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1/09/10 18:43:44 |
Name | 구밀복검 |
Subject | ‘안사람’에서 ‘복부인’까지…부동산은 어떻게 여성의 일 되었나 |
https://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1011026.html ‘한국에서 처음으로 부동산 투기에 뛰어든 이들은 중산층 여성이 아니었다. 1970년대 초반까지 투기 열풍은 기업가, 고위 관료, 토지 브로커 등 특수 계층이 주도했다. 그런데 1980년대 강남 개발이 본격화되고 주택의 상품화 경향이 가속화되면서 자금 운용 능력이 있는 중산층까지 투기에 뛰어들었다. 그야말로 투기의 대중화 시대가 열린 셈이다. 당시 여론은 부동산 중개업소나 아파트 분양권 추첨 현장 등 대중화된 투기의 장에 등장한 중산층 가정주부들에 주목했다. 이들은 ‘복부인’이라는 수상한 이름으로 불리며 투기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책에서 그가 가장 강조한 대목은 ‘5장 투기화된 삶, 그리고 딜레마에 빠진 여성들’이다. 그는 부동산 투자에 뛰어든 덕분에 여성들이 스스로 가정 내 주권을 되찾고 자율성을 확립한 측면도 있지만, 이 행위의 결과는 오로지 남편과 자녀를 위한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로 귀속되면서 여성들 스스로 가부장제와 전통적 가족주의의 강화에 일조했고 부동산 투기의 심화 또한 자초했다고 지적했다. “저는 모릅니다. 집사람이 한 일이에요.” 청문회 때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남성 정치인들의 ‘떠넘기기 변명’이 바로 여성들이 처한 ‘딜레마’를 반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book/2021/09/04/HMTKUVRARRAHXBPI5WOMW4772Q/ 아파트 청약에 당첨돼 큰돈을 번 후 향락에 취하다 거액의 토지 사기를 당해 쇠고랑을 차게 된 주부의 이야기를 그린 임권택 감독 영화 ‘복부인’(1980)은 ‘돈맛’을 본 현모양처의 타락을 그린 전형적인 서사다. 저자가 인터뷰한 여성들 중 몇몇은 부동산 투기를 통해 큰 이득을 보면서 여성의 노동소득은 ‘반찬값이나 버는 일’ 정도로 여겨지던 사회에서 자신의 생산성을 증명하고, 부부 관계에서 권력의 변화까지 경험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들의 딸조차도 엄마의 능력을 인정하는 한편 “여자로서는 불행했다”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저자는 “복부인론은 현모양처의 경제 실천과 연속선상에 있음에도 여성의 역할과 자산 규모가 커졌을 때 발생하는 성별화된 낙인과 폄하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고 말한다. “대중은 ‘남자인 나는 몰랐다’는 해명이 한낱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부동산 투기로 공직자인 남편의 도덕성에 흠집을 낸 여성을 공적으로 비난하고 뒤로는 ‘우리 마누라는 왜 그런 능력이 없냐’며 그 여성의 재테크 능력을 추앙하는 이중성을 보인다.” 전후 한국에서 가정 주부의 자아 실현 수단은 대체로 셋으로 한정되었죠. 부동산 덕질, 아들 덕질, 종교 덕질. 다른 것들도 자잘자잘하게 있지만... 셋을 다 하는 경우도 흔했고. 사회인으로서 바깥세계와 대면할 수 없는 이들이 세상의 메이저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선택하는 우회로인 거죠. 부동산으로 돈을 벌거나, 아들을 성공시키거나, 치성과 기도로 보살이 되고 권사가 되고 하며 신성을 획득하거나. 요즘은 좀 달라진 것도 있지만 50대 이상에는 여전히 남아 있는 문화고 뭐 그 연령대가 인구 절반 가까이니.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titleId=727838&no=1 관련해서 위대한 방옥숙도 추천합니다. 1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밀복검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