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04/07 18:35:14수정됨
Name   the
Subject   고소득 사무직 '주52시간 근로' 규제 푼다
http://naver.me/xWpD7DyG

대기업에 사무직 중에 스톡옵션을 받으시는 분은 거의 없을거라고 생각하는데 대상자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2019년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의원이 한국형 화이트 칼라 이그젬션 법안은 발의하긴 했었군요.
http://naver.me/FWvOOuyI
법안은 근로소득 상위3%에 해당하는 노동자에 대해 52시간 적용 제외하는 내용입니다.
“2017년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결과, 상위 3% 이내 근로자의 평균 급여는 1억 1,556만원으로 전체 근로자의 평균 급여 3,519만원의 3.3배에 달한다.” 라고 합니다.
김병관 의원의 경력 중 일부는 다음과 같고 현재 국회의원은 아닙니다.
NHN 게임제작실장
NHN 게임사업본부 부문장
NHN 게임스 대표이사
웹젠 이사회 의장



0


Beer Inside
블루칼라 붐은 온다?
revofpla
이제 입사하자마자 1주씩 스톡옵션을 받는걸 근로계약서에 명시한다든가....
생각해보니 그럴거 없고 월급의 극히 일부를 스톡옵션으로 줄 수도 있겠군요.
4
억만장자
아 노동법 손대는거 영……….
이걸로 끝나진 않을거란 말이죠.
6
드디어 시작인가...
데이비드권
문이 다 맘에 드는건 아니지만 군대 관련해서란 노동 관련해서는 참 혁신적으로 잘했다고 생각하는데..다시 역행하는 꼴을 봐야하나요
6
매뉴물있뉴
(뻘소리주의) 전체 정규직 노동자중 연봉 상위 2-30% 정도로 제한하면 어떨까 싶은 아이디어도 떠오르긴 하는군요.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 이런거 되려나 혹시
그러면 대기업 신입사원부터 대상이 됩니다?
매뉴물있뉴
ㅋㅋㅋ 그래도 그 밑에 블루칼라 직종에 정규직으로 취업하는 사람은 늘어날것 같기도...
화이트칼라 신입사원을 60시간 노동시키려면
정규직 채용을 부왕 늘려야...
....... 아닌가... 잘 몰라요 ㅋㅋ 그냥 쓸데없는 아이디어였던것 같읍니다 ㅋㅋ
Regenbogen
신입사원 적을 인력업체로 올리는 방법도 있죠~~
1
억만장자
최소한의 스톡옵션만 부여하는 방식으로 정규직의 비정규직화를 만들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요..
2
Thy킹덤
다른 건 몰라도 노동 정책에 대해서만은 항상 확고하고 알관된 움직임을 보였던 사람이라.

일부 지지자들은 "절대 그럴일 없다"고 하시던데 ㅎㅎ 이제 시작이겠죠?
5

"드디어... 올 것이 왔군..."

5년간 무슨 일이 벌어지더라도 악으로 깡으로 버티리라 결심하고 있습니다.
3
배바지
요새 회사에선 부하직원들이 먼저 퇴근해도 괜찮은가봐요?
1
cruithne
5년만 버티면 될까요...
스톡옵션은 스타트업 쪽이 많을 텐데 대기업보다는 거기가 더 직격탄일 듯 하네요.
그런데 전 스타트업에서 52시간만 일하는 사람을 거의 못 봐서... ㅋㅋㅋㅋ 심지어 그 규모가 큰 토스도 걍 제외시간(포괄임금제)로 몸 갈아서 일하던데요.
노루야캐요
토스는 비포괄로 바뀌었습니다. 당근마켓처럼 포괄인 곳이 문제가 되겠네요
이래저래 대기업 밀어주기인가요? ㅋㅋ
노바로마
52시간 근로제와 최저임금제에 대해 항상 불만을 표출해 왔으니까요.
줬다 뺐으면 반발이 심할텐데, 감당 가능..??
Paraaaade
또 어떤 꼼수를 찾아쓸지 무섭습니다
dolmusa
참고로 화이트칼라 이그젬션은 일정 소득 이상의 전문직 관리자의 "연장근로수당 지급의무를 면제" 하는 제도입니다. 미국은 애초에 근로시간 제한이 없어요.

근로시간 제한을 푼다면서 저 제도를 언급하는건 최소 기자, 최대 인수위가 구글에 white collor exemption을 쳐보지도 않았다는 것을 뜻합니다.
20
주식못하는옴닉
개인적으로 52시간제가 대기업과 아닌 기업들의 격차를 결정적으로 벌렸다는 느낌은 정말 지울 수가 없더군요. 제가 속한 직군도 상대적으로 엄청난 피해를 본 셈이구요.
바꿔말하면 정상적인 근로시간 (주 40시간) 하에서는 대기업과 아닌 기업은 이미 다른 세계에 있었다는 뜻이죠...
1
주식못하는옴닉수정됨
뭐 저야 현재 법정기한을 다 없애버리고 독일처럼 재량 우선원칙을 주면 찬성합니다만... 다들 이 업계는 어떻게든 패려고 하는지라 그럴 리가 없느니 하는 말입니다.

...라고 말해도 포괄 안없애면 트로츠키 국부각으로 죽창을
공무원조직이야 52시간으로 개같이 멸망하긴 했죠

안지켜도 되니까 ㅋㅋ 수당지급 기준은 52시간이지만

외국계기업다니는 저희누나도 52시간때문에 OT하나도 못받아서 멸망해서, 명절때 모이면 스탠다드 대기업인 저희형만 극찬하고 두명은 정색하는 신기한 광경이 일어납니다
1
그저그런
전 당사자는 아니지만 월급을 더 받는다고 52시간 이상 근무해도 된다는건 무슨 생각일까요;;; 월급이 오른다고 HP도 오르는건 아닌데요 ㄷㄷ
스타트업 스톡옵션 받으면서 들어가는 직원들 많긴한데 저정도 연봉 받는 분들은 이미 지금도 52시간 안지키니까 제도를 현실화하려는거 같기도 하고.. 저게 더 일반 사무직군까지 내려오면 욕먹어도 인정 합니다
Brown&Cony
이건 솔직히 개개인별로는 호불호가 있을것같긴 합니다.
제 주변에도 눈치안보고 야근 올리라면 은근히 좋다면서 올리는사람 많을껄요.
시간당 1.5배씩 쳐서 더 주는데요.

문제는 개개인의 호불호가 그대로 각 개인들의 근태로 이어지는게 아니라..
아직까지 우리나라 직장문화에서는 서로 눈치주고, 눈치보는 문화가 있어서 워라밸을 추구하는사람들은 너무 힘들어진다는겁니다.

저역시도 주니어시절에 유부남들 월급 적다고 코묻은돈 격인 교통비 아득바득 받아가는 사람 많이 봤습니다.
당시는 추가근무수당도 아니고 교통비조로 줬습니다.. ... 더 보기
이건 솔직히 개개인별로는 호불호가 있을것같긴 합니다.
제 주변에도 눈치안보고 야근 올리라면 은근히 좋다면서 올리는사람 많을껄요.
시간당 1.5배씩 쳐서 더 주는데요.

문제는 개개인의 호불호가 그대로 각 개인들의 근태로 이어지는게 아니라..
아직까지 우리나라 직장문화에서는 서로 눈치주고, 눈치보는 문화가 있어서 워라밸을 추구하는사람들은 너무 힘들어진다는겁니다.

저역시도 주니어시절에 유부남들 월급 적다고 코묻은돈 격인 교통비 아득바득 받아가는 사람 많이 봤습니다.
당시는 추가근무수당도 아니고 교통비조로 줬습니다.. 그것도 3시간 채우면 18,000원... 5시간 채우면 29,000원.....ㅋㅋㅋ
물론 당시 받아가던사람들이 야근하면서 놀았던거 아닙니다. 그들은 열심히 일했어요. 개발자들은 작업기록들 다 남거든요.
다른때 작업했다가 야근할때 작업한티 내려고 해봐야 그럴수도 없는만큼의 양을 야근하면서 합니다.
문제는 그 밑에서 눈치보는 저같은 주니어들은 너무 힘들었어요. 직장상사가 '괜찮아 가~' 하는데 어떻게 갑니까...
그분들이 남아서 다음날에 제가 할 일까지 본인들이 끝내놓으면, 어떤 주니어가 그냥 칼퇴하고 갈 수 있겠어요.

저는 더 우려되는점이, 포괄임금제가 부활할까봐 너무 두렵습니다.
지금은 야근 비용이라고 회사가 걱정하죠. 포괄임금제 부활하면 그딴것도 없습니다. 그냥 갈아넣는거죠.
6
task based로 일할거면 시간 노터치하고 완전히 그렇게 하든가 해야되는데
그 눈치보는거 때문에 헬적화 되버릴거같단게 문제죠... 포괄도 마찬가지고

저는 저렇게 돼서 52시간 이상 일할 수'는' 있다고 보는데, 대신 그랬을 때 더 한만큼 돈을 더 주든가 유급휴가를 1분의 에누리 없이 싹 쳐줘야 된다고 보지만 이 나라에서 그게 될지는....
Brown&Cony
안되죠. 한국의 재벌체계에서는 특히요.
최고 핵심 경영진이 그 인물들인데, 사람 생각하는게 잘 안바뀌죠.....ㅋㅋ
앗 저금액은 옛날 N사 다닐때 금액인데 ㅋㅋㅋㅋㅋ 떠난지 오래지만 버닝먼스는 아직도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Brown&Cony
사실 제가 버닝먼스, 텐텐 얘기 해보려다가 너무 특정되는것같아서 거기까진 얘기 안했는데..
금액에서..읍읍
ㅋㅋㅋㅋ
다니엘
52시간 지키는 회사가 많은가요?
저는 대기업에서 일하고 있고, 친구도 모두 알만한 게임업에 일하고 있어서 듣고 있는데...
여기나 거기나 일 많으면 52시간 상관없이 풀 야근하던데요.
물론 근무시간입력은 52시간 안 넘기게 작성하고요 ㅋㅋㅋ

차라리 근무시간 제대로 인정받고 수당이든 휴일이든 제대로 챙겨받는게 낫다고 생각이 드네요.
3
52시간 넘길 정도면 사람을 더 뽑으라는게 법의 취지 입니다.
2
휴일이 생길거라고 믿으시는군요?
1
Brown&Cony
솔직한 얘기를 드리자면 그렇게는 회사들이 돌아가지 않을것같다고 생각합니다.... 흐...
꿀빨 수 있는 길이 눈앞에 있는데 돌아가는회사 거의 없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961 방송/연예미처 몰랐다 이렇게 잘할 줄 ‘수발놈’ 광희 18 벨러 20/07/10 5459 4
13663 방송/연예女 혐오 않는다던 산이가 “페미=정신병”이라고 한 이유 29 벤쟈민 18/12/03 5459 0
25478 정치윤희숙, 의원직, 대선경선 사퇴 "정권교체 희화화 빌미 제공 안돼" 29 주식하는 제로스 21/08/25 5458 4
20930 경제‘희대의 사기극’ 옵티머스 펀드, 부실자산 바꿔치기 전말 8 맥주만땅 20/07/07 5458 0
8428 문화/예술대형 해적사이트, 통신사 갈아타며 웹툰 도둑질..속수무책 1 벤쟈민 18/03/06 5453 0
22290 경제윤희숙 "주 52시간 전면 적용 미뤄야 '전태일 정신' 잇는 것" 50 이상과 비상 20/11/13 5451 0
10267 스포츠A-로드, "금지약물 카노, 인생의 좋은 교훈되길" 1 그림자군 18/05/22 5451 0
21792 과학/기술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12 기아트윈스 20/09/18 5448 3
20592 문화/예술[창간특집] 커피ㆍ트로트ㆍ넷플릭스… 한국인은 왜 7가지에 빠졌나 14 goldfish 20/06/09 5446 0
23561 정치김태년 "국회의원 300명 전수조사"... 국힘 "물타기" 김종인 "한번 해보자" 47 구글 고랭이 21/03/11 5445 0
22745 의료/건강"지방 사람들은 감염돼서 죽어도 괜찮다는 말?" 39 맥주만땅 20/12/26 5444 1
20695 문화/예술코로나 난리통에도 선방한 건보재정.."의료쇼핑 1조 줄어" 15 맥주만땅 20/06/18 5438 3
23122 기타국립의료원 지원한 조민…복지부, 돌연 피부과 정원 늘렸다 29 열린음악회 21/01/28 5433 0
14858 사회전국의 초중고교에 배포된 성평등 교수,학습 지도안 45 ar15Lover 19/03/13 5432 1
28973 정치고소득 사무직 '주52시간 근로' 규제 푼다 38 the 22/04/07 5430 0
23397 의료/건강매일 커피 마시나요? '뇌' 쪼그라듭니다 12 혀니 21/02/22 5427 1
27708 정치이준석 “20대 여성 담론, ‘여자라서 죽었다’만 난무” 28 카르스 22/01/20 5421 0
3715 문화/예술흥부는 평민 출신 부잣집 데릴사위.. 훗날 武科 급제해 1 알겠슘돠 17/06/27 5413 0
20806 기타'히든피겨스' 흑인여성 공학자 이름 따 NASA 본부 명칭 변경 4 늘쩡 20/06/26 5406 3
29272 정치민주, 끝내 검수완박 강행… 검찰청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96 사십대독신귀족 22/04/30 5404 0
19455 게임WHO 사무총장,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게임' 언급 12 atelier 20/03/25 5403 2
23076 정치공기업 급식소까지 '신의 직장' 됐다 44 Schweigen 21/01/25 5401 4
23950 의료/건강남성이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아야 하는 이유 36 empier 21/04/15 5399 1
25017 정치최재형 큰 딸, 4억 빌려 강남 아파트 매입…'부모 찬스' 46 주식하는 제로스 21/07/20 5397 0
21777 의료/건강신규확진 153명, 다시 100명대 중반..수도권 중심 확산세 지속 23 맥주만땅 20/09/17 5394 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