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9/09/10 19:16:06 |
Name | 떡라면 |
Subject | 국회에 '도심형 수소충전소' 준공…수소택시 시범사업도 개시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910_0000766659&cID=10401&pID=10400 국회 근처에 수소충전소를 준공했군요. 폭발 위험이나 그런 건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친환경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걸까요? 아니면 다른 의지를...? "기억하라, 기억하라, 11월 5일을..."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떡라면님의 최근 게시물
|
전기차 확산에 따라 필요한 추가 발전량은 논란이 있읍니다. 학자 따라서 추정치가 워낙 널뛰기를 하기 때문에 추가발전량은 3-4%대에서 막을 수 있다고 보는 분도 있고 30% 더 필요하다는 분도 있는데 화석연료 사용이 줄면 그에 따른 전력 소모(원유 정제나 석유 제품 배분에 필요한 ...)가 줄어들거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구요
여기서 중요한 건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될 수도 없고 되어서도 안됩니다. 현행 가솔린 디젤 가스 공존하듯이 미래에도 여러 연료 형태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고 위에서 적었듯이 대형이나 상용은 전기가 불리합니다. 그... 더 보기
여기서 중요한 건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될 수도 없고 되어서도 안됩니다. 현행 가솔린 디젤 가스 공존하듯이 미래에도 여러 연료 형태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고 위에서 적었듯이 대형이나 상용은 전기가 불리합니다. 그... 더 보기
전기차 확산에 따라 필요한 추가 발전량은 논란이 있읍니다. 학자 따라서 추정치가 워낙 널뛰기를 하기 때문에 추가발전량은 3-4%대에서 막을 수 있다고 보는 분도 있고 30% 더 필요하다는 분도 있는데 화석연료 사용이 줄면 그에 따른 전력 소모(원유 정제나 석유 제품 배분에 필요한 ...)가 줄어들거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구요
여기서 중요한 건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될 수도 없고 되어서도 안됩니다. 현행 가솔린 디젤 가스 공존하듯이 미래에도 여러 연료 형태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고 위에서 적었듯이 대형이나 상용은 전기가 불리합니다. 그래서 모든 차가 전기차 전환된다는 가정은 의미가 없어요
그리고 친환경측면은 수소가 따라잡기가 어렵읍니다
수소를 어디서 어떻게 얻을지 생각해보면 결국 개질 아니면 전기분해인데 개질은 값싼 대신 화석연료처리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이기 때문에 저렴하게는 얻어도 절대 친환경적으로 얻을 수가 없고 전기분해는 지금 가장 효율 좋다는 촉매가 85% 수준인데요. 거기 쓸 전력이면 그냥 바로 전지에 충전시키는게 낫죠. 수소 전환시 가압도 해야하고 수송에서 에너지 소모가 있고 구동부 가기 전에 연료전지서 또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니까요
여기서 중요한 건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될 수도 없고 되어서도 안됩니다. 현행 가솔린 디젤 가스 공존하듯이 미래에도 여러 연료 형태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고 위에서 적었듯이 대형이나 상용은 전기가 불리합니다. 그래서 모든 차가 전기차 전환된다는 가정은 의미가 없어요
그리고 친환경측면은 수소가 따라잡기가 어렵읍니다
수소를 어디서 어떻게 얻을지 생각해보면 결국 개질 아니면 전기분해인데 개질은 값싼 대신 화석연료처리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이기 때문에 저렴하게는 얻어도 절대 친환경적으로 얻을 수가 없고 전기분해는 지금 가장 효율 좋다는 촉매가 85% 수준인데요. 거기 쓸 전력이면 그냥 바로 전지에 충전시키는게 낫죠. 수소 전환시 가압도 해야하고 수송에서 에너지 소모가 있고 구동부 가기 전에 연료전지서 또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니까요
미래는 99% 혼종 에너지 시스템으로 넘어가게 될거라고 봅니다
태양광을 필두로한 재생에너지 패러다임에서 에너지 생산과 보관의 분산화는 중요한 포인트이고, 이걸 최대한 활용하려면 상황마다 다른 여러 기술들이 하이브리드로 적용되는게 가장 말이 되니까요
태양광을 필두로한 재생에너지 패러다임에서 에너지 생산과 보관의 분산화는 중요한 포인트이고, 이걸 최대한 활용하려면 상황마다 다른 여러 기술들이 하이브리드로 적용되는게 가장 말이 되니까요
2차전지 분리막 소재 중 하나로 CNF (cellulose nano fiber) 가 쓰일지도 모른다는 소식에 모 바이오 연구소에서 물성 스펙까지 열심히 맞춰가며 대량 배양에 성공했건만 정작 CNF 자체 물성이 낙제점이라 시무룩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네요.
신규 소재 발굴과 수급이 쉽지 않은 문제죠.
신규 소재 발굴과 수급이 쉽지 않은 문제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