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5/10/31 09:51:32
Name   다람쥐
Subject   법무법인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현재 법무법인에서 일 하고 있습니다

이제 곧 이직할거에요 크크
다음엔 어디로 가게 될지 모르겠으니까 게시판의 번영(!!)을 위해 지금 질문 받겠습니다



0


난커피가더좋아
자문을 더 많이하시나요 아님 송무를 더 하시나요? 둘 중 어느쪽을 더 좋아하시나요? 그 이유는? (질문이 너무 많은가 크) 답변해주고 차지하시진 않는거지요? 크
다람쥐
저희 로펌은 송무를 더 많이 하는 곳입니다 그래서 덩달아 저도 송무를 많이 하고 있어요. 송무 재밌습니다 저는 송무 좋아요! 하지만 자문도 자문의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 자문위주의 업무만 주로 하는건 해 본 적이 없는데 경험해보고싶기는 합니다
Vinnydaddy
대개 1일평균 일하는 시간이 얼마나 되시는지요?
다람쥐
조금 바쁘다 하는 어쏘변호사님들은 주당 80~100시간정도?하시는 것 같은데 저희는 그래도 야근에 구애받지 않고 저도 하는 일이 적어서(....) 비교적 일찍 퇴근하는 편이에요
가령말하자면
안녕하세요~

종업원 구성은 어떤가요? 모두 변호산가요?
다람쥐
아니요 작은 곳은 변호사와 직원, 좀 규모 있는 곳은 한국변 미국변 노무사 변리사 등도 있어요. 직원은 좀 큰 곳은 비서와 송무직원도 나눠져있어요^^
천무덕
네이버 웹툰 \'동네변호사 조들호\'같은 변호사가 현실에서도 존재할 수 있는 기반이 있을까요? 전문직들 굶어죽는다는 소문에 대해 현업에서 피부로 느끼는 진실은 어떤가요?
난커피가더좋아
와 그 웹툰을 아시다니 흐흐흐
천무덕
제가 만화를 좀 많이 좋아해서요 크크
다람쥐
죄송하지만 제가 그 웹툰을 안봤습니다 ㅠㅠ
대강 어떤 캐릭터인지 알아야 답변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천무덕
넵. 재미있는 웹툰입니다. 시간나실때 한번 봐보세요 흐흐
법률지식이 없어도 소송의 흐름을 알게끔 연출을 잘 해놨더라구요.
다람쥐
방금 대충 찾아봤는데 아마도 본인이 하고싶은 일을 돈 상관없이 하는 공익,인권변호사라는 전제 하에 답변 드릴게요.
일단 그 변호사가 금수저여야합니다
하하 농담이고, 변호사의 생계가 유지가 되어야겠죠.
조영래변호사님 박원순변호사님이 막 변호사가 되었던 시절엔 신입변호사들도 월 800만, 인권변호사들도 월500만 정도를 벌 수 있었다고 합니다. 두분 중 누군가의 책에도 써있었던 것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지금은 절대 그렇지 않아요. 물려받은 집이라도 있어서 전월세걱정이 없거나 아내가 돈을 어느정도 벌어주거나 엄청 아껴... 더 보기
방금 대충 찾아봤는데 아마도 본인이 하고싶은 일을 돈 상관없이 하는 공익,인권변호사라는 전제 하에 답변 드릴게요.
일단 그 변호사가 금수저여야합니다
하하 농담이고, 변호사의 생계가 유지가 되어야겠죠.
조영래변호사님 박원순변호사님이 막 변호사가 되었던 시절엔 신입변호사들도 월 800만, 인권변호사들도 월500만 정도를 벌 수 있었다고 합니다. 두분 중 누군가의 책에도 써있었던 것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지금은 절대 그렇지 않아요. 물려받은 집이라도 있어서 전월세걱정이 없거나 아내가 돈을 어느정도 벌어주거나 엄청 아껴살거나 하지 않으면, 변호사 본인의 생계 때문에라도 돈 되는 사건을 맡아야 하고 그러면 시간상 하고 싶은 일만 수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저도 늘상 고민이 많은 부분입니다.
다람쥐
여러가지 모델이 있는데, 후원이나 다른 재정으로 변호사에게 고정급을 주는것이 가장 무난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재정을 주는 기업이나 후원자의 목적에 부합해서 활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율성이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후원이 끊기면 활동이 급작스레 어려워질수도 있구요. 이런 문제가 있어서 위에서 반 농담으로, 하고싶은 사건을 마음대로 하려면 변호사가 재력이있어야 한다는 말을 했습니다
하지만 자기 사건 하시면서 인권쪽으로 의미있는 사건 하시는 변호사님들도 많습니다. 정말 배울 점이 많죠. 그런데 또 그러자니 시간이 없... 더 보기
여러가지 모델이 있는데, 후원이나 다른 재정으로 변호사에게 고정급을 주는것이 가장 무난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재정을 주는 기업이나 후원자의 목적에 부합해서 활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율성이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후원이 끊기면 활동이 급작스레 어려워질수도 있구요. 이런 문제가 있어서 위에서 반 농담으로, 하고싶은 사건을 마음대로 하려면 변호사가 재력이있어야 한다는 말을 했습니다
하지만 자기 사건 하시면서 인권쪽으로 의미있는 사건 하시는 변호사님들도 많습니다. 정말 배울 점이 많죠. 그런데 또 그러자니 시간이 없어서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적어지기도 한다는..크흡
전문직 굶어죽는다는 말은
전문직까지 어렵다는 말이 나올 만큼 이 시대가 어려워서 나오는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즘 다들 너무 어려워요 ㅠㅠ
천무덕
하긴..의미를 찾으면서 수익성을 내는게 어려운건 전문직도 예외는 아니겠지요.
만약 내가 변호사가 안되었다면 지금쯤 무엇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라고 생각해보신 직업이 있으시다면..?
다람쥐
그냥 평범한 회사원이었을 것 같습니다. 대학교 졸업하고 회사란 회사는 닥치는 대로 써서 뽑아주는 데 다니면서 대리달고 결혼하고 육아휴직 후 복직하고 그러면서 평범하게 살았을 것 같아요.
완전연소
몇년차이신가요?
다람쥐
앗 완전연소님이시네요^^ 저쪽(?)에서 뵈었던 것 같은데 제가 기억하는게 맞을까요? 저는 경력이랄것도 없습니다아 이제 막 배워가고있는 정도입니다
더 좋은 직장으로 옮기시는 건가요? 축하드립니다. 홍차넷에는 능력자가 수두룩하네요. 흐흐흐
다람쥐
더 좋은 직장으로 옮기고 싶어요 크크 희망은 그러합니다!
vlncent
사시 존치 논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다람쥐
너무 예민한 문제라서 조심스럽지만, 사시 없애고 로스쿨 갈아타기로 했으면 그대로 해보고 평가는 해봐야하지않나 싶습니다. 인원 줄이며 폐지 수순을 밟다가 마지막 1차시험 남기고 갑자기 폐지 안하고 유지할만한 이익이 있을지... 차라리 변호사예비시험 도입이라면 도입 취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동종업계 근무중입니다. 아직 입사초지만 직무알고 입사했고 급여는적지만 만족하며 다니고있습니다.(저녁시간이 있기때문이죠) 저는 큰 펌으로의 이직이나 작은펌으로 가는 생각을 일하면서 고민이되는데 이에 대해서 전자후자 메리트는 잘 모르겠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다람쥐
저도 경력이 일천하여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지만 사내변호사나 공공기관 등의 직무는 생각하지 않고 로펌 변호사만 생각하시는거지요?
그렇다면, 결국 송무 변호사는 빠르든 늦든 5년~7년 내에는 구성원 등기를 하는 파트너 변호사가 되는 게 요즘 추세인 것 같습니다. (제 주변 어쏘변님들 파트너변님들께서도 그렇게 보시더군요) 대형에 있어도 파트너 못 되면 나와야 되고 중소형에 있어도 결국 4~5년차에는 등기를 요구할것이다 라고 보는데, 등기한 구성원 변호사가 되는 것에 부담이 없으시다면 미리 사내변으로 옮기실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그럼 대... 더 보기
저도 경력이 일천하여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지만 사내변호사나 공공기관 등의 직무는 생각하지 않고 로펌 변호사만 생각하시는거지요?
그렇다면, 결국 송무 변호사는 빠르든 늦든 5년~7년 내에는 구성원 등기를 하는 파트너 변호사가 되는 게 요즘 추세인 것 같습니다. (제 주변 어쏘변님들 파트너변님들께서도 그렇게 보시더군요) 대형에 있어도 파트너 못 되면 나와야 되고 중소형에 있어도 결국 4~5년차에는 등기를 요구할것이다 라고 보는데, 등기한 구성원 변호사가 되는 것에 부담이 없으시다면 미리 사내변으로 옮기실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그럼 대형 법무법인과 작은 법무법인 중 어디가 더 변호사로서 비전과 맞을 지 문제일 것 같습니다.
대형에 근무할 경우 자기 전문 분야를 주로 맡기 때문에 전문성을 쌓을 수 있고, 큰 펌에서 다른 곳으로 이직하는 것은 쉽다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단점이라고 한다면 자기 분야 외에 다른 부분은 잘 알기 어렵고 클라이언트들은 대형 이름을 보고 오기 때문에 어쏘변이 이직한다고 해서 고객을 끌어오기는 어려운 점도 있을 것입니다. (특히 대기업 자문이나 M&A, 공정거래법 분야는 대형로펌 클라가 중소형으로 잘 옮기지 않는 것 같습니다) 중소형에 근무한다면 업무 전반을 다 익힐 수 있고, 클라를 잘 관리한다면 자신의 고객으로 만들기 더 쉬운 것이 장점일 것 같습니다. 어차피 개업을 할거라면 빨리 자리잡는것도 좋다고 보시는 분들도 있구요. 하지만 단점이라면 작은 펌은 워낙 바쁘고 안 바쁜 정도, 특히 업무의 체계성 등이 천차만별인 것 같습니다.
저의 일천한 생각으로는 재직중이신 곳이 나름 규모가 있고, 페이가 적지만 저녁시간이 있다면 지금을 유지하시거나 아니면 아예 더 큰 곳으로 가서 전문성과 좋은 이력을 갖추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블랙밀크티
법무법인의 변호사가 아닌 직원의 직급체계는 어떻게 되나요? 월 급여나 연봉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요? 그런 분들은 어떻게 입사?를 해서 일을 하시나요? 오래 일을 하시나요? 노무사는 변호사 자격증 없이도 법무법인에서 채용을 하나요?
다람쥐
직급체계는 일반적인 회사처럼 주임-대리-과장-실장 식으로 하는게 보통인거같아요
회사랑 똑같이 직원이 오래 일하는 로펌이 직원 대우가 좋은 로펌이겠죠
월 급여나 연봉은 다양합니다 대형과 중형, 소형 차이도 크고 중소형은 굳이 4년제를 뽑지않는경우도 많아요. 신입직원 초봉이 3천 넘는 경우는 초대형 아니고는 없는것같습니다.
노무사나 세무사 회계사 변리사를 따로 채용하는 로펌도 있습니다. 직원으로뽑는건 아니고 그냥 그 전문 자격으로 뽑는거죠
노무법인 세무법인 회계법인 특허법인에 속하는거랑 대우나 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지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DaramG 님이신가요?
다람쥐
네? 무슨뜻인지 모르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2 현직 대학병원 교직원입니다. 20 [익명] 19/04/05 12995 0
316 연하남 킬러입니다 34 [익명] 16/09/25 12991 2
716 이번 8회 PEET 시험 응시했습니다 45 [익명] 17/08/23 12990 1
124 포경수술을 결혼 후에 했습니다. 10 [익명] 15/12/01 12868 0
559 특허일 합니다. 궁금하신거 답변드립니다. 16 [익명] 17/03/22 12779 1
31 한때 아마추어 일본 애니 자막 제작자였던 사람입니다. 16 에텔레로사 15/10/22 12695 0
1036 31살 모쏠입니다. 어제 생애 2번째로 또 까였습니다. 38 [익명] 18/07/25 12637 0
291 군의관입니다. 68 [익명] 16/08/17 12613 0
93 법무법인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27 다람쥐 15/10/31 12548 0
17 34년 모태솔로입니다. 궁금한 부분 있으면 답해드립니다. 49 관대한 개장수 15/10/21 12511 0
161 2015년 5급공채 합격생입니다 질문받습니다 32 유스티스 16/01/19 12464 0
1157 아토피로 5급 (준)면제 받은 대학생입니다 질문받습니다! 32 에스와이에르 18/11/16 12448 0
542 현직 대학교 교직원입니다 질문받습니다 19 풍운재기 17/03/09 12263 0
427 직장상사 짝사랑했다가 정리중인 찌질남입니다. 19 [익명] 16/12/27 12093 1
967 사회초년생 변호사입니다. 40 [익명] 18/05/21 11980 0
330 쉽게 서운해 하는 타입의 여자친구 입니다 51 [익명] 16/10/15 11860 0
1022 홍차넷 캐릭터 잡아드립니다 517 [익명] 18/07/12 11849 0
1533 26살에 1억 한달뒤 1억3천입니다. 66 애배 19/12/20 11735 0
259 광동어 배우고 있습니다 37 [익명] 16/06/30 11620 0
319 브라질리언 올누드+다리 전체 왁싱 받았습니다. 40 [익명] 16/10/05 11485 0
501 산속고시원에서 공부중입니다 28 [익명] 17/02/11 11467 0
364 남자 브라질리언 왁싱에 관심 있으신가요 18 [익명] 16/11/16 11342 0
1246 이미지를 기억못하는 병이 있습니다. 82 toys_ 19/02/03 11333 1
18 전통시장에서 장사하는 장사꾼입니다. 18 천무덕 15/10/21 11289 0
1034 4수생 오늘 수능포기했습니다 36 [익명] 18/07/24 11282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