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19/09/10 19:16:06
Name   떡라면
Subject   국회에 '도심형 수소충전소' 준공…수소택시 시범사업도 개시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910_0000766659&cID=10401&pID=10400

국회 근처에 수소충전소를 준공했군요.
폭발 위험이나 그런 건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친환경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걸까요? 아니면 다른 의지를...?

"기억하라, 기억하라, 11월 5일을..."



0


CONTAXND
이름은 겁나긴 하는데 주유소라든지 아님 최소한 LPG 충전소보다는 안전할거 같습니다.
4
AGuyWithGlasses
뭐 날아가면 의원님들이 먼저(...)
구박이
똥쑈죠. 이미 헤게모니가 전기차로 넘어갔는데요.
당장은 전기차가 우세라도 장기적인 전망은 아직 모르는거 아닌가요?
구박이
당장 깔린 인프라나 수소차 저변확대를 위한 향후 투입 비용을 고려해보면 답은 거의 남아 있읍니니다.
소형이나 승용은 전기가 이미 앞서가고 있고 뒤집기가 어렵읍니다
수소가 우위를 가져갈 수 있는 분야는 대형/상용차쪽입니다
2
마르코폴로
상용차는 전기차로는 답이 없죠. 일단은 전기, 수소 병행해야죠.
- 의외로 FCEV 가 가솔린, LPG, 전기차보다 더 안전합니다. 튼튼한 고압수소탱크를 폭발시키는건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LPG 가스통 열어놓고 불 붙여도 터지진 않습니다.
- 전기차는 이대로 가서 전국의 자동차가 전기차가 되면 우리나라 발전양으로는 감당이 안되는 수준이 됩니다.
-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전기차보다 FCEV 가 더 낫습니다. 전기를 100% 자연에너지로만 발전하는게 아닌 한.
- 충전도 가솔린만은 못해도 전기차보단 낫습니다.

물론 단점도 많이 있습니다만....
AGuyWithGlasses
그런데 사실 어차피 수소차도 전기차 아닌가요ㅋㅋㅋ
1
그렇긴 한데 FCEV 는 전기충전 하는건 아니니 국가 전력량을 갉아먹진 않죠 ㅎㅎ
1
전기차 확산에 따라 필요한 추가 발전량은 논란이 있읍니다. 학자 따라서 추정치가 워낙 널뛰기를 하기 때문에 추가발전량은 3-4%대에서 막을 수 있다고 보는 분도 있고 30% 더 필요하다는 분도 있는데 화석연료 사용이 줄면 그에 따른 전력 소모(원유 정제나 석유 제품 배분에 필요한 ...)가 줄어들거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구요
여기서 중요한 건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될 수도 없고 되어서도 안됩니다. 현행 가솔린 디젤 가스 공존하듯이 미래에도 여러 연료 형태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고 위에서 적었듯이 대형이나 상용은 전기가 불리합니다. 그... 더 보기
전기차 확산에 따라 필요한 추가 발전량은 논란이 있읍니다. 학자 따라서 추정치가 워낙 널뛰기를 하기 때문에 추가발전량은 3-4%대에서 막을 수 있다고 보는 분도 있고 30% 더 필요하다는 분도 있는데 화석연료 사용이 줄면 그에 따른 전력 소모(원유 정제나 석유 제품 배분에 필요한 ...)가 줄어들거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구요
여기서 중요한 건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될 수도 없고 되어서도 안됩니다. 현행 가솔린 디젤 가스 공존하듯이 미래에도 여러 연료 형태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고 위에서 적었듯이 대형이나 상용은 전기가 불리합니다. 그래서 모든 차가 전기차 전환된다는 가정은 의미가 없어요

그리고 친환경측면은 수소가 따라잡기가 어렵읍니다
수소를 어디서 어떻게 얻을지 생각해보면 결국 개질 아니면 전기분해인데 개질은 값싼 대신 화석연료처리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이기 때문에 저렴하게는 얻어도 절대 친환경적으로 얻을 수가 없고 전기분해는 지금 가장 효율 좋다는 촉매가 85% 수준인데요. 거기 쓸 전력이면 그냥 바로 전지에 충전시키는게 낫죠. 수소 전환시 가압도 해야하고 수송에서 에너지 소모가 있고 구동부 가기 전에 연료전지서 또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니까요
듣고보니 제가 잘못 이해한 쪽이 좀 있네요.
생각해보니 납사개질 쪽은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꽤 되겠군요. 그걸 까묵고 있....
반면 에너지를 바로 써버리지 않고 장기 저장이라는 측면서는 수소를 고압으로 보관하는게 배터리보다 더 강점이 있어서 (대규모 부피랑 비용, 이외에 초장기 저장시 배터리 자연방전으로 잃는 에너지 >> 수소탱크서 자연적으로 새는 에너지) 수소 연구하시는 쪽에서 그 쪽을 파고 있다고 들었읍니다.
밤에 잉여전력으로 물 전기분해해서 수소로 저장했다가 낮에 충전소에서 상용차 충전시키던지 아니면 낮이나 에너지 수요 몰릴 때 다시 연료전지에 넣어주는 식으로...
그럼 혼종이 나올 수도...?
다시갑시다
미래는 99% 혼종 에너지 시스템으로 넘어가게 될거라고 봅니다

태양광을 필두로한 재생에너지 패러다임에서 에너지 생산과 보관의 분산화는 중요한 포인트이고, 이걸 최대한 활용하려면 상황마다 다른 여러 기술들이 하이브리드로 적용되는게 가장 말이 되니까요
1
음. 보관과 분산화 하니까 확 와닿네요. 에너지 생산도 생산이지만 효율 높은 이동과 저장에 있어서는 아직 기술 발전이 많이 된 것은 아니라고 하던데 그 부분들이 많이 발전하면 문명에 변화가 크게 일어나겠군요.

배터리팩이 스마트폰 분야에서 가장 느리게 발전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20년 전 생각하면 절대적으로는 어마어마한 향상이 이루어지긴 했죠. 그 덕분에 우리 생활도 변했고요.

여기서 열배 백배 더 나아진다면, 이루 말할 수 없는 변화를 만날 수 있겠네요.
다시갑시다
생산에 비교하면 이동과 저장은 꽤나 처참한 수준이죠 ㅎㅎ

현배터리 기술의 가장 큰 걸림돌은 현재사용하는 물질들로는 거의 현실적으로 기대할만한 최대효율에 많이 가까워졌다는 것일테고요.

지금까지의 발전율을 10년 20년 + 유지하려면 새로운 물질군을 찾아야한다는 거죠.

연료전지도 비슷한 문제긴 한데, 여기는 애초에 200년전에 쓰던거 그대로 쓰고있는 중이라 아직 시작도 못했고 시작만하면 발전할 루트가 많다라는 논리를 사용할수가... ㅋㅋㅋ
2차전지 분리막 소재 중 하나로 CNF (cellulose nano fiber) 가 쓰일지도 모른다는 소식에 모 바이오 연구소에서 물성 스펙까지 열심히 맞춰가며 대량 배양에 성공했건만 정작 CNF 자체 물성이 낙제점이라 시무룩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네요.
신규 소재 발굴과 수급이 쉽지 않은 문제죠.
1
소원의항구
https://youtu.be/INtwVgaQUTM
배터리가 반도체를 넘을 수 있을까? 사활을 건 기업들의 베팅


이거 보면 정리가 잘 되어있는덧 같아요 ㅎ
아몬니뮤ㅠㅠㅠ 보고 계십니까 혼종이 미래입니다
흥차넷
스소차 흥해라 횟팅
요즘 예비전력 20% 넘는데 수소만드는데 쓰면 되겠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868 과학/기술10년간 1조 투자로 AI반도체 세계 1위 가능할까요? 15 Fate 19/12/18 3406 0
17728 과학/기술사람 힘으로 뗄 수 없어..캐나다 연구진, 극초강력 접착제 개발 7 메리메리 19/12/06 3124 0
17659 과학/기술생체 분자로 양자역학 '파장-입자 이중성' 첫 확인 8 Schweigen 19/12/01 3612 0
17632 과학/기술생체 분자로 양자역학 '파장-입자 이중성' 첫 확인 8 하트필드 19/11/28 4658 0
17627 과학/기술[안녕? 자연] 2100년,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대란 올 것 (연구) 6 금의야행 19/11/28 3926 0
17565 과학/기술[외신] 옥스포드 사전 올해의 단어 '기후 비상사태' 4 구밀복검 19/11/23 3296 0
17477 과학/기술쥐와 꿀벌 이어 꽃게도 미로학습 통과 3 메리메리 19/11/14 4441 0
17469 과학/기술[아하! 우주] 가오리 모양의 '금성 탐사선' 뜬다.. '날개' 펄럭이며 비행 5 메리메리 19/11/14 3526 1
17343 과학/기술"46년만에 발견된 장수하늘소 유충, 과학관서 무럭무럭" 6 메리메리 19/11/02 4291 2
17230 과학/기술쥐에게 시리얼 주며 훈련시켰더니 간단한 운전도 해내 10 다군 19/10/24 3709 3
17206 과학/기술수소패권 욕심 드러낸 중국…수소차 판매 가점 확대 3 양양곱창 19/10/22 4103 0
17097 과학/기술노벨상 부재에 "과학기술인 '노오력' 부족" 탓하는 국회 34 SCV 19/10/11 5145 5
17045 과학/기술노벨생리의학상, 英美 세포학자 케얼린·랫클리프·세멘사 공동수상 1 세란마구리 19/10/07 3408 0
17029 과학/기술北수력발전댐, 김정은 호통 15개월 만에 고속 완공 13 CONTAXND 19/10/06 3375 0
17015 과학/기술국내에서 살 수 있는 전기차가 이렇게 많아? 20 먹이 19/10/04 4887 1
17005 과학/기술[전치형, 과학의 언저리] 오만이든 이백만이든 11 moira 19/10/04 4241 4
16867 과학/기술한전공대 교수진 수급 계획.. 연봉 최고 4억 이상 18 lifer 19/09/20 4450 0
16777 과학/기술국회에 '도심형 수소충전소' 준공…수소택시 시범사업도 개시 22 떡라면 19/09/10 3730 0
16772 과학/기술아마존은 지구의 허파가 아니다 13 기아트윈스 19/09/10 3596 1
16688 과학/기술"죽은 냥이 다시 살려주세요" .. 중국에 무슨일이? 2 먹이 19/09/06 4304 0
16677 과학/기술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그다음은 어떤 기일까 19 파이어 아벤트 19/09/05 4134 0
16484 과학/기술독일車의 잇단 '배신'…배출가스 조작 또 '들통' 4 맥주만땅 19/08/21 3790 0
16429 과학/기술올해 7월은 관측사상 지구가 가장 뜨거운 달 9 구밀복검 19/08/16 4220 0
16400 과학/기술탄산칼슘으로 지구 기온 낮추는 4조원짜리 프로젝트 첫 발 1 맥주만땅 19/08/14 4013 0
16387 과학/기술테슬라, 제로백 3.4초 ‘모델3’ 국내 출시…5239만원부터 13 먹이 19/08/13 445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