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0/10/09 21:42:05
Name   하트필드
File #1   42965_76700_1514.jpg (189.5 KB), Download : 5
Subject   ‘노무현 유산의 비상, 박정희 신화의 추락’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65

[2020년 전직 대통령 신뢰도 조사에서 3위(15.6%)를 차지한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7년 전직 대통령 신뢰도 이후 꾸준히 10% 중반대를 유지하며 3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은 40대(67.5%)가 김대중 전 대통령 신뢰 응답에서는 낮은 비율(9.4%)을 보여 대조를 이뤘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신뢰도 상승도 눈에 띈다. 비록 한 자릿수이지만 지난해 2.9%에서 4.8%로 올랐다. 노무현-박정희-김대중에 이어 4위다. 상승세를 이끈 세대가 20대라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20대 14.2%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밝혔다. 박정희 전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밝힌 20대 비율(7.7%)보다 높다. 게다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말한 20대의 응답 성향은 40대 이상과 확연히 차이가 난다. 30대 6.1%, 40대 1.5%, 50대 2.4%, 60대 이상 2.3%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대답했다.]


---------------------------------------

비상이라길래 ??이러며 봤는데 ㅋㅋ  추락과 대비해서 봤어야했는데 말이죠ㅋㅋ

20대의 이명박 평가는...박정희의 분신이었던 박근혜는 패배의 책임자고, 원조 가카 박정희는 교과서속 사람이고, 가까운 안티테제로써 이명박아닐지.

개인적으로는 YS가 눈에 밟히는군요. IMF가 참 크긴 크네요. 이명박 아래ㅠㅠ 그래프 보면 노무현, 박정희 보담도 꾸준한 DJ의 위엄이 느껴지기도하고.



0


Cascade
하나회 척결! 금융실명제 한 대통령 누굽니꽈!

응 그래도 IMF는 쉴드 안돼~ 돌아가~
5
존보글
확실히 보고 들은 게 다르거나 기억에서 잊혀지니 생각들이 많이 다르군요. 03~07의 2차 집값 드라이브를 본 저로써는 그거 하나만으로 노무현은 아웃인데...
확실히 요즘 넷상에서 보면
mb 올려치기가 많이 보이는거 같더라구요
박근혜보다도 폐해가 더 많은것 같은데...
9
존보글
폐주는 국정농단 때문에 다 쳐맞은 꼴인데 의외로 '부분적으로' 재평가될 게 많을 겁니다 '부분적으로'...
3
보이차
뭐 하려고 하지마
쿠르드
ㅋㅋㅋ'대깨문'에 맞서기 위해 뭔가를 세우긴 세워야겠는데 차마 탄핵된 박근혜를 세울 수 없으니 세우는 거 아닐까 싶어요. 젊은 보수의 취향에도 맞나...?
3
내가 다 해봐서 아는 흙수저 신화?? ㅋㅋㅋㅋㅋㅋ
할머니
부동산이 제일크죠
1
the hive
YS를 빼면 MB를 뺀 나머지 대통령들이 하나같이 실격이라..MB정도면 적어도 문통과 비교하는건 가능하니까요
전두환이 저 위치에 있던 시절 생각하면 꽤 끔찍합니다
2
잘살자
본문에선 노무현대통령이 1위인데
정책평가에서는 점수가 별로 안좋아보이네요?
다른 대통령들에 대한 정책평가가 궁금해지네요.
구밀복검
이건 2005년 8월 당시 중간 평가라 그렇습니다.
패배자 꺼져. 금수저 재수없어.
능력과 노력으로 일군 성공. 공정의 화신 mb. 하악하악
각자의 그때가 좋았지가 있는 것이지요
2
닭장군
요새 문재인정부 깔려고 노무현정부 미화하는 사람들이 있지요. 그런데 냉정하게 노무현정부는 욕 디립다 먹은 정부였습니다. 집권내내 지지율 바닥이었음. 문재인 까는건 까는거지만, 마음에도 없는 미화는 자제해야...
3
dj가 왜케 낮을까요
3
원래부터 팬보다 안티(김영삼 팬, 김종필 팬, 박정희 팬, 이기택 팬, 백기완 팬 등등)가 더 많았음 + 팬덤들이 노무현으로 다 넘어가서 무색무취해짐이라 봅니다.
원래 안 빨 사람(민정당계 지지자든 ys지지든)이야 그러려니 하는데 솔직히 민주화세력 중에서 노무현 vs 김대중 이면 시대의 한계점이나 노회한 이미지, 정치적욕심 같은걸로 디버프 먹는거 최대로 쳐줘서 감안해도 객관적으로 답이 나와있는건데 왜 인기가 이다지도 심히 차이가 나는건지 모르겠읍니다
1
닭장군
심리적 거리감도 한몫 하지 않을까 합니다.
고기먹고싶다수정됨
DJ가 좀 오래된 사람이라 젊은 진보층에겐 좀 거리감이 있고 90년대 후반의 정치 활동으로 인해서 4060의 진보층에게도 어느정도 비토정서가 있는게 영향이 있지않나 싶습니다. 소위 팬덤은 위에 구밀복검님 말씀대로 다 노무현으로 넘어갔죠 당장 현재 활동하는 여권의 거물 정치인중에 김부겸이랑 김영춘은 DJ가 싫어서 한나라당갔다 온사람들이고 ㅋㅋㅋ 좀 오래된 거물중엔 이부영도 있고... 개인적으로는 여러모로 김대중이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최고의 인물이라고 생각합니다만 ㅠ
2
구밀복검
위에 더해서 동교동계가 탄핵 국면 이후 펼쳐진 17대 총선에서 친노계에게 완전히 압살 당한 게 결정적인 계기였다고 생각합니다. 원래부터 동교동계는 김대중 원탑으로 가는 종래의 일본식 보스정치 집단이었는데 선거에서 저렇게 개작살이 나니 김대중의 후계자고 뭐고 나올 수가 없게 되었다 싶습니다.

김대중의 전성기는 인터넷 세대 이전이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을 테고요. 김대중이 현역 때 항상 듣던 소리가 언론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가 없다는 거였는데 인터넷 사용인구가 늘면 늘수록 열우당-민주당계가 유리해졌죠. 뭐 열우당 자체가 개혁당... 더 보기
위에 더해서 동교동계가 탄핵 국면 이후 펼쳐진 17대 총선에서 친노계에게 완전히 압살 당한 게 결정적인 계기였다고 생각합니다. 원래부터 동교동계는 김대중 원탑으로 가는 종래의 일본식 보스정치 집단이었는데 선거에서 저렇게 개작살이 나니 김대중의 후계자고 뭐고 나올 수가 없게 되었다 싶습니다.

김대중의 전성기는 인터넷 세대 이전이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을 테고요. 김대중이 현역 때 항상 듣던 소리가 언론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가 없다는 거였는데 인터넷 사용인구가 늘면 늘수록 열우당-민주당계가 유리해졌죠. 뭐 열우당 자체가 개혁당과 노사모가 밑거름이 된 인터넷 참여뽕을 채워주는 정당이기도 했고요. 실상 김대중 진성 팬이려면 최소 70년대 전반생이어야 하는데 이분들이 인터넷 월드에서 유권자로서 가지는 발언권이 뭐 그리 쎈 편이 아니니.
4
녹차김밥
2012년말 대선에서 박근혜가 문재인을 이겼을 때 딱 그런 생각을 했었어요. 노무현의 유산은 여기까지구나. 결국 박정희의 유산에 못 미치는구나. 사람들의 평가가 이렇다는 걸 받아들여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가장 아쉬웠어요. 그래서 개인 sns에 글도 쓰고 그랬어요.

노무현은 재임 중에도 지독하게 인기없었던 대통령인데, 어쩌면 문재인을 통해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사후 재평가를 받는다는 느낌이기도 해서, 그냥 역사 속의 노무현이 여기까지구나 했던 거죠. 그래서 그게 참 안타까웠어요.

그런데 꼭 그렇게만 마무리되지는 않는군요. 아마 박정희나 박근혜도 또 모르는 일일 수도 있겠지요..
1
사악군
어찌보면 재평가 리즈시절이란건 다 그런건지도..지나고 한타임 또 더 가야 재평가라는게 되는 것
1
화이트카페모카
영화로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노무현 미화 되어가니 현재의 평가가 좋아질수밖에....집귄중에 욕 많이 먹은 대통령이 노무현 이였던걸로 기억하는데 말이죠.
솔직히 대중들은 대통령이 뭐 했는지 자세히 알 생각
안하게 되니 미디어 매체로 꾸준히 접한걸로 무의식중에 착한 대통령이다 라고 생각이 박힌게 아닐까 싶네요.
1
메리메리
최소 2~300년은 지나야지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해질 겁니다.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 그들의 아들, 딸 그리고 손자 세대가 모두 퇴장한 후에 말이죠.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484 사회다시 뒤집힌 전동킥보드법…'무면허 규제법' 행안위 통과 7 하트필드 20/12/03 2348 1
22359 사회'원정화 사건' 불편한 진실 드러날까 하트필드 20/11/22 3385 0
22319 방송/연예방송인 사유리, 홀로 엄마가 됐다…“꿈이 아닐까” 13 하트필드 20/11/16 4080 4
22304 사회처우 개선 외치는 전과자들…교도소 단식 투쟁 전말 1 하트필드 20/11/15 2661 1
22298 의료/건강독감 백신 사망자 104명…정부 "인과성 인정 안돼" 5 하트필드 20/11/14 3466 1
22232 사회한국계 여성 의원에 “순종 아니다” 망언, 여과 없이 공중파 탔다   15 하트필드 20/11/07 3690 0
22024 사회집 안 곳곳 '해바라기'…그 속에 카메라 렌즈가? 6 하트필드 20/10/14 2674 0
21990 정치‘노무현 유산의 비상, 박정희 신화의 추락’ 25 하트필드 20/10/09 4748 0
21798 사회‘블랙페이싱’은 거두절미하고 나쁜가 10 하트필드 20/09/18 3756 4
21649 기타50톤도 들썩 '폭풍해일' 비상…침수 전에 대피 4 하트필드 20/09/06 6389 0
21493 국제30명 줄서서 16살 소녀를…이스라엘 뒤엎은 분노 7 하트필드 20/08/25 3495 0
21435 의료/건강인천 남동구 교회서 15명 무더기 확진.."소모임 가져", 연극 짬뽕'&'소 참여진 39명중 15명 확진 하트필드 20/08/20 3436 0
21038 사회성착취·불법 촬영물 수천 개 ‘영강’ 37세 유통업 종사 하트필드 20/07/17 2413 0
21037 사회"'애미론' '애비론' 작업 봅니다"...미성년자 속여 수억원대 사기 6 하트필드 20/07/17 3194 0
20960 정치박원순 시장 '성추행 의혹' 고소 사건 수사종결 36 하트필드 20/07/10 4858 8
20902 의료/건강자위가 몸에 나쁘다?...자위에 대한 오해와 진실 5가지 9 하트필드 20/07/04 6074 0
20818 국제중국 100년만의 대홍수…남부 물바다 1 하트필드 20/06/27 3080 0
20815 사회말썽도 장난도 아닙니다…‘불편·답답’ 극복하려는 삶의 행동이죠 2 하트필드 20/06/27 2968 4
20810 의료/건강 엘리베이터에서 손 소독제 쓰려다...5살 아이 '각막 화상' 5 하트필드 20/06/26 4405 0
20729 사회"8월에 쓰레기 대란"…재활용 폐기물 '수거 포기' 우려 10 하트필드 20/06/20 3073 0
20385 국제유튜브에 '평양 어린이' 브이로그 등장…北 당국 운영 추정 8 하트필드 20/05/25 3188 1
20097 국제YTN ‘빵 한 쪼가리’ 보도에서 얻어야 하는 교훈 5 하트필드 20/05/05 3450 5
19967 사회바둑여제 조혜연 9단, 1년 간 스토킹…“하루하루가 지옥” 1 하트필드 20/04/24 2670 0
19841 게임사도 키우기 '에반게리온 다마고치' 등장" 5 하트필드 20/04/18 7706 0
19764 경제위메프, 편리미엄 제품 매출 '쑥'↑ 4 하트필드 20/04/13 3288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