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8/05/21 11:13:36
Name   [익명]
Subject   사회초년생 변호사입니다.


법학전문대학원 6기 졸업하고

이제 일하고 있는 막내 변호사입니다.

민감성 질문(?)을 제외하곤 대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같은 업종에 계시는 분들과 고기 자주 드시나요?
[글쓴이]
큰 규모의 로펌에 있는게 아니라, 동기 外 다른 분들과 식사를 할 일은 자주 없네요ㅠ

하지만 이제 막 시작한 제 동기들은 다들 고기를 참 좋아해서 고기 잘 먹습니다.
수박이두통에게보린
고기를 참 좋아한다니, 정말 모범생들의 집합소군요.
[글쓴이]
고기는 정말 고기죠. 고기 먹고 싶네요. 어제 먹은 훈제 삼겹살이 정말 맛있었는데....
취업 어렵지 않으셨나요?
실무수습 끝나고 바로 취업하셨는지?
[글쓴이]
자기소개서를 대략 40여곳에 넣었고 그 중에 2곳의 면접을 봐서 붙은 1곳에 다니고 있습니다.
저는 그래도 적게 쓴 편이더라구요...

아직까지 어렵다, 어렵다 나오기는 하는데
최초 취업 자체는 여차저차 해도 결국엔 다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시간의 장단은 있어두요.

저는 변호사협회 연수 거치고 1개월 준비해서 취업하였습니다.
사나남편
결혼하셨나요??? 가족계획은요???
[글쓴이]
30대 초반, 미혼입니다. 열심히 만나는 여자친구가 있습니다:)
학부전공이요.
[글쓴이]
법학 전공했습니다..!
침묵의공처가
초봉은 얼마나 되나요?
[글쓴이]
저 하늘 높은 곳에 계시는 분들의 연봉은 제가 감히 알지 못하고
저 같은 갓 졸업한 풋-내기 들의 연봉이나 기타 연봉은

https://career.koreanbar.or.kr/information/01.asp

여기에서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수습이라고 적혀 있는 것은 정규 급여가 아닙니다.)
삼십네짤
제가 아는 분 중에 변호사 시험 통과하고도 그냥 일반 회사를 다니는 분도 있는데...(하는 일도 법률 일만 하는게 아니라 일반적인 일도 하면서 법률쪽 일도 하고..)
아예 법률 직렬로 뽑힌게 아니라 일반 행정직으로 들어간거라고 하더라구요.
그런 케이스도 주변에 좀 있나요?
[글쓴이]
있습니다. 적지 않습니다! 라고 하기에는 제 주변에선 몇 분 없기는 한데요.

흔히 변호사 하면 떠오르는 '송무'일보다 일반 사내에 직원으로 들어가려는 분들도 계시고,
여러모로 성향차이 같습니다. 자격증 정도로 생각하고 공기업 가시는 분도 있구요.
로스쿨은 변호사만 배출되는걸로 아는데,사법시험이 폐지된 이후에는 검사나 판사는 어떻게 결정되는지 궁금합니다.

변호사 자격 취득 이전과 이후의 삶의 변화가 가장 체감되는 사건 하나만 알려주실수 있나요?
[글쓴이]
1. 일정 기간 이상 법조경력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경력판사/경력검사를 선발합니다.

2. 검사)

로스쿨에서는 2학년부터 검찰에서는 검찰실무과목을 개설하고 현직 검사분들이 수업을 진행하십니다. 검사에 뜻이 있거나, 형사법 수업을 듣고 싶은 분들이 수강을 하시며 제가 알기로 1) 수습 수업2) 검찰실무 심화수업 3) 방학 때 검찰에 실무수습 이 3가지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선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변호사시험을 보기 전에 검찰 합격여부가 나오고 변호사시험이 붙으면 연수원에 들어가 교육을 받고 일선 지청에 배치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3. 판사)

민사재판실무, 형사... 더 보기
1. 일정 기간 이상 법조경력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경력판사/경력검사를 선발합니다.

2. 검사)

로스쿨에서는 2학년부터 검찰에서는 검찰실무과목을 개설하고 현직 검사분들이 수업을 진행하십니다. 검사에 뜻이 있거나, 형사법 수업을 듣고 싶은 분들이 수강을 하시며 제가 알기로 1) 수습 수업2) 검찰실무 심화수업 3) 방학 때 검찰에 실무수습 이 3가지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선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변호사시험을 보기 전에 검찰 합격여부가 나오고 변호사시험이 붙으면 연수원에 들어가 교육을 받고 일선 지청에 배치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3. 판사)

민사재판실무, 형사재판실무 과목이 열리고 판사분들이 수업을 진행하십니다.
강의력이 좋으신 판사분들이 수업을 하시다보니 인기가 많구요. 수험의 목적으로도 대부분 듣습니다.

아무튼, 두 과목을 또 합산해서 일단 로스쿨 3학년1학기 마치고 여름방학에 재판연구원 원서를 내고,
서류를 통과하면 재판연구원(로클럭이라고 하는) 시험을 봐서 재판연구원이 됩니다.

로스쿨 졸업하고 바로 판사가 될 수는 없는데, 대부분 재학생들은 재판연구원이 되는 것을 판사가 되는 지름길로 생각하고 있으며, 재판연구원 경력이 아주 훌륭한 스펙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친구 꺼라위키 https://namu.wiki/w/%EC%9E%AC%ED%8C%90%EC%97%B0%EA%B5%AC%EC%9B%90
(재판연구원)
1
[글쓴이]
가장 느껴지는건 일단 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다는 사실이...

학부4년, 군대2년, 대학원3년을 거치고 사실 본격적인 사회경험에 앞서 수험생활만 하다보니
학생 특유의 편안함이 매우 익숙하고 당연했었는데, 어쨌든 세금을 내고(??) 무언가 일을 한다는게 참 좋습니다.

실제 사건을 접하다 보면, 법리를 모르기 보다 사실관계 자체를 모르는게 많다 보니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일에도 호기심도 항상 많습니다.

무엇보다 아직 어리버리타는 신참인데도 불구하고
무언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드려
의뢰인분이 만족하... 더 보기
가장 느껴지는건 일단 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다는 사실이...

학부4년, 군대2년, 대학원3년을 거치고 사실 본격적인 사회경험에 앞서 수험생활만 하다보니
학생 특유의 편안함이 매우 익숙하고 당연했었는데, 어쨌든 세금을 내고(??) 무언가 일을 한다는게 참 좋습니다.

실제 사건을 접하다 보면, 법리를 모르기 보다 사실관계 자체를 모르는게 많다 보니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일에도 호기심도 항상 많습니다.

무엇보다 아직 어리버리타는 신참인데도 불구하고
무언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드려
의뢰인분이 만족하시거나, 감사하다고 말씀해 주실 때 큰 보람을 느낍니다.^^;;

가장 큰 변화는요.

모든 저보다 앞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직장인분들을 존경, 또 존경하게 되었습니다..ㅜㅜ
1
제로스
아직 수습중이신거죠? 병역은 법무관외로 마무리하신것같고..

로스쿨 법무관이 병역대체복무중 실무수습기간을 채우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나아가 6개월 수습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글쓴이]
1.

저는 협회에서 6개월 수습을 마쳤습니다.
3개월은 강의, 1개월은 기록, 2개월은 일선 사무실에 수습 식으로 운영이 되는데

개인적으로는 강의를 좀 줄이고, 일선 사무실 수습을 늘리되
사무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습과정에 내실을 다지거나 감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대로 배우지 못한 법리를 알려주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사무실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현실의 소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 확실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2.

6개월 수습 제도의 취지 자체에는 공감을 합니다.
시간이 ... 더 보기
1.

저는 협회에서 6개월 수습을 마쳤습니다.
3개월은 강의, 1개월은 기록, 2개월은 일선 사무실에 수습 식으로 운영이 되는데

개인적으로는 강의를 좀 줄이고, 일선 사무실 수습을 늘리되
사무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습과정에 내실을 다지거나 감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대로 배우지 못한 법리를 알려주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사무실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현실의 소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 확실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2.

6개월 수습 제도의 취지 자체에는 공감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금방 배울 일이라고 해서 그 배우는 과정 자체가 없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구요.

하지만 너무 과하게 노동력 착취로 이어지는 경우나, 아니면 아예 아무것도 안하는 것에 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수습은 통제가 필요하겠죠. 물론 현실적으로 그렇게 이루어지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ㅠㅠ

3.

군법무관이 행하는 일을 귀동냥으로 들을 뿐이지만..
한 부대의 법무참모, 군검찰, 징계 등으로의 '실무'는 경험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법무관의 병역'대체'복무는 (단기의 경우) 법무관 3년이 실무수습기간으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말씀이시겠지요?ㅎㅎ
경찰 간부 특채처럼 판검사 이외의 공무원으로 가는 선호도는 어떤가요?
[글쓴이]
제 주변에서는 선호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졸업과 동시에 자기 자리에 각자도생하고 있어 구체적인 근황을 듣기는 어려우나 그래도 안정적인 삶이야 말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삶이 아닐까 싶네요.

사람마다 선호도의 차이 같습니다.

야근야근야근야근야근을 하더라도 송무 일이 좋다는 사람도 있고,
의뢰인과의 충돌이나 사건 스트레스등으로 공무원, 사내변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있고
안정적으로 오래 가기 위해서 선호하시는 분들도 있고 그렇지요.

주변엔 다양하게 다 계시긴 합니다ㅎㅎ
crows0701
아이가 법대 가려고 하고 있어요. 어떤 계기로 변호사가 되기로 하셨나요 ? 그리고 요즘은 법대 나오지 않은 타과 졸업생들도 있을 것 같은데요. 실제 로스쿨에 가면 어떤 분위기인가요 ?
[글쓴이]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의 모 대학 법학과 학생이었습니다.
사실 변호사가 되어야겠다는 구체적인 생각보다는 일단 법이 재밌어서 가보자는 마음으로 갔구요.

제가 입학하고 로스쿨이 발표가 되었고, 다들 각자 살 길을 찾아나섰는데
저는 사시는 일단 잠깐 해보니 이건 안되겠다 싶어서 일단 군대를 마치고 나서
어떻게 어떻게 흘러오다보니 로스쿨에 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일반 직장에 다니는거보다는 다른 일을 하고 싶어서
오게 되었는데.. 지금은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제가 다니던 시절(2014.3~2017.2... 더 보기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의 모 대학 법학과 학생이었습니다.
사실 변호사가 되어야겠다는 구체적인 생각보다는 일단 법이 재밌어서 가보자는 마음으로 갔구요.

제가 입학하고 로스쿨이 발표가 되었고, 다들 각자 살 길을 찾아나섰는데
저는 사시는 일단 잠깐 해보니 이건 안되겠다 싶어서 일단 군대를 마치고 나서
어떻게 어떻게 흘러오다보니 로스쿨에 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일반 직장에 다니는거보다는 다른 일을 하고 싶어서
오게 되었는데.. 지금은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제가 다니던 시절(2014.3~2017.2.)만 해도 로스쿨이 생겨서 법학부가 사라진 학교의 마지막(?) 법대생들,
그리고 사시를 준비하던 분들이 많이 계셨어요.

요즘 들리는 이야기로는 이제 위와 같은 법대생 자체가 많이 없어서 대부분 정량이 좋은
상대적으로 어린 학생들로 채워졌다고 들었습니다.

실제 분위기는 학교마다 매우매우 다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규모가 큰 학교&미니 로스쿨, 서울권&비서울권 등등.
학교마다 이렇다! 일률적으로 정하긴 어렵지만
그래도 그 나름대로의 재미도 있고, 다들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도 받았던 것 같습니다.

제가 다닌 학교는 분위기가 참 좋았습니다:)
잘하는 분들이 열심히 끌어주고, 자극받고 공부도 열심히 하고, 좋은 기억이 많이 남았어요.

물론 시험 가까울 수록 쉽지 않았지만, 그건 모두가 같다보니..ㅎㅎ...
요즘은 타과생이 훨씬 많다고 합니다.
음... 특히 로스쿨이 설치된 학교는 법대가 없어졌기 때문에, 로스쿨이 없는 대학의 법대를 가는 것보다, 로스쿨이 있는, 대학을 가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학벌에 따른 점수 등등의 문제를 떠나서 일단 자교 로스쿨이 있는 곳을 가면 학교 차원에서 로스쿨 대비반이나, 로스쿨 소개하는 행사도 있고요. 동아리 선배나 학과 선배중 로스쿨에 진학한 사람들이 있으니 정보 공유를 받을 수도 있고, 준비하는 사람도 훨씬 많아서 같이 준비하기도 좋구요. 여러모로...이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자교에서 열리는 법관련 교양과목도 대체로 로스쿨 교수님들이 하시는 편이니, 수업을 듣고 로스쿨 관련된 상담같은 걸 요청해볼 수도 있겠죠. ㅎㅎ
[글쓴이]
정확하십니다:) 감사합니다!
우주최강귀욤섹시
개인적인 생각으론 법조인이 되기 가장 유리한 학과는 아이러니하게도 경찰대 법학과라고 생각합니다.
revofpla
요즘 대학원에 판검변(대부분 사시출신)&변리사 형님들 이야기 들어보면 업계 자체가 예전보다 많이 힘들어졌고, 앞으로는 더 급격하게 변하고 힘들어질 것 같다고 말씀들을 하시는데 본인이 생각하는 미래 비전은 어떤것인지, 앞으로 법 분야에서 어떤 분야가 핫이슈가 될 만 할 것 같은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은?
[글쓴이]
정확히 이 질문을 지금 대표님께서 말씀해주고 계십니다.

대표님은 10년 조금 더 하고 더 이상 하지 않을 거라고 말씀하시는데,
저는 30년은 더 해먹어야 하니 뭘 어떻게 해야할 지 끊임없이 고민하라고 말씀해주셨어요.

미래비전보다는 당장에 써야할 서류가 더 간절한 쪼랩이긴 하나,
그래도 일단 오신 분들께 좋은 모습 보여드리는 것이 좋은 영업이라는 말씀을

대표님으로부터 들어와서, 어디서 어떤 분야에서 일을 하든지 간에
의뢰인께 이 변호사 정말 열심히 하는 변호사라는 것을 보여드리고 싶습니다ㅎㅎ..

애초에 저는... 더 보기
정확히 이 질문을 지금 대표님께서 말씀해주고 계십니다.

대표님은 10년 조금 더 하고 더 이상 하지 않을 거라고 말씀하시는데,
저는 30년은 더 해먹어야 하니 뭘 어떻게 해야할 지 끊임없이 고민하라고 말씀해주셨어요.

미래비전보다는 당장에 써야할 서류가 더 간절한 쪼랩이긴 하나,
그래도 일단 오신 분들께 좋은 모습 보여드리는 것이 좋은 영업이라는 말씀을

대표님으로부터 들어와서, 어디서 어떤 분야에서 일을 하든지 간에
의뢰인께 이 변호사 정말 열심히 하는 변호사라는 것을 보여드리고 싶습니다ㅎㅎ..

애초에 저는 과거 신분상승과 같은 그런걸 정말 요만큼도 기대한게 아니라,
기왕 일을 할거면 좋아하는 분야에서 하는게 낫지 않을까 시작한 일이라서 그런지..
송무에 계시나요? 야근은 얼마나 하시나요? 적성에 잘 맞으시는지요..ㅠㅠㅋㅋㅋ
1
[글쓴이]
송무에 있습니다. 야근은 주3~4회? 적성에 맞는지는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ㅋㅋㅜㅜ
1.주변 로스쿨 준비생이나 로스쿨 간 선배, 그리고 학내 커뮤니티 게시판을 보면
항상 변호사 시장이 과포화이고, 성장이 더디며, 앞으로 더 이상 힘들어질거라는데 현직으로서 체감하는 업황이라던지, 또는 '앞으로 안좋아질 것 같다'라는 인식에 대해 나름의 의견을 말씀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2. AI가 도입되는 추세인데 그로 인한 업계 영향이 어떤가요?

3. 1과 2를 합쳐서, 앞으로의 한국 법률서비스시장, 변호사의 전망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 하루 일과를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글쓴이]
답이 늦었네요!

1.

저같은 초년생들은(심지어 대형펌 소속도 아닌..!) 시장이 과포화이다, 성장이 더디다 등의 메시지가
크게 와닿기 보다는 그저 하루하루 서면 쓰다 하루가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저는 이제 '시작'이다보니 그렇다 하더라도,
오랫동안 겪으신 분들(선임 변호사님, 사무 직원님)은 직접 느끼시더라구요.

예컨대 수임료가 내려갔다든지, 근처 식당이 점차 대중화(?)되었다는지 등등 많이들 느끼고 계시네요.

제가 속한 사무실에서 대표님께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오신 고객분들께 좋은 모습을 ... 더 보기
답이 늦었네요!

1.

저같은 초년생들은(심지어 대형펌 소속도 아닌..!) 시장이 과포화이다, 성장이 더디다 등의 메시지가
크게 와닿기 보다는 그저 하루하루 서면 쓰다 하루가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저는 이제 '시작'이다보니 그렇다 하더라도,
오랫동안 겪으신 분들(선임 변호사님, 사무 직원님)은 직접 느끼시더라구요.

예컨대 수임료가 내려갔다든지, 근처 식당이 점차 대중화(?)되었다는지 등등 많이들 느끼고 계시네요.

제가 속한 사무실에서 대표님께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오신 고객분들께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면 결국엔 그분들이 고객으로 계속 남는다는 마인드를 가지고
변호사 일을 해오고 계셔서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이게 결국엔 제가 나아갈 방향이 아닐까 고민도 합니다.

확실한건 서초동에 오시면 변호사가 무지무지 많습니다.
저도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어요...

2. 역시 아직 제가 속한 사무실에서 AI를 체감하기엔 이른 것 같습니다..

3.
아마 매년 1500명이상 끊임없이 시장에 나올 것이고,
'변호사 다 죽었다 별로다.'는 말을 들으며 어떻게든 살아갈 것 같습니다.

이 질문을 꼭 기억했다가 1년뒤에 다시 말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4.

9시반쯤 보통 출근을 합니다.
12시쯤 식사를 하구요
의뢰인 상담이 잡히면 상담을 하고
일단 퇴근 시간은 6시 정도인데, 이 날에 퇴근하는 날은 매우 드뭅니다..

식사를 마치고 들어와서
10시 내외까지 서면을 쓰다가 들어갑니다.

저같은 경우엔 대략 한달에 3주정도는 주말에 하루는 나가서 일을 하는 것 같네요..

오후에 재판이 있거나 출장이 있는 날, 퇴근 시간과 귀환(?)시간이 겹치면
일정 마치고 바로 퇴근하기도 합니다.
벼랑꽃
1. 변호사분들은 대부분 어느정도 연차가 쌓이기 시작하면 한 분야로 전문화를 한다고 전해들었습니다. 어떤 분야의 전문 변호사가 되길 계획하고 계시나요?
2. 향후 계획하고 있는 커리어로드라던지, 또는 꿈꾸는 방향이 있으신가요? 막연하더라도 괜찮습니다.
3. 변호사는 집단 내에서의 co-work 능력이 업무처리에 있어서 중요한 편인가요, 아니면 개인의 능력이 업무처리에 있어서 더 중요한 편인가요? (질문이 포괄적인 것 같긴 한데, 일에 인간관계나 정치논리같은 것이 끼어드는 것을 싫어하고, 조직생활을 별로 좋아하지 않고 독립적인 활동을 추구하는 아웃사이더 형 사람과 변호사 업무가 적성이 맞을까요?)
[글쓴이]
답이 늦었습니다^^;;;

1. 주변 동기들은 대체로 민사면 민사 위주로, 형사는 형사 위주로 하는 사무실에 들어갔는데
저같은 경우엔 사무실에 사건이 대중없이 들어와서 맛보기는 여러가지 해 보았습니다.
접해보니 주로 건축과 관련된 사건을 접하는데 있어서 흥미를 느끼는 저를 발견했습니다.

향후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고는 싶으나,, 사람일은 알 수 없지요T_T

2. 이직이 굉장히 많은 직종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지금 머무는 곳에서 되도록 오래 머물고 배우고 싶습니다.
대표님께서 업무도 업무지만 변호사로서의 마인드를 ... 더 보기
답이 늦었습니다^^;;;

1. 주변 동기들은 대체로 민사면 민사 위주로, 형사는 형사 위주로 하는 사무실에 들어갔는데
저같은 경우엔 사무실에 사건이 대중없이 들어와서 맛보기는 여러가지 해 보았습니다.
접해보니 주로 건축과 관련된 사건을 접하는데 있어서 흥미를 느끼는 저를 발견했습니다.

향후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고는 싶으나,, 사람일은 알 수 없지요T_T

2. 이직이 굉장히 많은 직종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지금 머무는 곳에서 되도록 오래 머물고 배우고 싶습니다.
대표님께서 업무도 업무지만 변호사로서의 마인드를 정말 잘 가르쳐주고 계시구요.
사실 제 좁디좁은 인간관계 주변에는 10년이상의 변호사님이 많이 안계십니다ㅠ
코끼리 뼈라도 있어야 어느정도 상상이 되겠지만, 일단은 이 정도까지..ㅎㅎ...

3. 처음 고용변호사로 시작할때야 의뢰인에게 닦일(?)일이 많이 없는데,
이런 부분에서 멘탈 관리가 잘 되어야 스트레스 받지 않고 오래오래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선임 변호사님 가운데 한분께서 이러한 인간관계에 스트레스를 정말 크게 받으시는데,
저만 해두 의뢰인께 전화로 크게 항의를 받다 보니 정신이 없더라구요.

업무가 진행되는 동안 의뢰인을 달래(?)며 진행해나가는거도 변호사 능력이고,
업무가 진행되는 동안 의뢰인과 자주 소통하면서 실마리를 찾는거도 변호사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한 명의 변호사로서 내 사건에서 다른 변호사와 협업을 하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만,
의뢰인과의 관계 역시 업무 그 자체이기 때문에 아예 아웃사이더 형은 어떨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나가던선비
로스쿨 들어갈때 준비한 건 뭐였습니까
[글쓴이]
이른바 학토릿이라고 하는 삼지창을 들고 준비했습니다..
이건 몇년전 입시라 정확히 바뀐게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1. 학점 : 4년동안 준비했습니다..기 보다는 그냥 쌓여 있었다로 하는게..
2. 토익 : 학교마다 기준은 다릅니다. 저희때는 텝스를 보는 곳도 있었고, 보통 900대 중후반 나오면 만점 줬던거 같은데요.
3. LEET : 행시 생각하며 공부하던 PSAT이 은근히 도움이 되었던 것 같은데, 정말 정말 개인적으로 책 잘 읽고 머리 좋은 사람들이 리트는 잘 보는 것 같습니다.

기타 : 나머지 스펙은 그냥 동아리, 학생회 외에는 없습니다만 이것도 외부활동같은거 하시는 분들은 쓸게 많겠죠?
Dr.Pepper
로스쿨 다니실때 30대 중반 이상의 만학도? 사회경험 있으신 분들은 얼마나 있었나요?
그 분들은 잘 다니시고 졸업도 잘 하시고 변시도 잘 보셨나요?
[글쓴이]
★승리의 케바케☆

저같은 경우에는 아직 법학사가 많이 남아있을 때라 30대이상 고시 유경험자분들이 많이 계셨구요.
사회생활하다가 오신 분들도 종종 있었는데 학점 따는 거는 쉽지 않다, 쉽지 않다 하시더라도
시험은 많이들 붙으시더라구요.

후배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는게 아니다 보니ㅠ_ㅠ 원하는 답변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Dr.Pepper
케바케긴 하죠.
저도 고시유경험자긴한데,

같은 고시낭인이었던 분들 중에 저처럼 취업하신 분들도 있지만
많은 수는 로스쿨로 가셨는데, 적응 못하고 나오시는 분들 얘기를 종종 들어서요
제 주변만 그런가 해서 여쭤봤습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ㅋㅋ
나츠야스미
대한변협에서 연수 분위기가 궁금한데요.

1. 예전엔 이런 저런 이유로 대한변협 연수를 기피했다고 들었는데 요새도 그러한지요?

2. 일산 사무실 수습이 실제로 도움이 되셨나요?

3. 대한변협이 연수를 잘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대한변협이 불친절하다거나 연수 과정이 불편하거나 하진 않으셨나요?

4. 올해 대한변협의 연수 받는 후배 분들의 반응은 어떠시던가요? 예를 연수 분위기 같은 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2 현직 대학병원 교직원입니다. 20 [익명] 19/04/05 12995 0
316 연하남 킬러입니다 34 [익명] 16/09/25 12991 2
716 이번 8회 PEET 시험 응시했습니다 45 [익명] 17/08/23 12990 1
124 포경수술을 결혼 후에 했습니다. 10 [익명] 15/12/01 12867 0
559 특허일 합니다. 궁금하신거 답변드립니다. 16 [익명] 17/03/22 12778 1
31 한때 아마추어 일본 애니 자막 제작자였던 사람입니다. 16 에텔레로사 15/10/22 12695 0
1036 31살 모쏠입니다. 어제 생애 2번째로 또 까였습니다. 38 [익명] 18/07/25 12637 0
291 군의관입니다. 68 [익명] 16/08/17 12612 0
93 법무법인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27 다람쥐 15/10/31 12548 0
17 34년 모태솔로입니다. 궁금한 부분 있으면 답해드립니다. 49 관대한 개장수 15/10/21 12510 0
161 2015년 5급공채 합격생입니다 질문받습니다 32 유스티스 16/01/19 12464 0
1157 아토피로 5급 (준)면제 받은 대학생입니다 질문받습니다! 32 에스와이에르 18/11/16 12448 0
542 현직 대학교 교직원입니다 질문받습니다 19 풍운재기 17/03/09 12263 0
427 직장상사 짝사랑했다가 정리중인 찌질남입니다. 19 [익명] 16/12/27 12093 1
967 사회초년생 변호사입니다. 40 [익명] 18/05/21 11979 0
330 쉽게 서운해 하는 타입의 여자친구 입니다 51 [익명] 16/10/15 11860 0
1022 홍차넷 캐릭터 잡아드립니다 517 [익명] 18/07/12 11849 0
1533 26살에 1억 한달뒤 1억3천입니다. 66 애배 19/12/20 11735 0
259 광동어 배우고 있습니다 37 [익명] 16/06/30 11620 0
319 브라질리언 올누드+다리 전체 왁싱 받았습니다. 40 [익명] 16/10/05 11485 0
501 산속고시원에서 공부중입니다 28 [익명] 17/02/11 11467 0
364 남자 브라질리언 왁싱에 관심 있으신가요 18 [익명] 16/11/16 11341 0
1246 이미지를 기억못하는 병이 있습니다. 82 toys_ 19/02/03 11333 1
18 전통시장에서 장사하는 장사꾼입니다. 18 천무덕 15/10/21 11289 0
1034 4수생 오늘 수능포기했습니다 36 [익명] 18/07/24 11282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