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1/12/12 21:04:26
Name   과학상자
Subject   '충전 대신 배터리 교체'‥전기차 시장 흔드나?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323279_34936.html

///얼핏 자동 세차기 같아 보이지만 전기차 배터리 교체 장비입니다.
작동 버튼을 누르면, 바닥 문이 열리며 기계 장비가 올라와 차량 하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떼냅니다.
분리한 배터리는 충전 보관소로 옮겨지고, 미리 충전한 배터리를 가져와 차량에 장착합니다.
모든 과정은 전자동으로 이뤄집니다.
배터리 전체를 교체하는데 3분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충전에 걸리는 시간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습니다.
교체 장비와 연결된 보관소에는 배터리팩 13개가 항상 충전 중입니다.
24시간 운영으로, 하루 최대 300대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672116

배터리 교체식의 전기자동차를 중국에서는 꽤 많이 밀고 있는 모양입니다.
관련해서 자동차 전문가들 대담을 들었는데 몇 가지 걸림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일단 배터리를 스테이션에서 교체하려면 배터리 규격이 통일되어야 하는데 중국 같은 통제가 없이는 힘들다는 점과
배터리를 분리해서 판매하게 될 경우 자동차 제조사의 이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유인이 적다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배터리 회사들이 전기차 제조에 뛰어들 수 있다는 이야기도 하는군요.



0


맥주만땅
- 배터리는 가스통이 아니다. 교체한 배터리가 불량이면 책임소재는?

- 배터리의 가격이 비싸다. 전기차 부품 중 가장 비싼 녀석인데 교체하는 것을 사람들이 선호할까?

이 정도가 가장 큰 걸림돌일 것 같습니다.

휘발유차의 충전지는 비싸지 않기 때문에 교체해도 큰 저항이 없지요.
과학상자
배터리가 처음부터 차에서 분리된 채 전기차를 구입하고 자기 소유의 배터리없이 시작한다면 저항이 좀 적어질 것 같긴 합니다. 차량 소유자는 처음에 배터리보증금을 내고 교체할 때 마다 이용료를 내는 식으로 하고, 책임소재는 배터리대여업체 또는 배터리제조사에서 지는 방식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요?
1

애초에 전기차의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충전시간인것 같아서...
교차로 지하에 무선충전시설 깔기 vs 교체 플랫폼 깔기 하면 애초에 이게 더 낫지않나? 싶었는데 영 진행이 안되더군요.

오히려 요즘 핸드폰 고속충전으로 느껴지는 충전시간대비 사용감이나
현대 초급속 충전기(18분에 80%까지 충전) 생각하면...
조금 더 발전해서 고전압 때려박을수 있으면(한 3~5분 선으로 끊을수 있으면)
굳이 번거롭고 불편한 교체시설이 필요없을수도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사진에 중국에서 사업하는 배터리 교체 전기오토바이가 과학상자님이 언급하신 배터리 없는 오토바이만 구매하는 방식이고
국내에서도 공... 더 보기
애초에 전기차의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충전시간인것 같아서...
교차로 지하에 무선충전시설 깔기 vs 교체 플랫폼 깔기 하면 애초에 이게 더 낫지않나? 싶었는데 영 진행이 안되더군요.

오히려 요즘 핸드폰 고속충전으로 느껴지는 충전시간대비 사용감이나
현대 초급속 충전기(18분에 80%까지 충전) 생각하면...
조금 더 발전해서 고전압 때려박을수 있으면(한 3~5분 선으로 끊을수 있으면)
굳이 번거롭고 불편한 교체시설이 필요없을수도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사진에 중국에서 사업하는 배터리 교체 전기오토바이가 과학상자님이 언급하신 배터리 없는 오토바이만 구매하는 방식이고
국내에서도 공중전화부스를 없애고 배터리교체충전소 설치하는게 작년부터 컨소시엄 하에 설치중이고
아래 뉴스기사처럼 도입되는 중이기도 하구요.
<서초구,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공교환소’ 이용요금 50% 지원>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861313
과학상자
오, 이런 게 다 있었군요. 조은희 구청장 역점사업인듯?
주아부
고고로라고 대만에서 몇안되는(제가 작년에 조사할때는 2개였습니다) 유니콘 스타트업 중 하나네요.
대만에서는 3-4년전에도 많이들 타고 다니긴 했습니다.
전기차 굴릴 때 급할 때가 아니면 충전이 큰 이슈가 되는 건 아닙니다만, 어쨌든 충전 시간은 점점 현실화되어가고 있읍니다. 고전압 고전류로 어떻게든 해결하려고 하고 있읍니다. 10분대 충전 시간은 이미 가시권입니다
그리고 전기 오토바이 배터리랑 전기차 배터리랑 비용이라던지 관리 난이도가 차원이 다릅니다...
치킨마요
100사이클짜리 교환했더니 1500사이클 배터리가 왔다 뿌슝빠슝
Jack Bogle
니오와 엑스펑을 테슬라의 대항마로 보는 이유가 저거지요. 저것도 한 3년 전부터 나온 이야기..
현재 배터리의 발전속도에서 큰 발전이 없는 한 교체방식이 대세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플랫폼 선점이 우선이겠죠.
1
맥주만땅
배터리 교체식으로 전환하다가 애플카 나오면서 일체형으로 다시 가지 않을까요?
7
바나나코우
ㅋㅋㅋㅋ 그러다가 이어폰구멍도 없어지고
과학상자
슈퍼라이트닝 나오고, 이후 포트리스 슈퍼맥세이프...
cummings
표준화가 문제겠지요.

오히려 중국발 표준화가 시작을 끊으면
-> 중국에 전기자동차 팔기 위한 다른 자동차업체들이 해당 표준에 맞추어 자동차 생산
-> 그 자동차에 맞추어 전세계에 플랫폼이 깔림

순으로 돌아가게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일본의 MD플레이어같은 실패한 표준이 될 수도 있지만요.
1
맥주만땅
미국의 용납할 수 없음...이 나와서...

자동차 회사들은 두가지 모양의 교체플렛폼을 만드려는 순간,

EU가 제 3의 플랫폼을 들고 나와서....
1
고기먹고싶다

1
Jack Bogle
https://www.youtube.com/watch?v=oTXptUuKGrc
Nio ES8 - Battery Swap Station


저 기사가 하안참 뒷북이라서...
1
Fahrenheit
중국은 택시업체들을 이미 저렇게 시행하고 있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민간은 힘들겠지만 사업적으로 운용하는 업체들은 할만한 것 같습니다. 사업체는 차종도 어느정도 통일할 수 있고 정해진 노선이나 일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니까요.
일단 이건 완전 새로운 뉴스는 아닙니다. 니오가 이거 하겠다고 한지도 꽤 오래 됐읍니다
배터리 교체 아이디어는 그 유래가 오래 되었고, 여러 업체에서 시도했는데 fail했읍니다. 국내서 르삼 시도 좌절된 건 유명한 이야기고 테슬라도 한 때 관심 보였다가 접은 지 한참 됐읍니다
이게 소유권 문제도 있고, 배터리 관리나 안전 책임 문제도 있고, 차량 디자인에 제약이 생기는 문제도 있고
(지금 업체들은 배터리 확보도 제대로 못하는 판이라 이런 것 까지 대응하기가 어렵지요)
근본적으로 배터리가 너무 무겁읍니다... 거진 톤 단위인데 설비 투자가 쉽지 않지요
5
과학상자
그렇네요. 확실히 저런 스테이션 설비를 만드는 게 쉽지 않겠습니다.
근데 배터리 일체형으로 만들고 급속충전을 발전시킨다고 해도 여전히 세대별 충전 설비, 전력 수급 문제가 큰 것 같아서 어느쪽 해법이 더 빨리 나올지가 관건이겠군요.
혼돈의2022년
빨리 관련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591 과학/기술고고학자도 직장 잃나..AI, 바둑 게임 넘어 고대문서 해독도 11 귀여운무민 22/03/12 4104 2
28512 과학/기술돼지 '꿀꿀'에 온갖 감정 담겼다…울음소리 7천여건 첫 해독 11 다군 22/03/07 3033 1
28242 과학/기술"두뇌 처리 속도 서른부터 예순까지 거의 일정" 9 다군 22/02/18 3013 0
28042 과학/기술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에... ‘탈원전’ 김제남 前 청와대 수석 10 copin 22/02/09 3620 0
28038 과학/기술부산서 충전 마친 전기차 폭발 5 먹이 22/02/09 2710 0
27989 과학/기술구독 모델, 클라우드 게임에 팔 걷은 MS, 게임업계 ‘넷플릭스’ 되나 붉은 시루떡 22/02/06 2696 0
27920 과학/기술"15년 안에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지면" 지구가 산다 18 다군 22/02/02 4031 0
27898 과학/기술SF영화처럼 대량 인공자궁 관리하는 'AI 유모' 중국서 개발 5 다군 22/01/31 3111 0
27889 과학/기술10억 들여 키운 '국가대표 씨수소' 1마리 가치 2940억원..."자식만 7만마리" 9 22/01/30 2804 0
27416 과학/기술韓·EU, 세계 첫 5G-위성연결통신망 기술 개발 성공 3 구글 고랭이 22/01/06 2702 0
27415 과학/기술삼성전자보다 탄소배출 많은데 '친환경 발전소'라고요? 3 구밀복검 22/01/06 2765 2
27132 과학/기술멸종위기 바나나, 접목으로 곰팡이병에서 구한다 10 구글 고랭이 21/12/23 3406 2
26922 과학/기술'충전 대신 배터리 교체'‥전기차 시장 흔드나? 20 과학상자 21/12/12 3602 0
26893 과학/기술홍콩 연구진 코로나바이러스 죽이는 스테인리스스틸 개발 2 다군 21/12/10 2876 0
26888 과학/기술포항공대 연구팀, 20분 만에 오미크론 판별 진단기술 개발 5 다군 21/12/10 2894 2
26832 과학/기술악어의 눈물?…유전자 가위 기술 이용 생쥐 새끼 성별 100% 통제 3 다군 21/12/06 2822 0
26669 과학/기술인류 최초 '소행성 충돌' 실험 우주선 발사 2 다군 21/11/24 3180 1
26641 과학/기술한국산 '핵융합' 인공태양, 1억도 세계 최장 30초 운전 성공 11 구글 고랭이 21/11/22 3087 5
26605 과학/기술"탈원전 대못박나" 24 moqq 21/11/19 3269 1
26604 과학/기술19일 저녁 '절반 베어 물린' 달 뜬다…오후 6시 2분 98% 월식 2 다군 21/11/19 3043 1
26551 과학/기술탄소중립 시대에 다시 주목받는 '꿈의 연료' 이퓨얼 9 과학상자 21/11/16 3282 2
26543 과학/기술불나면 끄기 어려운 '전기차 열폭주'..119의 해법은 12 먹이 21/11/14 3433 1
26511 과학/기술한국어 기원은 9000년前 중국 동북부 요하의 농경민 21 구글 고랭이 21/11/11 4415 0
26430 과학/기술벤츠·스텔란티스 차에서 또 배출가스 불법조작 적발 5 먹이 21/11/04 2867 0
26295 과학/기술독일서 부품 밀반입해 총기 12정 만든 의사 실형 16 먹이 21/10/26 2900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