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19/04/19 09:24:41수정됨
Name   2019영어책20권봐
Subject   안인득 가족 "입원 신청했지만 거부"…무심함이 부른 '인재'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3


사나남편
국회의원들 일좀해라...
세란마구리
솔직히 말해 답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본인이 질환을 갖고 있다는 통찰이 없기에, 입원 및 치료를 시킨다면 강제적으로 시행 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강제격리 시킬 수도 없고요.
어느정도 강제입원에 대한 기준은 필요할지 모릅니다.
다만, 저를 포함해 누구라도 당장 내일부터 조현병에 걸릴 수 있다는 걸 명심해야합니다.
4
나이 들고 발병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 그러니 우리는 괜찮습니다? 나이들어 행복한 거 하나 더 발견했읍니다.
3
세란마구리
조현병이라 하면 그렇긴 하네요. 뭐 나이먹으면 organic brain syndrome에 잘 걸리니 쌤쌤으로...
빠독이
그렇다고 본인 동의 없이 강제 입원 시킬 수 있게 하자니 악용 사례도 있고 여러모로 골치 아프네요.
AGuyWithGlasses
강제입원 시절에 인권위 주업무 중 하나가 정신병원 갇힌 사람들 조사해서 억울한 경우 찾아서 꺼내오는 거였더라죠.

정신질환자 판정의 기준을 아예 사법부에서 내리자는 의견이 많더라구요. 일단 그 정신질환자 판정조차 법 해석따라서 왔다리갔다리 하는 판국이라 의사들부터 굉장히 힘들어합니다. 오죽 답이 없으면 정신의학협회장까지 저런 취지의 이야기를 하던...

저는 이런 케이스야말로 국가가 '전면적으로' 나서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어책님 가족과 같은 케이스도 그렇기 힘들어 하는데, 가족들이 하다하다 못해, 또는 경제적 이유... 더 보기
강제입원 시절에 인권위 주업무 중 하나가 정신병원 갇힌 사람들 조사해서 억울한 경우 찾아서 꺼내오는 거였더라죠.

정신질환자 판정의 기준을 아예 사법부에서 내리자는 의견이 많더라구요. 일단 그 정신질환자 판정조차 법 해석따라서 왔다리갔다리 하는 판국이라 의사들부터 굉장히 힘들어합니다. 오죽 답이 없으면 정신의학협회장까지 저런 취지의 이야기를 하던...

저는 이런 케이스야말로 국가가 '전면적으로' 나서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어책님 가족과 같은 케이스도 그렇기 힘들어 하는데, 가족들이 하다하다 못해, 또는 경제적 이유로 손을 놓는 케이스도 많고, 애초에 가족을 벗어나면 어지간한 관리로는 해결이 절대로 안 됩니다. 그럴 때는 공익적 마인드를 갖고 있는 곳은 국가밖에 없는 거죠.

그게 주체만 정신병원에서 국가로 가지 뭐가 다르냐...는 비판이 당연히 있을 수 있는데, 정말 어쩔 수 없습니다. 방치하는 것도 답은 아니고, 누군가는 돌봐야 하고, 환자의 가족, 그러니까 일반 국민에게 현재 대부분의 책임을 전가하는 시스템으로는 그들만 받아들이기 힘든 수준의 고통을 받으라는 이야긴데 사회적으로 봐도 않은 거죠. 사법시스템이 신중하게 판단을 내리는 것이 환자가족 2명에 정신과 1명으로 정신질환 판정 내리던 거보다는 객관적으로 나을 것이고, 지금처럼 확증편향이 심한(실제 환자든 환자가 아니든) 환자의 동의가 없으면 아무 조치도 못 취하는 상황은 없을 거라는 거죠. 최선은 아니더라도 차선은 될 수 있다는 이야깁니다. 그 다음부터는 체계적인 치료시스템이 따라와야 하는 것이구요. 최근에 건보에 포함된 치매만큼이나 이것도 중요한 거 같은데요.
3
조금 더 까놓고 말하자면..사실 사법시스템이 여기서 뭘 가지고 판정을 내리겠습니까?
이런 류의 사건에 있어서 판사가 '이 환자가 입원이 필요한 정도의 정신질환이 있는지'를 판단할 능력이 없습니다.
사실 당연한거죠 판사가 그걸 정신과의사보다 잘 판단할 능력이 있으면 정신과의사들은 다 밥숟가락 놔야죠..-_-

그래서 결국 재판결과는 감정의의 감정결과에 의존하게 됩니다.
법원에서 대상자의 정신감정을 보내고 그 감정의의 의견에 따르게 되는 셈입니다.

근데 정신질환의 감정은 단기간 관찰로 판단이 어렵거든요. 정신과 질환 ... 더 보기
조금 더 까놓고 말하자면..사실 사법시스템이 여기서 뭘 가지고 판정을 내리겠습니까?
이런 류의 사건에 있어서 판사가 '이 환자가 입원이 필요한 정도의 정신질환이 있는지'를 판단할 능력이 없습니다.
사실 당연한거죠 판사가 그걸 정신과의사보다 잘 판단할 능력이 있으면 정신과의사들은 다 밥숟가락 놔야죠..-_-

그래서 결국 재판결과는 감정의의 감정결과에 의존하게 됩니다.
법원에서 대상자의 정신감정을 보내고 그 감정의의 의견에 따르게 되는 셈입니다.

근데 정신질환의 감정은 단기간 관찰로 판단이 어렵거든요. 정신과 질환 감정을 받으려면
4주 입원을 해야하는 병원도 있고 2주입원을 해야하는 병원도 있습니다.
기간이 긴만큼 감정비용도 일반 신체감정보다 10배이상 들어갑니다.
(요새는 모르겠는데 10년전 2주입원 감정비용이 350~600만원이었습니다.
왠지 별로 안올랐을 것 같기도..? 이건 '감정'비용이라 검사비용 등은 별도입니다)

어떤 병원은 절반 비용으로 외래로 감정해주는 곳이 있긴 한데....솔까말 신뢰성이 의심됩니다.

근데 그걸 다 떠나서..사실 더 오랜 기간 환자를 봐온 주치의의 판단이 가장 정확하지 않을까요?
2주관찰한 감정의의 의견이 '이해관계가 없으니 객관적'이라는 이유로 주치의의 판단에 우선하는게 사법시스템인 셈인데
주치의는 뭐 대단한 이해관계가 있겠습니까....

여기서 사법시스템의 의의는 결국 감정의라는 전문가가, '이 사례는 사법시스템이 들여다본다'라는 전제로
행동하기에 공정하고 적정하게 판단할 것이다 이상의 의미는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뭐 물론 그게 크긴한데.. 사실 이것도 그냥 주치의에 대한 저신뢰에서 오는 비용인거거든요.

저는 허위진단서 작성이나 부당한 강제입원이 밝혀졌을 때 강한처벌 강한배상을 하는 형태로
1차적으로 주치의가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이는 부당한 입원 판단을 할 유인을 없애는 형태가 낫지 않나합니다.
7
이건 민감도와 특이도의 문제죠. 하나를 추구하면 다른 하나는 희생될 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우리사회가 어디에 와 있고 무엇을 추구하느냐에 대한 컨센서스가 없는거죠. 차라리 중국은 일관성이라도 있지..
12
켈로그김
(나에게 손해가 없는 범위 내에서) 인권을 추구하고
(나는 꿀을 빨아야하지만) 공정한 가치를 추구하는..

뭔가 심각한 언행불일치 상태가 아닌가 싶습니다.
4
위에 컨센서스라고 말했지만 사실 일부 (주류? 위정자? 진영)의 생각들은 있을거에요. 문제는 그게 전체의 생각이 아니고, 아니 최소한 전체에게 전달할 노력도 안하거나 고의적으로 누락시키는.. 용기가 없다거나 솔직하지 못하다거나 그렇게 표현하는게 더 맞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느 한 쪽이 틀린게 아니고, 결국 취사선택일 뿐인데 모든걸 도덕적 잣대에 올려놓고 그 경기장에서 밀려나면 지는 나라의 특징일까나요. 그러다 보니 이런 일이 생기면 개인의 일탈로 돌리고 싶은 충동은 정권을 막론하고 그 시점의 위정자들에겐 들거나, 아니면 그렇게 아부하는거겠죠. 꼭 이건 뿐 아니라 이제는 가물가물해선 https 문제라던... 더 보기
위에 컨센서스라고 말했지만 사실 일부 (주류? 위정자? 진영)의 생각들은 있을거에요. 문제는 그게 전체의 생각이 아니고, 아니 최소한 전체에게 전달할 노력도 안하거나 고의적으로 누락시키는.. 용기가 없다거나 솔직하지 못하다거나 그렇게 표현하는게 더 맞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느 한 쪽이 틀린게 아니고, 결국 취사선택일 뿐인데 모든걸 도덕적 잣대에 올려놓고 그 경기장에서 밀려나면 지는 나라의 특징일까나요. 그러다 보니 이런 일이 생기면 개인의 일탈로 돌리고 싶은 충동은 정권을 막론하고 그 시점의 위정자들에겐 들거나, 아니면 그렇게 아부하는거겠죠. 꼭 이건 뿐 아니라 이제는 가물가물해선 https 문제라던지, 젠더 문제라던지 등등 많은 부분에서 그렇습니다.

정신보건법 개정때 분명히 많은 의사들이 이 문제점에 대해서 지적했어요. 그러면 문제점은 이러이러하게 막겠다라는 청사진을 세운다던지, 예산을 확보한다던지.. 아니면 그것도 아니고, 이제는 인권을 위해서 우리 국민들이 이 정도의 리스크는 조금씩 더 안고 살아가야 한다고 공동체의식이라도 이야기 해야 하지만 아무도 안하죠.. 다들 답들은 알잖아요. 그러고 복지라던지 보건이라던지 여튼 돈드는 구석에서, 표가 안나올만한 영역에서 자발적으로 돈 쓰는 호구 정치인은 본 적이 없습니다. 계층이 명확하다던지, 지역이라도 명확해야 각이 나오죠.
9
제로스
구구절절 동의합니다.
1
우주견공
이런 종류의 것들은 한국에선 터부시하고 관심을 갖지 읺기 때문에
좋아질리 없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96 사회“대학원생도 엄연한 노동자” 국내 첫 대학원생노조 인터뷰 8 nickyoPD 18/01/31 2713 0
20912 정치아 안희정 7 쿠쿠z 20/07/06 3808 0
21045 경제주식시장 위험의 신호 6 쿠쿠z 20/07/19 5565 0
22203 방송/연예'연인 성폭행 혐의' 유명밴드 가수 경찰수사... 29 *alchemist* 20/11/04 5693 0
24270 방송/연예경찰, '여성 폭행·불법촬영' 혐의 가수 정바비 송치 11 *alchemist* 21/05/18 4030 0
31230 IT/컴퓨터애플페이 12월부터 도입…? 단독 기사입니다 16 *alchemist* 22/09/07 2730 0
32201 정치경찰, 주체사상 연구자 ‘정대일 박사’ 체포…국가보안법 위반 혐의 7 1cm 22/11/11 2708 1
36107 사회"지방소멸 위기인데…지역 일자리 예산 대폭 삭감 " 11 1cm 23/09/12 2708 0
3629 IT/컴퓨터60만 KT 고객 요금 이중출금..KT, 신한은행 사고원인 입장차 2 1일3똥 17/06/21 3263 0
14151 사회그저 방치된 정신질환자…가족들이 위험하다 1 2019영어책20권봐 19/01/05 2862 0
14395 사회고속버스도 '카시트' 착용 의무…"차도 없는데 카시트 사야할 판" 21 2019영어책20권봐 19/01/21 3654 0
14669 사회[취재후] "의원 아들이라 소문났을 뿐..베일 속 국회 프리패스 카드" 5 2019영어책20권봐 19/02/20 3402 0
15056 사회40년간 돌봐온 자폐증 아들 살해한 60대 모친에 '집행유예' 6 2019영어책20권봐 19/04/02 2979 0
15193 사회안인득 가족 "입원 신청했지만 거부"…무심함이 부른 '인재' 12 2019영어책20권봐 19/04/19 4251 3
15867 사회'프리미엄 택시' 타다의 배신?…만취 女승객 사진 공유, 성희롱 톡 나눈 기사들 14 2019영어책20권봐 19/07/02 4655 0
20114 사회"쇠 맛나는 우유" 조직적 '악플'...남양유업 압수수색·회장 입건 14 2020禁유튜브 20/05/07 3768 5
11228 사회"하느님은 남자가 아니다"…종교계까지 파고든 성평등 바람 24 2032.03.26 18/07/06 3717 0
12073 사회'어린이집 교사 욕설' 녹음기 틀어보니? 3살 아이에 "XX새끼 귓구멍 썩었나…입 찢어버린다" 2032.03.26 18/08/07 3385 0
15271 방송/연예5.18 묘지 참배한 BTS해외팬 1 2032.03.26 19/04/29 3835 0
15577 의료/건강'안아키' 카페 운영 한의사 최종 유죄...징역형 확정 11 2032.03.26 19/05/30 4533 0
25122 사회정부 "내주까지 거리두기 효과 없으면 더 강한 방역조치도 검토해야" 25 414 21/07/28 3864 0
25220 정치"전쟁 몰고 오는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목소리 계속 19 414 21/08/05 3632 0
25283 스포츠김어준, 전웅태 인터뷰 논란…"근대5종 중학교 운동회 느낌" 9 414 21/08/11 3883 0
25323 사회"나만 아니면 돼" 머지포인트 폭탄 돌리기에 자영업자 피해 5 414 21/08/13 3808 1
25376 정치민주당 “국민참여재판, 성범죄 무죄율 너무 높아”…관련법 개정 추진 22 414 21/08/18 4031 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