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입 인사를 남기는 공간입니다.
Date | 15/10/25 04:02:55 |
Name | 뤼야 |
Subject | 제2장 잠을 이루지 못하십니까? |
꿈은 두번째 인생이다. - 네르빌 <오렐리아>- 당신은 잠을 자기 위해 침대에 들어갔습니다. 익숙한 물건들 사이에, 당신의 냄새와 추억이 배어 있는 시트와 담요 안에 자리를 잡았지요. 익히고 알고 있는 베게의 부드러움을 머리로 느꼈고, 옆으로 돌아누워 다리를 배 쪽으로 끌어올리고 이마를 숙이니, 베게의 차가운 부분이 빰을 시원하게 만들었습니다. 당신은 곧, 잠이 들 것이며, 당신을 휘감는 어둠 속에서 모든 것을 , 모든 것을 잊을 겁니다. 당신은 모든 것을 잊을 겁니다. 우월한 자들의 무자비한 힘, 경솔했던 말, 바보 같은 짓, 제시간에 끝내지 못한 일, 몰이해, 배반, 불의, 무관심, 당신을 비난하거나 비난할 사람, 재정적 곤란, 빠르게 흐르는 시간, 끝없는 기다림, 당신이 닿을 수 없는 물건과 사람, 당신의 외로움, 당신의 수치, 당신의 패배, 당신의 초라함, 당신으 고통, 재앙(이 모든 재앙)을 잊을 겁니다. 잊을 거라는 기대가 당신을 위로합니다. 당신은 조용히 기다립니다. - 오르한 파묵 [검은책] 중에서 - 안녕하세요. 아는 분들은 알고 모르는 분들은 모를 뤼야입니다. 홍차넷에 처음 가입할 때도 저는 파묵의 [검은책]의 한 장을 통째로 인용했는데, 재가입에도 파묵을 떠올렸네요. 제 닉네임인 '뤼야'는 [검은책]의 히로인입니다. 그녀는 맑시스트인 첫번째 남편과의 이혼 후에 사촌인 갈립과 결혼을 했다가, 배다른 오빠인 제랄과 어느날 갑자기 사라집니다. 갈립은 어느날 무심한 쪽지 한 장을 남기고 마치 잠깐 볼 일이 있어 외출을 한 듯한 아내 뤼야의 흔적을 찾아 오래된 도시 이스탄불을 헤매기 시작합니다. 홀수의 장은 갈립의 이야기가, 짝수의 장은 제랄이 신문에 쓴 칼럼으로 이어지는 이 소설의 중반부터 갈립은 자신이 숭배하고 선망했던 칼럼작가이며 사촌인 제랄을 대신하여 글을 쓰기 시작하며 점점 그와 동치됩니다. 언뜻보면 폐륜으로 가득한 이 세 남녀의 이야기를 통해 파묵은 '나 자신이 되기'라는 실존의 문제를 건드리고 있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인간이 자기자신이 될 수 있는지 혹은 될 수 없는지를 발견한 19세기의 한 왕자의 이야기를 제랄이 쓴 칼럼의 형식으로 후반부에 도입하기도 하고요. 어쩌면 제랄은 갈립이 어린시절부터 동경해 마지않던 사촌형일 수도 있고, 어쩌면 갈립의 분신이랄 수도 있고, 또 다른 자아일 수도 있고, 또는 갈립자신일 수도 있지요. 위에 인용된 장은 짝수의 장인 제랄의 칼럼 중 일부입니다. 하나하나가 황홀한 단편들이지요. 제 소개는 별로 할 것이 없습니다. 경력이 단절되어 백수로 지내는 동안 더욱 열심히 소설을 읽었고, 잠시 마라톤에 빠져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 여섯끼를 먹으며 운동을 하다가 종아리 근육이 파열된 적이 있습니다. 경력이 단절된 이후에는 닥치는 대로 아무 일이나 하며 지냅니다. 음식을 만드는 것, 먹는 것, 품평하는 것 모두 좋아합니다. 언젠가는 제 업장을 내는 것이 꿈입니다. 현재는 싱글이고, 무지막지하게 나이차가 많이 나는 연하의 애인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운동을 쉬었는데 요새 보충제 하나를 먹고 회춘(?)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년쯤에는 다시 마라톤 완주를 할 수 있도록 몸을 만들려고 운동 계획을 짜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뤼야님의 최근 게시물 |
다시 가입하셔서 반갑습니다. 재미없는 이야기고, 부분을 확장시켜 전체를 산으로 가게 하는 이야기겠습니다만, 마라톤을 비롯한 장거리 러닝에 대해서 접한 연구 썰을 해보자면(뭐 다 아시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 무산소 운동의 능력은 유산소 운동의 능력으로, 단/중거리 주자의 능력은 장거리 주자의 능력으로 조정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의 유산소 능력만으로는 신체의 종합 운동 능력 및 종합 체력을 하락시킬 수 있고, 마라톤과 같은 경우에도 코스의 반복 뿐만 아니라 고강도의 인터벌 훈련 및 스트렝스 트레이닝을 병행할 때 더 비약적인 효과를 낳는다는 것 등 마라톤에 있어서의 무산소 대사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더 보기
다시 가입하셔서 반갑습니다. 재미없는 이야기고, 부분을 확장시켜 전체를 산으로 가게 하는 이야기겠습니다만, 마라톤을 비롯한 장거리 러닝에 대해서 접한 연구 썰을 해보자면(뭐 다 아시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 무산소 운동의 능력은 유산소 운동의 능력으로, 단/중거리 주자의 능력은 장거리 주자의 능력으로 조정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의 유산소 능력만으로는 신체의 종합 운동 능력 및 종합 체력을 하락시킬 수 있고, 마라톤과 같은 경우에도 코스의 반복 뿐만 아니라 고강도의 인터벌 훈련 및 스트렝스 트레이닝을 병행할 때 더 비약적인 효과를 낳는다는 것 등 마라톤에 있어서의 무산소 대사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요즈음의 대세라고 하더군요. 모든 스포츠 종목이 고도화될수록 기록과 수준의 향상은 정체되기 마련임에도 불구하고 유서 깊은 스포츠인 마라톤의 경우 21세기 들어 오히려 세계 기록의 페이스가 더 빨라지고 있는 추세 - 1981년부터 2002년까지 21년간 세계기록이 고작 5번 갱신되어 총 3분이 단축되었지만, 2002년부터 2011년까지 9년 사이에 세계기록이 4번 갱신되고 5분이 단축되었습니다 - 인데, 그 역시도 이런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트레이닝 방법론이 개선된 결과라고 하고요. 이렇게 단/중거리 트레이닝이 장거리 러닝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에 주안점을 둔 트레이닝 방법 중 하나가 야소 800 이라고 하는데
http://marathon.pe.kr/training/yasso800.html
여러 마라톤 커뮤니티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통용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이조차도 최신 연구에 비추어보아 적합지 않다고 하더군요(더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이 이거저거 많다고). 자세한 것은 홍차넷에 거주하실 어느 육상 전문가가 완성해주실 것으로...
http://marathon.pe.kr/training/yasso800.html
여러 마라톤 커뮤니티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통용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이조차도 최신 연구에 비추어보아 적합지 않다고 하더군요(더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이 이거저거 많다고). 자세한 것은 홍차넷에 거주하실 어느 육상 전문가가 완성해주실 것으로...
처음에 마라톤에 꽂힌 건 우연이었어요. 우연이라는 것이 늘 그러하듯 상황에 대한 무지도 동반했지요. 운동중독증세로 거의 육개월은 하루도 안쉬고 세시간씩 운동을 하다가 부상을 당했고, 체중이 심각하게 줄고, 부상이 잦아지면서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았죠. 유산소운동으로 기록을 단축하려면 무식하게 오래 뛰는 것이 장땡이 아니라, 근력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아주 나중에 알았습니다. 저는 정보에 아주 둔감한 편입니다. 링크 감사해요. 처음보는 거네요. 계속 유념하며 운동하겠습니다.
스쿼트는 좀 지루하긴 하지만 코어와... 더 보기
스쿼트는 좀 지루하긴 하지만 코어와... 더 보기
처음에 마라톤에 꽂힌 건 우연이었어요. 우연이라는 것이 늘 그러하듯 상황에 대한 무지도 동반했지요. 운동중독증세로 거의 육개월은 하루도 안쉬고 세시간씩 운동을 하다가 부상을 당했고, 체중이 심각하게 줄고, 부상이 잦아지면서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았죠. 유산소운동으로 기록을 단축하려면 무식하게 오래 뛰는 것이 장땡이 아니라, 근력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아주 나중에 알았습니다. 저는 정보에 아주 둔감한 편입니다. 링크 감사해요. 처음보는 거네요. 계속 유념하며 운동하겠습니다.
스쿼트는 좀 지루하긴 하지만 코어와 하체를 단련하는데 아주 좋은 운동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러닝을 시작하기 전에 스쿼트를 좀 빡세게 해볼 생각인데 좋은 방법인지 궁금해요. 풀코스 4시간 내외 완주가 현재 목표입니다.
아 참... 구밀복검님의 고퀄글에 참견하고 싶은 열망도 재가입한 동기중 하나입니다.
스쿼트는 좀 지루하긴 하지만 코어와 하체를 단련하는데 아주 좋은 운동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러닝을 시작하기 전에 스쿼트를 좀 빡세게 해볼 생각인데 좋은 방법인지 궁금해요. 풀코스 4시간 내외 완주가 현재 목표입니다.
아 참... 구밀복검님의 고퀄글에 참견하고 싶은 열망도 재가입한 동기중 하나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