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0/11/09 15:46:29 |
Name | 행복한고독 |
Subject | 금융허브 육성?…규제 장벽에 韓 떠나는 외국계 금융사 |
https://cm.asiae.co.kr/article/2020110911123923970 정부가 금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외국계 금융기관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반대로 외국계 금융기관은 한국을 떠나거나 규모를 줄여나가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사실 외국계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한국에 들어올 매력이 매우 부족합니다. 무엇보다 허가제 사업이다보니 각종 규제에 민감한데...기본적으로 영문 자료가 매우 부족하고, 공시된 규제보다는 관계자끼리만 알음알음 알고 있는 정보가 너무 많다는 게 큰 문제입니다. 이에 따라 본점과의 소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납득시키기도 힘들다보니 정부의 외국계 금융기관 유치를 위한 외침과는 반대의 상황이 되고 있네요. (외침이라고 한 이유는 정부가 외국계 금융기관을 유치하겠다고 떠들고는 있지만 얼마나 노력중인지는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 부동산 관련하여 대출 규제에 대해서도 외국계 금융기관의 불만이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미 작년에 https://www.sedaily.com/NewsVIew/1VKH9M22Z8 이런 기사가 올라왔는데, 올해는 더더욱 심해졌으니 말이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행복한고독님의 최근 게시물
|
제가 컴플라이언스쪽에 관련이 있어서 이쪽에 더 민감할 수 있을듯 한데...
중국은 솔직히 논외로 해야하지 않을까요?
그냥 돈이 모이는 시장인데...
정부는 금융허브를 이야기하고, 경제규모는 커지는데 외국계 금융기관은 규모를 줄인다???
차라리 죽은 자식 불알 그만 만지면 나을거 같습니다.
중국은 솔직히 논외로 해야하지 않을까요?
그냥 돈이 모이는 시장인데...
정부는 금융허브를 이야기하고, 경제규모는 커지는데 외국계 금융기관은 규모를 줄인다???
차라리 죽은 자식 불알 그만 만지면 나을거 같습니다.
네. 맞습니다. 다만 돈이 자연스럽게 모이지 않는다면, 돈이 모일수 있게 환경이라도 조성해야겠죠.
(적어도 금융허브를 육성하겠다고 하면요. 그리고 정부는 그 비교대상이 중국이 아니라 싱가포르나 홍콩입니다.)
금융기관의 컴플라이언스 담당자 만나면 어려움을 토로하는 부분중 하나가 감독기관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규정이 모호한 것들에 대해 문의하면 그건 그냥 해야하는 것들로 바뀌고, 이런걸 명문화 하는게 아니라 그냥 언제 누구에게 질의응답 했으니...또는 타 금융기관에서 지적했으니 지켜라...이런것들이 너무 많아요.
... 더 보기
(적어도 금융허브를 육성하겠다고 하면요. 그리고 정부는 그 비교대상이 중국이 아니라 싱가포르나 홍콩입니다.)
금융기관의 컴플라이언스 담당자 만나면 어려움을 토로하는 부분중 하나가 감독기관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규정이 모호한 것들에 대해 문의하면 그건 그냥 해야하는 것들로 바뀌고, 이런걸 명문화 하는게 아니라 그냥 언제 누구에게 질의응답 했으니...또는 타 금융기관에서 지적했으니 지켜라...이런것들이 너무 많아요.
... 더 보기
네. 맞습니다. 다만 돈이 자연스럽게 모이지 않는다면, 돈이 모일수 있게 환경이라도 조성해야겠죠.
(적어도 금융허브를 육성하겠다고 하면요. 그리고 정부는 그 비교대상이 중국이 아니라 싱가포르나 홍콩입니다.)
금융기관의 컴플라이언스 담당자 만나면 어려움을 토로하는 부분중 하나가 감독기관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규정이 모호한 것들에 대해 문의하면 그건 그냥 해야하는 것들로 바뀌고, 이런걸 명문화 하는게 아니라 그냥 언제 누구에게 질의응답 했으니...또는 타 금융기관에서 지적했으니 지켜라...이런것들이 너무 많아요.
한 외국계 컴플라이언스 담당자는 모든 법률과 서류가 영어로 되어 있는 싱가포르, 홍콩과의 차이점 뿐만 아니라, 규제 대응의 사유가 명문화 된것이 아닌 a은행 지적사항이라는 것들에 대해 본점 설득도 어렵고 그런 금융당국의 태도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어려워 신뢰도가 낮다는 의견을 들은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해결책이나 지원 없이 그냥 말로만 금융허브 육성이라고 떠드는게 벌써 몇년짼가 싶어 기사 퍼와봤습니다.
(적어도 금융허브를 육성하겠다고 하면요. 그리고 정부는 그 비교대상이 중국이 아니라 싱가포르나 홍콩입니다.)
금융기관의 컴플라이언스 담당자 만나면 어려움을 토로하는 부분중 하나가 감독기관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규정이 모호한 것들에 대해 문의하면 그건 그냥 해야하는 것들로 바뀌고, 이런걸 명문화 하는게 아니라 그냥 언제 누구에게 질의응답 했으니...또는 타 금융기관에서 지적했으니 지켜라...이런것들이 너무 많아요.
한 외국계 컴플라이언스 담당자는 모든 법률과 서류가 영어로 되어 있는 싱가포르, 홍콩과의 차이점 뿐만 아니라, 규제 대응의 사유가 명문화 된것이 아닌 a은행 지적사항이라는 것들에 대해 본점 설득도 어렵고 그런 금융당국의 태도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어려워 신뢰도가 낮다는 의견을 들은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해결책이나 지원 없이 그냥 말로만 금융허브 육성이라고 떠드는게 벌써 몇년짼가 싶어 기사 퍼와봤습니다.
금융주 주주 입장에서 짱나긴 하지만 솔직히 지난 몇 번의 금융위기 때 다 공멸할 뻔한 걸 정부돈 쏟아부어서 기사회생했으니 정부가 건전성을 명분으로 빡세게 규제해도 할 말이 없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또다시 금융위기가 온대도 아무튼 어떻게든 정부가 뫄뫄자금 때려넣어서 살려주겠지 하는 믿음이 있으니까 안심하고 금융주에 투자하는 거기도 하고...'ㅅ' 일장일단이 있다능.
그리고.... 또다시 금융위기가 온대도 아무튼 어떻게든 정부가 뫄뫄자금 때려넣어서 살려주겠지 하는 믿음이 있으니까 안심하고 금융주에 투자하는 거기도 하고...'ㅅ' 일장일단이 있다능.
긍정적인 영향 이런건 저도 솔직히 모르겠고, 몇년전부터 한국을 싱가포르나 홍콩 같은 금융허브로 만들겠다면서 아무 성과가 없다는 걸 지적하고 싶었습니다.
할거면 제대로 하든가, 아니면 그냥 가만히 있던가
..
할거면 제대로 하든가, 아니면 그냥 가만히 있던가
..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