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0/05/06 07:46:25 |
Name | T.Robin |
Subject | [외신] 천조국의 MIT는 괴물인가! - $6짜리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 성공 |
https://interestingengineering.com/mit-invented-new-6-coronavirus-test-with-crispr 아직 FDA 승인은 못 받았고, 1차 내부 테스트만 수행한 수준(12명 확진환자+5명 제어군)이긴 한데, MIT에서 생산원가 6달러짜리 코로나19 검사 키트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CRISPR이란걸 쓴다는데 전 도통 봐도 뭔소린지 모르겠고...... -_-; (전에 어디선가 들은 유전자 가위라는게 이건가요?) 임신테스트기처럼 한 줄이 나오면 정상, 두 줄이 나오면 코로나19 감염이라는 형태로 진단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MIT에서는 이미 제조사들과 대량생산을 타진하고 있다고 하네요. 이게 본격적으로 생산되면 우리나라에서 신나게(?) 생산중인 RT-PCR 검사키트 판매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고민되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T.Robin님의 최근 게시물
|
ublock origin은 Firefox에도 있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여러 도구들 중에 가장 성능이 좋더군요(CPU도 덜 먹고......).
제가 사용했던 여러 도구들 중에 가장 성능이 좋더군요(CPU도 덜 먹고......).
설명을 드리자면 간단하다면 간단하고 복잡하다면 복잡한건데,
유전자가위중 Cas13 이란것이 있습니다.
이 유전가가위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guide RNA라는 유전자가위를 타겟 RNA로 유도하는 RNA가 하나 필요하긴 하지만 이미 Covid-19의 경우에는 유전자 염기 서열이 나와있기때문에 디자인이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Cas13은 RNA을 타겟으로 하는 유전자가위이고, 이 유전가 가위가 사용될때 주변에 있는 RNA를 랜덤하게 자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약에 짧은 RNA 양옆에 시그널이 될만한 항체 2개를 붙여서, 이 RNA가 잘릴때와 잘리지 않을때 붙을수 있는 또 다른 항체를 키트 바닥에 설치만... 더 보기
유전자가위중 Cas13 이란것이 있습니다.
이 유전가가위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guide RNA라는 유전자가위를 타겟 RNA로 유도하는 RNA가 하나 필요하긴 하지만 이미 Covid-19의 경우에는 유전자 염기 서열이 나와있기때문에 디자인이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Cas13은 RNA을 타겟으로 하는 유전자가위이고, 이 유전가 가위가 사용될때 주변에 있는 RNA를 랜덤하게 자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약에 짧은 RNA 양옆에 시그널이 될만한 항체 2개를 붙여서, 이 RNA가 잘릴때와 잘리지 않을때 붙을수 있는 또 다른 항체를 키트 바닥에 설치만... 더 보기
설명을 드리자면 간단하다면 간단하고 복잡하다면 복잡한건데,
유전자가위중 Cas13 이란것이 있습니다.
이 유전가가위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guide RNA라는 유전자가위를 타겟 RNA로 유도하는 RNA가 하나 필요하긴 하지만 이미 Covid-19의 경우에는 유전자 염기 서열이 나와있기때문에 디자인이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Cas13은 RNA을 타겟으로 하는 유전자가위이고, 이 유전가 가위가 사용될때 주변에 있는 RNA를 랜덤하게 자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약에 짧은 RNA 양옆에 시그널이 될만한 항체 2개를 붙여서, 이 RNA가 잘릴때와 잘리지 않을때 붙을수 있는 또 다른 항체를 키트 바닥에 설치만 하면 시그널 보기는 어렵지 않을겁니다.
설명이 어려운거 같은데 (하아... 이래서 조교 할 수 있을까?),
즉, 코로나 바이러스 RNA를 목표로 하는 유전자가위를 설계하고, 시약에 시그널이 될수 있는 다른 RNA를 섞어줍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RNA가 있다면, 유전자 가위가 코로나 바이러스 RNA도 자르고 시그널 RNA도 잘라서 시그널을 보여주고,
코로나 바이러스 RNA가 없다면, 유전자 가위가 사용이 안되기 때문에 시그널 RNA도 안 잘리니 다른 시그널을 보여주겠죠.
이 기술의 이름은 SHERLOCK 이고
논문은 여기서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6-019-0210-2
비디오는 여기서 https://www.youtube.com/watch?v=ZOoUIlLmxf4
자막은 없지만 이해하기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참고로 저 SHERLOCK 개발한 연구실이 이 키트 개발한 연구실이고 (사실 같은 개념)
이 연구실의 Feng Zhang 교수님은 유전자가위 분야의 대가십니다
유전자가위중 Cas13 이란것이 있습니다.
이 유전가가위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guide RNA라는 유전자가위를 타겟 RNA로 유도하는 RNA가 하나 필요하긴 하지만 이미 Covid-19의 경우에는 유전자 염기 서열이 나와있기때문에 디자인이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Cas13은 RNA을 타겟으로 하는 유전자가위이고, 이 유전가 가위가 사용될때 주변에 있는 RNA를 랜덤하게 자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약에 짧은 RNA 양옆에 시그널이 될만한 항체 2개를 붙여서, 이 RNA가 잘릴때와 잘리지 않을때 붙을수 있는 또 다른 항체를 키트 바닥에 설치만 하면 시그널 보기는 어렵지 않을겁니다.
설명이 어려운거 같은데 (하아... 이래서 조교 할 수 있을까?),
즉, 코로나 바이러스 RNA를 목표로 하는 유전자가위를 설계하고, 시약에 시그널이 될수 있는 다른 RNA를 섞어줍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RNA가 있다면, 유전자 가위가 코로나 바이러스 RNA도 자르고 시그널 RNA도 잘라서 시그널을 보여주고,
코로나 바이러스 RNA가 없다면, 유전자 가위가 사용이 안되기 때문에 시그널 RNA도 안 잘리니 다른 시그널을 보여주겠죠.
이 기술의 이름은 SHERLOCK 이고
논문은 여기서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6-019-0210-2
비디오는 여기서 https://www.youtube.com/watch?v=ZOoUIlLmxf4
SHERLOCK: A CRISPR Tool to Detect Disease
자막은 없지만 이해하기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참고로 저 SHERLOCK 개발한 연구실이 이 키트 개발한 연구실이고 (사실 같은 개념)
이 연구실의 Feng Zhang 교수님은 유전자가위 분야의 대가십니다
6불이라는건 별로 중요한건 아니예요. 지금 PCR법으로하는 키트도 원가자체만 따지면 얼마안할텐데요. 여기서 강조하고 있는건 Point of Service (POS)로 할 수 있다는것과 특별한 기계가 필요없어서 집에서도 할 수 있다고 하는거예요.
POS로 할 수 있다는건 병원에 검진을 갔을때 결과를 바로 알 수 있다는것, 그러니까 검사결과가 빠르다는건데요. 한시간이면 검사결과가 나오기때문에 검체를 하고나면 일단은 결과가 나올때까지 다른곳에서 머물든 집에서 결과를 기다리던 해야하는 방법과는 달리 병원에서 바로 결과를 알고 그 자리... 더 보기
POS로 할 수 있다는건 병원에 검진을 갔을때 결과를 바로 알 수 있다는것, 그러니까 검사결과가 빠르다는건데요. 한시간이면 검사결과가 나오기때문에 검체를 하고나면 일단은 결과가 나올때까지 다른곳에서 머물든 집에서 결과를 기다리던 해야하는 방법과는 달리 병원에서 바로 결과를 알고 그 자리... 더 보기
6불이라는건 별로 중요한건 아니예요. 지금 PCR법으로하는 키트도 원가자체만 따지면 얼마안할텐데요. 여기서 강조하고 있는건 Point of Service (POS)로 할 수 있다는것과 특별한 기계가 필요없어서 집에서도 할 수 있다고 하는거예요.
POS로 할 수 있다는건 병원에 검진을 갔을때 결과를 바로 알 수 있다는것, 그러니까 검사결과가 빠르다는건데요. 한시간이면 검사결과가 나오기때문에 검체를 하고나면 일단은 결과가 나올때까지 다른곳에서 머물든 집에서 결과를 기다리던 해야하는 방법과는 달리 병원에서 바로 결과를 알고 그 자리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겠죠.
그리고 특별한 기계가 필요없이 시약들을 검체와 섞고나서 60도로 가열하는 스텝만 있어서 특별한 기계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요. PCR법으로 하려면 thermocycler가 필요한데 엄청 비싼건 아니지만 일단 고정으로 비용이 들어가는것이고, 복잡하지는 않지만 사용방법에 대한 훈련도 해야하고요. 위의 방법이라면 병원이나 랩이라면 보통 히팅블럭은 다 가지고 있을것이고, 집에서도 물을 중탕으로해서 온도를 적당히 맞추면 될테니까요. 다만 집에서 검사를 할때는 아무래도 검체를 얻을때 제대로 못 얻어서 위음성이 나올 확률이 많이 높아지지 않을까 싶어요.
대량으로 검사를 할때는 PCR법으로 하는게 딱히 밀릴건 없는데요. 그 시기가 지나서 검사 규모가 작아지면 이게 더 나은 방법이 될 수도 있을듯 해요. 침으로 검사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위음성 나올 가능성때문에 집에서 이용하기에는 쉬워보이지는 않고요.
POS로 할 수 있다는건 병원에 검진을 갔을때 결과를 바로 알 수 있다는것, 그러니까 검사결과가 빠르다는건데요. 한시간이면 검사결과가 나오기때문에 검체를 하고나면 일단은 결과가 나올때까지 다른곳에서 머물든 집에서 결과를 기다리던 해야하는 방법과는 달리 병원에서 바로 결과를 알고 그 자리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겠죠.
그리고 특별한 기계가 필요없이 시약들을 검체와 섞고나서 60도로 가열하는 스텝만 있어서 특별한 기계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요. PCR법으로 하려면 thermocycler가 필요한데 엄청 비싼건 아니지만 일단 고정으로 비용이 들어가는것이고, 복잡하지는 않지만 사용방법에 대한 훈련도 해야하고요. 위의 방법이라면 병원이나 랩이라면 보통 히팅블럭은 다 가지고 있을것이고, 집에서도 물을 중탕으로해서 온도를 적당히 맞추면 될테니까요. 다만 집에서 검사를 할때는 아무래도 검체를 얻을때 제대로 못 얻어서 위음성이 나올 확률이 많이 높아지지 않을까 싶어요.
대량으로 검사를 할때는 PCR법으로 하는게 딱히 밀릴건 없는데요. 그 시기가 지나서 검사 규모가 작아지면 이게 더 나은 방법이 될 수도 있을듯 해요. 침으로 검사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위음성 나올 가능성때문에 집에서 이용하기에는 쉬워보이지는 않고요.
워싱턴대 의대 Keith Jerome 교수팀과 MIT의 CRISPR 대가인 Feng Zhang 교수팀이 공동 개발했죠. 정확히는 Feng Zhang 교수팀이 2017년 개발한 Sherlock 기반 테스팅으로, STOP이란 이름이 Sherlock Testing in One Pot의 약자이기도 합니다.
Mammoth Biosciences도 CRISPR기반 테스트를 개발했습니다. 이쪽은 UC Berkeley의 Jennifer Doudna 교수가 공동 창업자입니다.
CRISPR–Cas12-based detection of SARS-CoV-2
... 더 보기
Mammoth Biosciences도 CRISPR기반 테스트를 개발했습니다. 이쪽은 UC Berkeley의 Jennifer Doudna 교수가 공동 창업자입니다.
CRISPR–Cas12-based detection of SARS-CoV-2
... 더 보기
워싱턴대 의대 Keith Jerome 교수팀과 MIT의 CRISPR 대가인 Feng Zhang 교수팀이 공동 개발했죠. 정확히는 Feng Zhang 교수팀이 2017년 개발한 Sherlock 기반 테스팅으로, STOP이란 이름이 Sherlock Testing in One Pot의 약자이기도 합니다.
Mammoth Biosciences도 CRISPR기반 테스트를 개발했습니다. 이쪽은 UC Berkeley의 Jennifer Doudna 교수가 공동 창업자입니다.
CRISPR–Cas12-based detection of SARS-CoV-2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7-020-0513-4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현재 시중에 팔리고 있고, 쓰고 있는 항체 검사 키트들 너무 신뢰도가 낮다고 하는데, 정확도가 높으면서 간편한 테스트가 빨리 나오면 좋겠습니다.
Mammoth Biosciences도 CRISPR기반 테스트를 개발했습니다. 이쪽은 UC Berkeley의 Jennifer Doudna 교수가 공동 창업자입니다.
CRISPR–Cas12-based detection of SARS-CoV-2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7-020-0513-4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현재 시중에 팔리고 있고, 쓰고 있는 항체 검사 키트들 너무 신뢰도가 낮다고 하는데, 정확도가 높으면서 간편한 테스트가 빨리 나오면 좋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