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가 아닌 펌글, 영상 등 가볍게 볼 수 있는 글들도 게시가 가능합니다.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5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특정인 비방성 자료는 삼가주십시오.
Date 15/06/07 03:06:50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3.10 MB), Download : 4
Subject   저임금 노동자.jpg


저임금 노동자



2


몽실이
참 답답한 문제긴 하네요... 우리나라 왠만큼 잘사는 나라 아니였나요? ㅜㅜ
2막4장
문제는 비교대상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이탈리아/캐나다/호주 등등이 되다보니 임금을 여기에다 비교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천연자원이 이들에 비할 바가 못되거든요. 일본은 우리처럼 천연자원이 적어도 국토가 넓고 인구도 많지, 근대화도 일찍이지.. 우린 아무것도 없습니다.
저들이 우리보다 덜 일했음에도 나오는 부가적인 소득이 천연자원+(일찍 시작한 근대공업의 효율성)에 비롯한다고 보는지라...

우리는 대기업들 때문에 착시효과가 있어요. 착취구조로 성장한 대기업들 제외하면 아직도 중진국인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 더 보기
문제는 비교대상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이탈리아/캐나다/호주 등등이 되다보니 임금을 여기에다 비교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천연자원이 이들에 비할 바가 못되거든요. 일본은 우리처럼 천연자원이 적어도 국토가 넓고 인구도 많지, 근대화도 일찍이지.. 우린 아무것도 없습니다.
저들이 우리보다 덜 일했음에도 나오는 부가적인 소득이 천연자원+(일찍 시작한 근대공업의 효율성)에 비롯한다고 보는지라...

우리는 대기업들 때문에 착시효과가 있어요. 착취구조로 성장한 대기업들 제외하면 아직도 중진국인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모든 대기업의 모든 부문에서 착취가 있었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본문에 쓰인 것으로만 본다면 착취로 얻어진 최종 결과물의 이득은 대기업이 가져간다고 보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몽실이
듣고보니 천연자원도 중요환 요소인것 같군요...ㅜ

우리나라는 인적자원이 전부라고 할정도니...
절름발이이리
서유럽도 천연자원은 별 의미없습니다.
사신천마
어떤 근거에서 의미가 없다는건지요?!
절름발이이리
참고로 프랑스는 농업이 상당히 발달했는데, 이 역시 천연자원이라고 하기엔 좀..
절름발이이리
천연자원이 풍부한 나라들로 보기 힘들다는 겁니다.
사신천마
그렇군요.
Yato_Kagura
천연자원이나 근대공업의 효율성보다도 더 중요한게, oecd국가들은 현대사회에 걸맞는 경제력을 갖추는데 걸린 시간이 한국보다 훨씬 길었잖아요. 그 과정에서 계층간 소득분배같은 것들을 고민할 시간적 물질적 여유가 훨씬 풍족했던거죠. 근데 한국은 짧은 기간동안 그걸 따라잡을려고 하다보니 계층간 소득분배같은건 생각할 시간조차 없었죠. 그리고 그대로 지금까지 쭉 와버린거고..
2막4장
제가 댓글을 조금 짧게 달아서 부연설명을 드리자면,
대기업 업주, 중견기업 업주, 중소기업 업주, 소규모 사업장 업주등 업주입장에서만 두고 봤을 때 조차도
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소규모 이런 식의 구조가 성립하지 않나 하는 겁니다.
소득 분배가 이루어 져야겠지만 중소/중견기업에서조차 나눌 이득이 적기 때문에 선뜻 하기 힘들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Yato_Kagura
기업에서 못하겠다면 국가가 나서서 조율해야죠. 근데 한국정부가 그럴리 없잖아? 안될거야..
2막4장
결론은 뭐 저도 동감합니다
그러나 정부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부의 재분배에 대한 컨센서스가 있어야 정부도 움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Yato_Kagura
대기업 입장에서 적어보자면, 주가하락을 막기 위해서는 순이익 그래프가 꾸준히 올라가야 하는데 아무리 대기업이라고 한들 마케팅 및 판매실적의 상승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한계에 부딛힌 상황에서도 영업이익 그래프를 위로 올리기 위해서는 결국 비용절감밖에는 방법이 없는거죠. 그리고 그 비용절감의 피해는 본문내용과같이 고스란히 하도급업체 및 생산직 노동자들에게 전가되는거고.

결국엔 정부가 나서야 할 문제지만.. 여당이나 제1야당 꼬라지를 보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출범엔 적어도 몇십년은 더 필요할것 같은데.. 과연 대한민국이 그동안 버텨낼지가 의문이죠. 열받을대로 받은 착취계급이 뭉쳐서 국가체제를 한번 뒤집어 엎던가 하지 않는이상은 답이 없어 보여요.
2막4장
실제로 경험한 일이긴 한데...
영업이익이 상당히 나던 모 대기업에서 임금인상에 대한 이야기가 있을 때마다 했던 이야기가 (매출 20조 근처, 무노조 경영)
[1] 작년 영업실적이 괜찮았을 경우
1. 내년에 원자재 가격인상등, 힘든 경영여건이 예상됨
2. 비록 지난해 수익이 괜찮았으나, 미래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
--> 임금인상 동결 내지는 기대이하수준
[2] 작년 영업실적이 나빴을 경우
1. 작년 실적이 나빴으므로 (당연히) 임금인상... 더 보기
실제로 경험한 일이긴 한데...
영업이익이 상당히 나던 모 대기업에서 임금인상에 대한 이야기가 있을 때마다 했던 이야기가 (매출 20조 근처, 무노조 경영)
[1] 작년 영업실적이 괜찮았을 경우
1. 내년에 원자재 가격인상등, 힘든 경영여건이 예상됨
2. 비록 지난해 수익이 괜찮았으나, 미래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
--> 임금인상 동결 내지는 기대이하수준
[2] 작년 영업실적이 나빴을 경우
1. 작년 실적이 나빴으므로 (당연히) 임금인상 없음


이렇게 되었어요. 지금은 이직해서 비슷한 매출 규모의 노조가 존재하는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확실히 근로자 입장에서 비교가 되긴 합니다.
기업에서 취한 영업이득에 대한 감이 근로자에게는 부족하기 때문에, 저는 솔직히 이직해온 회사의 복지혜택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가 없긴 했습니다.
Yato_Kagura
오너가 혜자마인드가 아닌바에야 고용복지 및 사회적비용지출보다 불확실한 시장에 대한 대비가 우선인것은 어쩔수없으니 그걸 정부가 나서서 밸런싱을 해줘야죠. [내수소비시장이 불확실한 원인이 바로 고용복지 및 사회복지의 부족이니까요. ]

근데 저 대괄호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것보다 시스템적 한계상황에 부딛치는게 더 빠를것같아요. 지금 상황을 보면요.
2막4장
이전 댓글과 이어지는 부분인 듯 싶네요
제가 좀 전에 달긴했는데 어쩌면 국민적인 부의 재분배정책에 대한 공감대형성과 이에 대한 정부 정책 결정 촉구는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도 드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3 한국에 대한 마지막 경고.jpg 3 김치찌개 15/06/07 4823 2
245 SNL 한류TV 건축학개론.naver 삼성그룹 15/06/07 3857 1
246 SNL 나를 찾아줘.naver 삼성그룹 15/06/07 3768 1
247 아빠 디스하는 딸 2 관대한 개장수 15/06/07 3802 1
248 이철희 소장 썰전 돌직구.jpg 9 김치찌개 15/06/07 6135 2
249 현재 박원순시장님 카카오스토리에 올라온글.jpg 1 김치찌개 15/06/07 4857 1
250 대통령도 해외간다는데...우리도 해외 간다.jpg 1 김치찌개 15/06/07 4642 1
252 저임금 노동자.jpg 17 김치찌개 15/06/07 4517 2
253 [미국 9] 남북 전쟁 그리고 그후, 우리는 노예가 아니에요.jpg 2 김치찌개 15/06/07 4663 3
254 어느 팀의 우측 풀백이 결승전을 대하는 자세. 2 박초롱 15/06/07 3965 1
256 SKT의 태극기 홍보.jpg 8 파프리콘 15/06/07 4240 1
257 원피스 히든엔딩 3 천하대장군 15/06/07 4317 0
258 에릭의 돌직구 7 세계구조 15/06/07 4425 2
259 평택의 결혼식 풍경 11 세계구조 15/06/07 5839 0
260 프로듀사 현실 버전 16 Leeka 15/06/07 5451 1
261 [계층] 공업인은 바로 알아볼 수 있는 이미지 5 西木野真姫 15/06/07 4716 0
262 트위터에 제 사진이 안 올라가요 1 세계구조 15/06/08 5353 0
263 대만파랑까치 6 절름발이이리 15/06/08 5220 1
264 류중일 감독 아재 유머.jpg 1 darwin4078 15/06/08 6145 0
265 [야구] 간만에 약빤 기사가 나왔습니다. 안희연 15/06/08 4161 1
266 우리제품이 얼마나 효과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시켜 드립니다. 2 flowater 15/06/08 3450 1
267 애플 cf 4 곧내려갈게요 15/06/08 3513 1
268 하다하다 이젠 뭘 만드는 기계까지 만드는 루리웹... 6 SCV 15/06/08 4100 1
269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소주로 칵테일만들기.jpg 3 김치찌개 15/06/08 4373 1
270 부산 가면 먹어봐야 할 음식 best 10 11 김치찌개 15/06/08 5163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