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
-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8/03/12 02:21:27
Name   [익명]
Subject   야구(투구) 이론 전문가입니다
예전에 야구를 했었고, 지금은 어깨 수술로 야구를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물론 스포츠업계 종사자도 아닙니다.

아마야구 투구 코칭을 하다보면, 어느정도 공과 친하신 분들은 자세를 교정하는 것만으로 대부분이 120km에 가까운 공을 던질 수 있게 되는 걸 많이 봅니다 ㅎ

야구공을 던지는 것과 관련된 거라면 어떤 질문이든 좋습니다.



1


다시갑시다
"던지는 사람은 투수, 치는 사람은 타자" 정도 밖에 야구를 모르는 문외한입니다.

투수를 볼때 기술적인 부분에서 어떤 점들을 가장 중요하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글쓴이]
사실 이 부분은 사람마다 조금 다를 겁니다. 강하고 빠른 공을 던진다고 해서 최고의 투수는 아니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기준에서는 '힘의 전달'이 핵심이라고 봅니다. 물론 프로야구의 탑클래스 수준의 선수들이야 이미 기술적인 부분이 완성되어 있지만, 그 아래 클래스의 투수 혹은 아마 야구 레벨에서는 가지고 있는 힘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구라는 게 발을 드는 킥킹부터 시작해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손에서 공이 떠날 때까지 오로지 공에 힘을 전달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극대화시켜야 하는 것이지요.
danielbard
가장 이상적인 투구폼을 가진 선수는 누구라고 생각하시나요?? 현역 은퇴 한명씩요
[글쓴이]
현역 선수 중에서는 저는 팀 린스컴을 뽑겠습니다. 사실 '이상적인' 투구폼은 아닙니다. 본인이 감당하지 못할 만큼의 힘을 가져다 써서 부상을 입었으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로 뽑은 건, 정말 만화에나 나올 법한, 어떻게 보면 투구폼의 '유토피아' 같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론은 있는데 어디에도 존재할 수 없는? 그런 폼이지만 그렇게 던졌고 그만큼 빠르게 가라앉았죠...
은퇴 선수 중에서는 음 ... 좀 대비되는 의미로 놀란 라이언을 뽑겠습니다. 제가 본 투수 중에서는 가장 부드러운 것 같습니다. 힘의 전달에 전혀 막힘이 없더라구요. 예전에 놀란 라이언 시구 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무슨 그 연세에 아직도 그런 공을 던지시는지 소름이 돋았습니다.
레지엔
특정 구종의 특정 부상 유도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대표적으로 슬라이더가 팔꿈치 보내버린다는 생각이 어느 정도 공감대가 있다가 최근에 와서 슬라이더가 유독 문제인게 아니라 스피드와 무브먼트의 요구치가 올라가면서 어떤 구종이든 부상 위험이 다 오른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데 운동역학에서 보면 슬라이더는 팔꿈치에 특별히 부하를 더 주는 것 같거든요. 던져봐도 그렇고 슬로우로 봐도 그렇고 유독 토크가 많이 걸리는 걸 볼 수 있어서...
저 질문에서 파생된 것인데, 유소년의 변화구 습득을 막는게 맞을지 아닐지에 대해선 어떤 견해를 가지고 계신지...
[글쓴이]
민감한 문제입니다. 사람마다 평이 많이 갈리지요. 저는 복합적으로 봅니다. 우선, 직접 던졌던 입장에서 슬라이더는 타구종에 비해 팔꿈치에 무리를 준다고 봅니다. 사실 '무리'라는 단어에는 어폐가 있긴합니다. 좀 더 정확히 하면 슬라이더를 던지기 위해서는 팔꿈치의 활용이 많이 필요하다가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복적인 투구 과정에서 무리로서 인식되는 거겠죠. 일주일에 한 번 투구를 하는 사람이 슬라이더를 좀 던진다고 해서 팔꿈치에 큰 이상이 생길 거라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물론 케바케지만) 그러나 그것이 누적되고, 현... 더 보기
민감한 문제입니다. 사람마다 평이 많이 갈리지요. 저는 복합적으로 봅니다. 우선, 직접 던졌던 입장에서 슬라이더는 타구종에 비해 팔꿈치에 무리를 준다고 봅니다. 사실 '무리'라는 단어에는 어폐가 있긴합니다. 좀 더 정확히 하면 슬라이더를 던지기 위해서는 팔꿈치의 활용이 많이 필요하다가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복적인 투구 과정에서 무리로서 인식되는 거겠죠. 일주일에 한 번 투구를 하는 사람이 슬라이더를 좀 던진다고 해서 팔꿈치에 큰 이상이 생길 거라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물론 케바케지만) 그러나 그것이 누적되고, 현대야구처럼 변화구의 질적, 양적 수준이 높아진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겠죠.
유소년의 변화구 습득도 ... 투구수 제한과 같은 선상에서 필요하다고 봅니다. 전체를 위해서 말이죠. 누구는 변화구를 백날 던져도 전혀 이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성장기의 가능성을 위해서 제한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봅니다. 솔직히 저는 유소년 때의 얄팍한 변화구보다, 투구폼 자체의 기술적인 완성이나 지식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게 훨씬 의미있다고 보지만, 우리나라의 지도자 풀이 그렇게 따라주지를 못합니다. 소위 '옛날야구'하시던 분들이 태반이라 ...
덧붙여 저도 어릴 때 멋모르고 야구를 하다 후유증이 남은 케이스입니다. 수술을 받긴 했지만, 아직도 후유증이 많이 남아있죠.
Danial Plainview
1. 인간은 양손을 쓰는데 투구는 한 손만 쓰잖아요. 그럼 결국 투구를 연마하다 보면 한 쪽으로만 불균형적인 발달이 일어나는 건 필연적일 텐데 운동을 하기 위해서 신체의 밸런스는 어디까지 포기 가능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혹은 일상생활의 지장 등.

2. 시대에 따라서 투구이론이 변화할 것 같기는 한데 주로 어떤 사건을 or 어떤 선수를 기점으로 변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이게 최신 트렌드에 따라 계속 변하다보니 inverted W가 무리가 간다는 건지 괜찮다는 건지 헷갈려서요.
[글쓴이]
불균형은 분명히 옵니다. 실제로 프로야구선수의 양팔의 길이가 다르다는 기사는 심심치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게 일상의 문제... 로 이어질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인간은 밸런스에 적응을 하기 때문에, 특정 부위의 부상이 아니라면 일상에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주변에서 본 적도 없고, 애초애 모든 사람은 무너진 밸런스에 적응하면서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2. 인간의 몸이 변화하지 않는 이상 투구 이론의 본질적인 부분이 바뀔 거라고 생각치는 않습니다. 다만 작은 변화들은 다양한 변화구들이 새로이 정립되고, 타... 더 보기
불균형은 분명히 옵니다. 실제로 프로야구선수의 양팔의 길이가 다르다는 기사는 심심치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게 일상의 문제... 로 이어질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인간은 밸런스에 적응을 하기 때문에, 특정 부위의 부상이 아니라면 일상에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주변에서 본 적도 없고, 애초애 모든 사람은 무너진 밸런스에 적응하면서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2. 인간의 몸이 변화하지 않는 이상 투구 이론의 본질적인 부분이 바뀔 거라고 생각치는 않습니다. 다만 작은 변화들은 다양한 변화구들이 새로이 정립되고, 타자를 상대함에 있어 트렌드가 바뀌는 수준 정도라고 봅니다.
인버티드 w에 대해서는 ... 우선 꼭 팔꿈치의 높이가 중요한 게 아닙니다. 스트라이드 과정에서 우리는 견갑을 당기며 힘을 모아줍니다.(레이백이라고도 합니다.) 이때의 투구하는 팔의 상태에 따라 이름이 나뉘는데, 이게 서로 반대라고 하기보다, 그냥 힘을 세게 당기면 인버티드가 됩니다. 세게 안당기면 그냥 소위말하는 W가 됩니다. 힘을 모으는 방식의 차이입니다. 세게 던지니까 부상 위험이 높다 그러는데, 저는 그런 사람들에게 그럼 그냥 공을 안던지면 부상당할 이유가 없다라고 합니다 ...
CONTAXS2
종속은 정말 의미가 없습니까? ^^ㅎㅎ
[글쓴이]
제가 물리학도는 아니지만 ... ㅎㅎ 아무래도 종속이론은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 받아들여지는 것 같습니다. 실제 사례들에서도 무의미한 수준의 편차로 증명되었고 ... 종속보다는 '회전과 무브먼트'로 인한 볼끝의 변화와 그로 인한 시각적인 체감의 차이로 받아들여지는 것 같네요.
CONTAXS2
공이 묵직하다... 는 어떤가요? 쳐도 안나간다. 이것도 역시 미신일까요? ㅎ
[글쓴이]
글쎄요 ... 저도 받는 입장에서 비슷한 구속이지만 분명히 공의 무게 차이가 다른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물리 법칙상 같은 질량에 같은 속도면 같은 에너지를 가질텐데 ... ㅎ
켈로그김
아마 토크가 큰 경우가 묵직하게, 정확하게는 배팅시 느껴지는 공의 '힘' 을 크게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회전에 비례하여 임팩트 순간에 느껴지는 종방향 힘이 크고, 배트를 잡는 손이 느끼는 부담이 커지는게
기계과에서 배웠던 내용과 부합합니다(...)
CONTAXS2
근데 중계진이 말할때는

선동렬선수의 공은 같은 속도라도 회전이 덜걸려서 무겁거든요?
근데 한희민선수는 회전이 빨라서 맞으면 잘 날라가요.

라고 했던 것 같아서요.

잘 모르겠습니다. 허구라 하구라가 한 소리들이라 구라일 수도...
켈로그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배웠던 동역학 내용에 얼추 대입해보면,

타격이든 캐치든 임팩트를 순간으로 받아들이지만, 실제로는 일정 시간(=델타 t ㅋㅋ)이 소요되는데
진동이나 회전이 원래의 스윙이나 캐치의 궤적을 흐트러뜨리는 경향이 더 강하고,
원래의 궤적을 유지하는데 드는 힘을 더 요구한다고 보면 일견 말이 된다고 생각은... 해요. 생각은.

회전이 덜 걸려서 공의 운동궤적 자체가 변형된다... 라는 의미에서 한 말이라면,
정확한 임팩트가 잘 안된다는 의미에서 맞는 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렵네요 ㅋㅋ
[글쓴이]
냉정하게 말해서 그런 해설들은 그냥 한 귀로 듣고 그렇구나 ... 하고 흘리시는 게 좋습니다 하하...
사나남편
이민호는 뭐가 문제 입니까?? 투구폼은 괜찮았던거 같은데 왜 그렇게 털리는 겁니까?
[글쓴이]
이민호 선수가 맞는 장면을 챙겨보진 못해서 모르겠지만, 투구폼을 잠깐 살펴보니, 스윙에서 종적인(아래로) 감이 굉장히 강하네요. 물론 이는 힘을 빡 줘서 던진다는 느낌은 있겠으나, 어디까지나 팔스윙은 횡적인 변화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팔의 각도가 올라간다는 건 단지 팔을 올리는 게 아니라, 허리를 꺾어주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언더핸드 투수들도 팔을 그냥 내리는 게 아니라, 허리를 꺾어 전반적인 각도를 내린 상태에서 횡적인 스윙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옆구리 부상이 잦은 것이구요. 저런 각도로 눌러주게 되면 공이 쉽게 뜰 '수... 더 보기
이민호 선수가 맞는 장면을 챙겨보진 못해서 모르겠지만, 투구폼을 잠깐 살펴보니, 스윙에서 종적인(아래로) 감이 굉장히 강하네요. 물론 이는 힘을 빡 줘서 던진다는 느낌은 있겠으나, 어디까지나 팔스윙은 횡적인 변화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팔의 각도가 올라간다는 건 단지 팔을 올리는 게 아니라, 허리를 꺾어주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언더핸드 투수들도 팔을 그냥 내리는 게 아니라, 허리를 꺾어 전반적인 각도를 내린 상태에서 횡적인 스윙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옆구리 부상이 잦은 것이구요. 저런 각도로 눌러주게 되면 공이 쉽게 뜰 '수 있고', 힘의 전달이 제대로 안 될 '수도' 있습니다. 힘에 비해 다소 엎어지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그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성적과 구위가 정비례하는 것도 아니고, 워낙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부진의 이유를 하나로 찝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ㅠㅠ
사나남편
제가 최근에 야구 보는걸 접어서 그런데 2015년까진 투구폼이 진짜 깨끗했거든요...구속도 150넘게 나오고 했는데 발표가 없어서요
[글쓴이]
하하 저도 궁금합니다 ... 모든 투수의 약점을 파악할 수 있다면 메이저리그 전력분석원을 할 텐데요 ㅠㅠ
공을 채지 못하고 그냥 밀어서 던져서 멀리 가지도 않고 공에 힘도 없습니다. 이걸 습득하는 방법은 머가 있을까요.
[글쓴이]
직접 교정을 받지 않고 투구폼을 고치기는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다들 쉐도우피칭을 추천들 하시지만 ... 냉정하게 말해 안되는 사람이 쉐도우 맨날 한다고 갑자기 되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직접 코칭을 받거나 영상을 통해 교정 받는게 빠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ㅠㅠ
대학동아리 야구 투수 재밌게 하다가 어깨가 나갔습니다. 다치고나니 coacking부터 release까지 이어질 때 앞쪽 인대가 못 받쳐줘서 팔을 앞으로 가지고 나오지 못하겠더라고요. 늦게서야 투구폼 교정도 받아봤는데, 아 일찍 폼을 교정해둘걸 하고 아쉬움만 남았습니다.
아무튼, 학생야구를 하셨던건가요?? 좋아하는 구종은 무엇인가요?
[글쓴이]
말씀해주신 코킹(cocking), 다른 말로는 백스윙이라고도 합니다만 아주 중요합니다. 아마추어 야구에서 투수를 딱 한 가지 기준으로 나눈다면, 이게 되는 사람과 안되는 사람 둘로 나눕니다 저는. 제가 투구 영상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절대로 어떤 확언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만은, 심각한 통증이 수반되지 않고 그냥 앞으로 나오지 못하는 것은, 인대가 받쳐주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그냥 자세 자체가 안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인대의 문제가 아니라 그 전 과정에서 제대로 된 팔 스윙을 할 수 있는 자세가 성립되지 않은 것이지요... 더 보기
말씀해주신 코킹(cocking), 다른 말로는 백스윙이라고도 합니다만 아주 중요합니다. 아마추어 야구에서 투수를 딱 한 가지 기준으로 나눈다면, 이게 되는 사람과 안되는 사람 둘로 나눕니다 저는. 제가 투구 영상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절대로 어떤 확언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만은, 심각한 통증이 수반되지 않고 그냥 앞으로 나오지 못하는 것은, 인대가 받쳐주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그냥 자세 자체가 안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인대의 문제가 아니라 그 전 과정에서 제대로 된 팔 스윙을 할 수 있는 자세가 성립되지 않은 것이지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구종은 커터입니다. 흔히들 직구와 슬라이더의 중간쯤이라고 하는데 (사실 현대야구에서는 워낙 세밀한 움직임의 종류가 많아 구종의 구분이 점점 무의미해지긴 합니다.) 투구폼이 제대로 되었다는 전제 하에, 커터는 아마추어 야구에서 굉장히 치기 어렵습니다. 타자들의 배팅 스킬의 수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에 비해 꺾이는 포인트가 늦은 커터는 그 움직임을 못보는 타자도 있습니다. (물론 이 정도 구사하면 다른 걸 던져도 잘 던지는 투수긴 합니다만) 손승락 선수의 커터나, 윤석민 선수의 고속 슬라이더도 그립과 스윙을 보면 커터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저는 처음엔 공이 채는 맛도 있고 나쁘지 않았는데 서서히 망했습니다. 몸 잘 안풀고 ㅠ 스냅용 공 던지는 미친짓도 몇번하고.. ㅠ 어느순간부터 위에 말한 증상이 느껴지고 구속이 떨어지고 회복이 느려지더라구요. 지금은 조금 던지면 어깨가 얼얼해서 못던집니다. 레슨받을 때도 코치님이 잘 봐주셔서 폼은 이쁘게 잡았었는데, 결국은 못 돌아왔습니다. 몇년 재밌게 했어서 더더욱 시작할 때부터 레슨받을 걸 그랬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일반인이 120km를 던질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글쓴이]
그냥 ... 건장한 성인 남성 기준으로 120km의 공을 던지는 데 어떤 특별한 피지컬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물론 피지컬이 좋을 수록 쉬운 것은 당엽합니다만 ... 그냥 힘 쓰는법을 알면 됩니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자세가 올바르면 되는 것이지요. ㅎㅎ 너무 진부한 이야기 같지만 ... 그게 다 입니다. 마치 노래의 '고음'처럼 사람들은 공을 잘 던지는 걸 어렵게 생각하지만, 저는 그거나 이거나 그냥 아느냐 모르느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래서 그 공을 어떻게 올바르게 던지냐... 물으신다면 이런 댓글 하나만으로 설명드리기에는 너무나 어렵다고 답변드릴 수밖에 없겠네요 ㅠㅠ
켈로그김
투구 전후로 튜빙밴드로 스트래칭을 할 때, 어느정도 부하를 걸리게 하는게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글쓴이]
개인의 근력과 유연성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만, 말 그대로 '스트레칭'이라는 점에 포인트를 맞춰야할 것 같습니다. 근육이나 관절에서 기분 좋은 저항감이 느껴질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스트레칭을 할 때 특별히 어느정도의 강도가 필요하다고 말해본 적은 없습니다만, 투구 전 튜빙으로 스트레칭을 한 후에도 연습 투구를 어느 정도 하게 될테니 굳이 강한 힘으로 웜업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투구 이후에는 더더욱 그렇구요.
기아 한승혁은 그런 투구폼을 고집해도 되는걸까요... 맨날 기대 했다가 제구 안되서 실망하게 되는데...
물론 150 넘게 던지는 투구폼을 크게 수정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
[글쓴이]
사실 제가 직접 눈으로 옆에서 본 것도 아니고 ... 그렇다고 분석용 슬로우 비디오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조심스럽습니다만 ㅠ 폼 좋습니다. 공의 힘으로만 보면 가진 힘을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팔스윙과 스냅도 아주 밸런스가 좋은 것 같습니다. 다만 구위를 의식하다보니 허리 회전의 힘을 극대화 시키려(빠른 속도의 회전을 위해) 앞으로 살짝 쏠려서 열려있지않나 싶습니다. 물론 저의 사견일 뿐입니다 ㅎㅎ
바코•드
만약 처음 투수를 배우는 사람에게 빠른 공을 가르쳐야 한다면 무슨 구종으로 가르칠 생각이십니까?
[글쓴이]
'구종'을 물으신다면 빠른 공은 당연히 속구아닐까요? 뭐 영어로 하면 속구고 보통은 직구라고 합니다만, 어쨌든 그렇습니다. 빠른 공을 굳이 세밀하게 분류해보자면, 커터 싱커 (컷 패스트볼, 싱킹 패스트볼과 같은 분류라고 했을 때) 포심 투심 정도겠습니다만 ... 냉정하게 말해서 아마추어 야구에서 싱커나 투심같은 역회전성 공을 던지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일단 회전수가 안나오기 때문에 ...
바코•드
아... 제가 애매하게 말씀드렸군요 ㅋㅋㅋ 패스트볼 종류 중 하나를 골라달라고 했던게 제 의도였습니다. 어느 정도 답을 말씀해주신 것 같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6 한의사입니다. 49 [익명] 18/01/06 7739 1
311 약사회 공식 개진상 + 배짱영업 자영업자입니다. 49 켈로그김 16/09/20 7729 1
590 과학기기 영업사원 입니다. 38 [익명] 17/04/12 7711 0
454 고등학교 때부터 지금까지 쭉 여초 환경에서 살아온 사람입니다. 질문받습니다 34 [익명] 17/01/12 7706 0
1192 군생활 꿀빨았습니다.(미침) 질문받읍니다. 34 삼성그룹 18/12/06 7703 0
1221 대기업 사내변호사입니다. 53 [익명] 19/01/10 7695 0
1205 1학년 마친 로스쿨생입니다. 42 [익명] 18/12/16 7691 0
113 미서해안 캠핑, 질문 받습니다. 38 눈부심 15/11/16 7685 3
64 프랑스에 있는 성악가 혹은 성악도입니다. 27 찬양자 15/10/26 7680 0
788 화장하는 남자입니다. 27 스스흐 17/11/30 7674 1
166 탈모약 복용 6년차입니당~ 20 [익명] 16/01/19 7669 0
886 성폭력 무고 당해봤습니다. 18 [익명] 18/03/14 7655 8
325 신조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65 범준 16/10/09 7655 0
492 일드 약 600편 가량 봤습니다. 질문 받습니다. 38 classic 17/02/06 7653 1
825 수학을 잘했습니다. 54 [익명] 18/01/03 7647 3
806 게임에서 만나 결혼했습니다. 37 HanaBi 17/12/18 7610 1
172 네이버 다닙니다. 질문 받습니다. 55 [익명] 16/01/22 7609 0
176 예비군부대 동원병 전역자입니다. 22 [익명] 16/01/28 7593 0
1167 질문 받습니다 155 레지엔 18/11/21 7588 0
184 방산회사 R/D 직군입니다. 7년 되었네요. 17 [익명] 16/02/21 7585 0
591 철권 하드 게이머입니다. 질문 받습니다. 36 [익명] 17/04/13 7578 0
109 스팀 게임이 300개입니다. 13 몰아치는간지폭풍 15/11/12 7576 0
257 부부사이에 존칭을 씁니다. 49 마녀 16/06/27 7569 0
168 7수만에 대학교 입학합니다. 40 [익명] 16/01/20 7569 0
69 안녕하세요, 캡틴 아메리카입니다. 30 캡틴아메리카 15/10/26 755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