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9/09/17 21:23:49 |
Name | 하트필드 |
Subject | 뉴스를 못 믿어서 유튜브를 본다 |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73 [진보·보수층 유튜브 이용률이 중도보다 높아 한국만의 특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뉴스 관련 유튜브 이용률이 낮은 경향을 보이는 다른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특히 55세 이상에서 38개국 전체 이용률은 22%였지만, 한국은 42%로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정치 성향별로 쪼개봐도 이용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은 진보와 보수 성향 이용자가 중도 성향 이용자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유튜브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눈에 띄는 결과는 또 있다. 한국이 조사 대상국에 포함된 2016년 이후 3년 연속 ‘꼴찌’를 하고 있는 항목이 있다. 바로 뉴스 신뢰도다. 한국은 뉴스를 신뢰한다는 응답이 응답이 22%로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낮았다.] [2017년 조사에서 0.1%, 2018년 2%로 나타났던 유튜브에 대한 신뢰도는 이번 조사에서 모든 매체 중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표 2> 참조). 유튜브가 레거시 미디어를 위협하는 정도가 아니라 치고 나가는 모양새다. 유튜브는 19~20세(22%), 대전·충청(23.7%), 자유한국당(18.3%), 학생(22.4%)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진보로 기울어진 운동장 가짜뉴스에 반발하여 유투브로 이동하는 보수층. 뉴스 믿지마 김어준, 아니 정규재를 믿어!...은 훼이크고 뭐 기술의 발전 아닐까싶습니다. 가짜 뉴스는 왜 판치는가보담도 내가 듣고싶은 목소리를 내주는 사람 찾아가는게 대세고... 이런면에서 인방 플랫폼이 최적화 아닐까 싶습니다. 구독과 좋아요! 재밌는 채팅과 댓글은 덤. 뭐 개인적으로 장단점 따지기보담도 시대의 흐름이라봐서.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트필드님의 최근 게시물
|
ㅎ.ㅎ... 보고 싶은 것만 찾아 보는 게 마음 편하죠. 저도 이해해요, 저 역시 그 문제에서 자유롭지도 않을 것이고. 근데 그런 한편 자신이 모든 걸 다 알고 있다 여기는 건 보기 역해요. 자신에게 한계가 있음도 이해하면 좋겠어요.
언젠가부터 가짜뉴스라는 말이 내가 듣기싫은 뉴스라는 말로 쓰이는 거 같기도 해요. 어쩌면 이것도 역사의 발전과정의 일부가 아닐까 합니다.
기성 언론을 신뢰하지 못한다면서 정작 신뢰성 있는 소스는 죄다 신문기사에서 가져다 쓰죠 ㅋㅋㅋ
기생 또는 공생 관계에 있는데, 그렇다고 보수 유튜버들 중에 하다못해 주진우씨 정도 취재해서 썰 푸는 양반도 없고...
기생 또는 공생 관계에 있는데, 그렇다고 보수 유튜버들 중에 하다못해 주진우씨 정도 취재해서 썰 푸는 양반도 없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