 시민들의 위험이라는 비용으로 돌아온다. 시장 실패다. 안전운임제는 바로 이런 시장 실패를 교정하기 위해 관련 주체들이 합의할 수 있는 장을 만든 것으로 봐야 한다. “도로운송 산업은 다른 산업들과 달리 고정된 작업장에서 노동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반 도로 사용자들과 ‘작업장’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화물차 안전문제는 공공의 안전과 직결된다. 사회적 조절과 규제의 필요성이 높다(백두주 ‘한국 안전운임제 시행효과 분석 및 지속가능한 제도시행을 위한 정책과제’ 2022).” ============================= 시사인의 기사는 참 좋은게 많은데 유료구독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2주가 지나야 내용을 공개하는? 그런 룰이 있어서 읽었다가 잊어버리고 소개 못할때가 꽤 되는데 이건 기억이 났습니다? ㅋㅋ 지난 화물차 파업때 이슈가 되었던 안전운임제란 무엇인가, 어떻게 산정되는가, 왜 일몰제를 갖고 도입 되었는가? 효과는 있는가? 그런걸 애초에 왜 만들어야하는가? 같은 질문들에 답이 되는 부분들을 대략적으로 복붙해서 소개드리고 싶었습니다. 읽어보면 유익한 기사라고 생각해요 9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매뉴물있뉴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