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1/07/14 23:22:07
Name   하트필드
Subject   20대는 왜 이렇게 중국을 싫어할까?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025

[중국을 적대시하는 20대 다수의 생각은 간명하다. ‘중국은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패권을 추구한다. 한국 국익에 해롭고, 미국과 경쟁 관계를 유발한다. 그러나 중국의 역량은 미국을 앞지르기에 역부족이고, 앞으로도 미국이 패권을 쥘 것이다. 한국은 중국과 협력하기보다 미국과 협력해야 한다.’]

뭔가 기사가 너무 대충대충 넘어가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긴합니다만...뭐 20대들은 중국을 싫어한다!는건 사실이니. 사드와 한한령이 컸다 싶습네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821

연관 기사보다가 [“반일에 버금가는 반중 민족성”]에서 반일민족주의란 책이 오랜만에 생각나서 뭔가 웃기더군요.ㅋㅋ 이 쪽 기사가 좀 더 자세하니 재밌음. 음 보다보니 봤던 기사 같기도 ㅋㅋ



0


매뉴물있뉴
그 빌어먹을놈 이름이 뭐였더라... 양만춘이 아닌데???
그 놈 영향도 굉장히 컸을겁니다.
1
주식하는 제로스
오원춘?
매뉴물있뉴
네, 그놈요..ㅋ 검색해서 찾아왔는데 적어주셨군욥 ㅋㅋ
고기먹고싶다
양만춘은 고당전쟁 영웅이잖아요 ㅋㅋㅋ 누구 말씀하시는건지 감이 잘 안오네요
매뉴물있뉴
ㅋㅋㅋㅋㅋ 제가 맨날 그놈을... '양만춘이 아닌데' 로만 기억합니다; 오원춘이었어욥!;
주식하는 제로스
저는 소위 "일본이 한국싫어하게 된 이유"랑 똑같다고 봅니다. 지금은 미국을 위협하는 G2지만 전에는 중국을 못사는 나라라고 깔볼수 있었죠. 중국산 ㅋㅋㅋㅋ 같이. 그런데 이제 그럴수 없고 싫은게 남은거죠. 사실상 주적이기도하고 군규모를 유지해야하는 진짜 이유이기도 하고..
순수한글닉
저는 생각이 좀 달라요. 중국이 실력도 없으면서 동북공정이니, 세상의 중심은 중국이라니 이러니까 반감이 커진거라고 봐요. 중국의 자본력과는 다른 이야기예요. 시민의식 문화 이런게 수준에 못미치는데 자꾸 일등하려고 하니까 반중 정서가 강해진거 라고 봅니다. 중국을 깔보고 싶은데 깔보지 못해서 생긴 반감이 아닌거같아요
5
주식하는 제로스
'자꾸 일등하려고 하니까' 같은 이야기같습니다.. 파워에서 자꾸 1등하려고 하고 그걸 그냥 비웃을수 없을 현실성이 가미되자(확고한 2등확보) 다른 기준의 낮은 수준에 눈을 돌리게 되는것 아닐까요?
구밀복검
과거의 NL 사관(민주당식)이 통일을 통해 해뜨는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벌판까지의 회복을 꿈꿨다면
https://news.joins.com/article/23790917
현대의 연성 NL 사관(유권자식)은 민주주의 선진 공동체로서의 한국은 주변의 미개국들과는 클라스가 다르며 특히 일본 같은 음침한 제국주의 침략자나 중국 같은 무식한 공산당과는 격 자체가 넘사벽이라는 데에서 근거를 찾죠. 사기꾼 일본과 조폭 중국을 작살내는 건 민족적이고 민주적이고 해방적... 더 보기
과거의 NL 사관(민주당식)이 통일을 통해 해뜨는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벌판까지의 회복을 꿈꿨다면
https://news.joins.com/article/23790917
현대의 연성 NL 사관(유권자식)은 민주주의 선진 공동체로서의 한국은 주변의 미개국들과는 클라스가 다르며 특히 일본 같은 음침한 제국주의 침략자나 중국 같은 무식한 공산당과는 격 자체가 넘사벽이라는 데에서 근거를 찾죠. 사기꾼 일본과 조폭 중국을 작살내는 건 민족적이고 민주적이고 해방적이고 여성적이고 선진적인 것.
이게 민주당과 유권자들의 동상이몽적 균열 지점이고요. 민주당 입장에서는 조선족이든 고려인이든 다 레벤스라움식으로 흡수할 대상이지만 유권자들에게는 소셜 믹싱한답시고 동네 분위기 작살내는 부외자인 그런 것.
어느 쪽이든 NL 사관이긴 매한가지라 인도양-태평양 자유주의 동맹 체제를 기획하고 있는 미국 입장에선 마뜩치 않게 보이는 거고.
5
에디아빠
3-5열 읽다가 이걸 소중화에 비견해서 소미화 정도로 붙여야 하나 싶은 그런 생각도 들고 그렇읍니다...
1
구밀복검
ㅎㅎ 우리가 세계 질서의 정통이라는 그런 거긴 하죠.
고기먹고싶다
기자조선에 이은 승만민국?
어이쿠 뭔가 제가 알던 NL사관에서 엄청 개념이 확장 되었네요.
2
구밀복검
그냥 제 나름의 이해입니다 ㅎㅎ 저는 박정희까지도 NL로 넣어요.
실제 NL이라기보다는 거기서 일종의 엑기스만 추려서 좀 넓은 의미로 써 본 거..
달과 6두캇
어버이 중화가 미제국주의를 굴복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 더 낙관적이지 않나 싶은데요.
Ulsan_Whale
항미원조의 원죄+조선족제노포비아+시진핑독재 등등등

일단 중국산 소프트웨어가 매력적인게 너무 없습니다ㅠ
Regenbogen
당연히 정치외교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그냥 단순하게…

사소하게는 김치나 한복부터 동북공정, 한한령, 올림픽성화 봉송 때 국내 중국유학생들의 폭동, 관광지 대중교통에서 중국인들 민폐… 등등등 자극적인 사례들이 부각되 누적되다보니 감정적인 반응이 나오는 거.

과대표라고 그러등가 부정적인 면이 나머지를 다 잠식하는 그런거요. 사람이 원래 감정에 민감하니께요.
물냉과비냉사이
중국이란 나라를 싫어하는 것도 있지만 중국인 자체를 싫어하는 경향도 매우 뚜렷하죠. 중국이 싫어서 중국인까지 싫어하는 것인지, 아니면 중국인이 싫어서 중국까지 싫어하는 것인지 따져봐야 될 것 같습니다. 동북아 패권 이런 국제정세 관련된 이야기는 사람들의 대중정서와는 좀 먼 이야기일수도 있을 듯 합니다.
1
반대로 물어보죠. 중국을 좋아해야할 이유가 있나요?
1
좋아할 이유가 없다고 저렇게 싫어하진 않죠
하트필드
제목이 좀 오해할법하긴한데 그냥 요 기사 말고 관련기사 보면 진보, 보수 성향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는데 세대 차이가 난다합니다. 그래서 그 이유가 뭘까 하는 기사.

[대다수 한국인이 공감하는 반중 정서는 세대에서 드라마틱하게 갈린다. 특히 20대에서 두드러진다(〈그림 10〉 참조). 20대의 중국에 대한 감정 온도는 15.9도로 40대(28.3도)나 50대(30.8도)에 비해 절반 가까이 떨어진다. 30대도 21.8도로 전체 평균 26.4도보다 낮다. 2030 세대가 반중 정서를 이끌어가는 핵심... 더 보기
제목이 좀 오해할법하긴한데 그냥 요 기사 말고 관련기사 보면 진보, 보수 성향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는데 세대 차이가 난다합니다. 그래서 그 이유가 뭘까 하는 기사.

[대다수 한국인이 공감하는 반중 정서는 세대에서 드라마틱하게 갈린다. 특히 20대에서 두드러진다(〈그림 10〉 참조). 20대의 중국에 대한 감정 온도는 15.9도로 40대(28.3도)나 50대(30.8도)에 비해 절반 가까이 떨어진다. 30대도 21.8도로 전체 평균 26.4도보다 낮다. 2030 세대가 반중 정서를 이끌어가는 핵심 집단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우리는 이것이 이번 조사에서 가장 눈여겨봐야 할 현상이라고 판단했다.]

[2016년 이후 무슨 일이 벌어졌기에 반중 감정이 지금처럼 치솟은 걸까. 이야기는 다시 앞으로 돌아간다. 2016~2017년 한국은 사드 배치와 그에 따른 중국의 보복(한한령)으로 홍역을 앓았다. 2017년 중국 외교부 당국자가 “소국 한국이 대국 중국에 대항해서야 되겠느냐. 사드를 배치하면 단교 수준의 고통을 줄 것이다”라고 말한 사실이 알려져 반중 정서에 기름을 끼얹었다. ‘소국’ ‘대국’은 지금도 한국인이 중국 이슈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어다.]

[하지만 이들의 판단이 얼마나 현실에 가까운지와는 별개로, 20대의 반중이 다른 세대에 비해 더 감정적이라거나 혐중(嫌中)에 가깝다는 근거는 찾기 어렵다. 미·중 양국 중에서 고민하는 기성세대와 달리 20대는 다수가 미국 중심 세계에 낙관적일 따름이다.]
차오루
중국의 문화 영향력이 국력에 비해 미약한 것도 한 몫 하지 않았을까요.
기사가 좀 웃기네요ㅋㅋㅋ 이유야 다양하지만 싫어하는게 먼저고, 싫으니까 중국의 역량과 잠재력을 얕잡아 보는게 다음 아닐까요? 누가 쟤넨 ㅈ밥이니까 싫다고할까요.
1
Regenbogen
근디 20대만 중국 싫어하는 거 아닐텐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연령불문 아니던거요? 수치는 기억 안납니다만 전 연령대 부정적이었던 기억이 납니당.
2
하트필드





요렇다 합니다.
나코나코나
운동권이 있던 시절 학교다니던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으로 갈리는거라고 봅니다.
댓글로 달아주신 세대별 자료 보니까 뚜렷하네요.
30대만 해도 40대에 가까운 30대 후반이 포함되었음에도 중국 좋아하는 비율이 20%이 겨우 넘을 정도니까요.
나코나코나
그리고 요즘 세상이 어느땐데 소수민족 상대로 명분없이 무력 사용하고 자국민 상대로 독재하는 나라를 힘세다고 좋아하는 게 더 이상한거죠. 2-30대가 정상인겁니다. 40대 이상의 중국 선호는 그 윗세대의 군부독재 시절에 대한 향수와 기저에 깔려있는 정서는 동일하다고 봐요. 본인들은 질색하겠지만.
23
개인적으로는 홍콩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7
다키스트서클
사드부터 본격적으로 불붙었고, 코로나가 결정타였던것 같네요.
미세먼지, 코로나가 컸다고 봅니다. 당장 목따갑고 마스크 답답한데 그게 제일 임팩트 있죠
근데 이거는 한국만의 현상이 아니라는 거...
동북아로 좁혀서 보더라도, 한국의 반일감정 어쩌고 하는데 중국-일본 사이의 감정은 정말 살벌하던데요 ㄷㄷ
어느 면으로보나 중국은 한국을 위협하고 있죠. 경제, 환경, 문화 등등등...
1
조지 포먼
현 5,60대 분들에게는 중국은 위협이 아니죠
지금의 20대들이 보기에는 본인들 말년때 중국이 일본보다 최대의 적으로 두둔 할게 눈에 선하고 실제로도 여러 방면에서 징조가 보이죠.
왼쪽의지배자
지금의 어린세대에게 사실 정치고 뭐고보다

좋아보이는건 다 지꺼라고하는게 꼴보기싫은것도 어느정도 한몫하지않을까요??

머랄까 옆집놈이 우리집놀러오더니 내 로보트 지꺼라고 우기고 그 부모가 동조하는꼴같은거라서요
구글 고랭이
최초로 중국이 한국을 1인당 gdp에서 앞서는 걸 경험할 세대가 될테니까요.
로하이
비약적이시네요. 중국이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한참 우위에 있는 것이 정말 불호의 이유라고 생각하시는 건 아니시겠죠?
구글 고랭이
중국의 패권을 제일 뼈저리게 느낄 세대라는 것입니다.
1
이미 미국의 우산 안에 사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중국의 패권을 느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주한미군이 철수하는 극단적인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중국은 패권국이 아니라 깡패국으로 남을거구요.
구글 고랭이
군사적으로 한반도를 침탈한다는 패권보다는.. 경제적 문화적 패권을 말하는거죠.
경제적으로 중국은 대수출 1위 시장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억압할 수 있는 패권국이 아닙니다.
여차하면 우리 문 닫을거야~ 너네 물건 안사~ 하는 것과 한한령 외에 중국이 경제적으로 한국을 종속시킬 방법이 없죠.
문화적 패권은 더 불가능한데, 지금 세계에서 한국이라는 나라의 인지도가 많이 높아졌기 때문에 중국이 한국의 문화를 자국의 문화라고 우기는 것 말고는 문화적으로 패권을 휘두를 방법이 없습니다.
과거 일본 문화 개방 때도 한국의 문화가 일본 문화에 종속되지 않았는데, 이제와서 중국의 문화가 한국 문화를 침탈한다? 어려운 이야기 입니다.
로하이
경제대국으로서의 패권은 충분히 일리있다고 생각하지만(사실상 지금도 영향을 받고는 있으니까요)
경제적 패권을 기반으로 지금 중국이 우리에게 일삼는 문화적 동북공정 행위를 문화적 패권이라고 하신거라면 그건 잘 모르겠네요... 덧붙여 중국이 현재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강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콘텐츠나 가치가 무엇인진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뭐가 될지도 모르겠고요.
지극히 뇌피셜입니다마는, 저는 현 중국의 공산당 일당체제, 그리고 표현의 자유라는 국민의 기본권과 소수민족을 탄압하는 문화정책 등의 여러가지 기조로는 소위 중국의 '문화 승리'를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쪽 현대 문화 콘텐츠는 현재 중국을 싫어하는 세대에게는 전혀 매력적이지도 않구요.
일본이랑 비교할 필요가 없는데, 과거의 20대가 일본과 부대끼는 거 보다
현재의 20대가 더 중국을 가까이에서 부대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20년 전쯔음인가 네이버 엔조이 재팬이 이슈였던 적이 있었죠. 일본 넷우익과 엄청난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고...
하지만 그때는 지금처럼 국가를 초월한 매개체인 유튜브나 다른 SNS들이 없었기 때문에 소수의 인원들이 그들만의 싸움을 해왔었고
심지어 한국이나 일본 서비스 온라인 게임을 타 국적 유저가 가입해서 게임하는 경우도 극히 드물었고요.

하지만 지금 10대 ~ 20대는 배그, 리... 더 보기
일본이랑 비교할 필요가 없는데, 과거의 20대가 일본과 부대끼는 거 보다
현재의 20대가 더 중국을 가까이에서 부대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20년 전쯔음인가 네이버 엔조이 재팬이 이슈였던 적이 있었죠. 일본 넷우익과 엄청난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고...
하지만 그때는 지금처럼 국가를 초월한 매개체인 유튜브나 다른 SNS들이 없었기 때문에 소수의 인원들이 그들만의 싸움을 해왔었고
심지어 한국이나 일본 서비스 온라인 게임을 타 국적 유저가 가입해서 게임하는 경우도 극히 드물었고요.

하지만 지금 10대 ~ 20대는 배그, 리그오브레전드 등의 게임에서 핵을 쓰는 중국인 유저를 많이 보기도 하고
유튜브 등 다국적 서비스를 지원하는 매개체로 중국인들을 쉽게 접하기도 하고
대학교만 가도 일본인보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많으며 조별과제 등을 할 때 언어 의사소통의 문제로 피해를 보기도 하니
과거 일본보다 현재 중국에 대한 비토세력이 더 많아질 수 밖에 없는 겁니다.

만약 일본 한국 간 인터넷 회선이 지금보다 10배 빠르고, 일본인들이 과거 조선으로부터 한글과 한국어를 물려받아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다고 가정하면 지금 중국 비토 정서보다 더한 반일 정서가 일어날걸요?
3
아무래도 온라인 활동시간이 높은 10대 20대는 맨날 중국인 핵에 당하고 중국인 해킹에 당하니 좀 그런게 있죠.
군자연하는 분들도 자기가 잘 키워놓은 계정 탈탈 털리면 벌개진 얼굴로 쌍욕을 내뱉을 것입니다. 일부라기엔 너무 흔하게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
더불어 일본 '조선적' 보이스피싱 범죄는 들어본적이 없지만 중국 '조선족' 보이스피싱 사례는 너무 빈번하죠.
일본 갖다 붙여 쓰는 기사가 오히려 악의적일 정도입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5471 사회언제 접종할지 몰라요"…외국인 노동자들 감염 취약 하트필드 21/08/24 2797 1
25314 사회해군에서 또…여중사, '상사에 성추행' 신고뒤 숨진채 발견 5 하트필드 21/08/12 3422 4
24927 사회20대는 왜 이렇게 중국을 싫어할까? 44 하트필드 21/07/14 3949 0
24673 사회새우튀김 '1개' 다음 날 환불 요구…쓰러진 분식집 사장님 18 하트필드 21/06/21 3620 1
24537 의료/건강백신 접종 이후 "타이레놀만 달라"…한 달째 품절 31 하트필드 21/06/10 4140 0
23997 의료/건강산두릅인 줄 알았는데…독초 데쳐먹었다 병원행 5 하트필드 21/04/19 3200 0
23969 사회'일 하다 죽은 사람' 40%가 60대 이상 고령자 4 하트필드 21/04/16 4686 3
23960 사회"양구 가서 일할래요"…필리핀 '딸락'의 한글 집회 9 하트필드 21/04/15 3447 1
23897 국제DHC 회장, 인종차별 취재한 NHK에 "日 조선화의 원흉" 13 하트필드 21/04/09 3718 1
23887 사회“한국이 마주한 3대 문제, 북한-한일관계-남녀 불평등”[제목 수정] 40 하트필드 21/04/08 5028 3
23886 정치"집권당 참패 원인은 'naeronambul'"…美 NYT도 주목 14 하트필드 21/04/08 3054 4
23641 사회조작 판치는 네이버 리뷰…자영업자 울리는 '허위 별점' 4 하트필드 21/03/17 2661 0
23481 사회소장님 방 청소는 45세 안 넘는 여자만?…보건소의 황당 규칙 7 하트필드 21/03/04 3223 0
23347 기타코카콜라, 페트병과 이별 준비 중…이젠 종이병에 담는다 6 하트필드 21/02/16 3482 1
23169 사회얼음 속 원숭이의 절규… 동물원은 지옥이었다 9 하트필드 21/02/02 2729 0
22981 기타수도권·강원 중심으로 밤사이 폭설 예보…중대본 1단계 가동 하트필드 21/01/17 3350 0
22920 사회한파 속 ‘내복 여아’ 방치 엄마 사연이 논란인 이유 9 하트필드 21/01/12 2786 0
22841 사회'0.03%가 30% 차지'…포털 뉴스 댓글은 여론인가? 8 하트필드 21/01/05 3689 1
22763 스포츠견공의 구장 난입 '이 축구화 누구 거야?' 하트필드 20/12/28 3314 0
22700 기타교수들이 뽑은 올해 사자성어 '아시타비', 2위는 '후안무치' 5 하트필드 20/12/21 4327 3
22669 사회'이춘재 누명' 윤성여, 32년 만에 무죄…"저 같은 사람 없길 1 하트필드 20/12/18 2953 5
22635 의료/건강감염 걱정에 한파와도 사투…"일상 곧 되찾길" 1 하트필드 20/12/16 2654 0
22593 경제"그냥 폐업하세요"…규제 푼다더니 "알아서 해결해라?" 6 하트필드 20/12/13 3287 2
22571 기타농사일 하랬더니 짝짓기만..죽지도 않는 '좀비' 왕우렁이 13 하트필드 20/12/11 3199 0
22513 의료/건강주말 없이 일해도 일감 '눈덩이'…역학조사 '한계' 16 하트필드 20/12/06 2982 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