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
-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6/12/13 13:38:52
Name   phekha
Subject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가입인사 이후 첫글을 뭐로 써야할지 몰라서 물결에 동참합니다.

뭐든지 성심성의껏 답변할게요.

간단히 자기소개를 하자면

졸업예정 진성문돌이 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phekha님의 최근 게시물


먼저 축하드립니다!!

취직에 성공한 비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감사합니다!! 운이 좋았던것 같아요.
딴짓을 좀 많이 했어서 전 학기까지 뭘 준비해야할지 몰랐는데, 등록금 벌자고 시작한 인턴 과정에서
준비해야 할게 뭔지, 해당 직무가 어떤 일들을 하는지,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면접 볼때 문제가 있었으니 고치라는 등 많은걸 알려주셨었어요.
퇴근하고 나면 공부하라고 팀장님이 항상 닦달하셨구....ㅋㅋ
덕분에 다른 기업 준비하는데도 많이 도움이 됐고, 인턴을 했던데서도 좋은 결과를 받았네요
문과 취업 힘들텐데 우선 축하드려요!!
본인이 생각하기에 취업에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으앙 폰으로 타자치는 사이에 푸틴님이 위에 똑같은 질문을 ㅜㅜ
음 그럼 아직 취준생이신 분들을 위해 팁을 주신다면??
감사합니다! 일단 위에 말씀드린것처럼 운이 너무 좋았던것같아요.
팁이라면, 원하는 직무를 고정시켜놓고 거기에 맞는 역량을 우선적으로 개발하는게 좋은것같아요.
하나의 직무에 계속 집중하다보니 상대적으로 PT면접, 토론면접에서 유리하게 했던것 같습니다.
그 외에는 인턴을 하라는거? 아는거랑 해보는건 실제로 많이 다르기도 하고, 인턴 경력 없으면 면접에서 무슨 말을 할 수 있었을까 싶더라구요.
축하드려요!!
첫 월급 계획은 어떤가요?
부모님한테 용돈이요!! 너무 드리고싶었어요.
또 제가 이 나이가 되도록(26) 학교에 들러붙어있느라....선배들이 밥과 술을 많이 사주셨었는데 하나하나 얼른 보은을 해야겠네요....
도라에몽
반갑습니다 진성 문돌이님.

근데 진성 문돌이 이시면 무슨 과이시죠??

참고로 전 사학과입니다 :D
교육학과 국어국문을 전공하고 있습니다ㅎㅎ. 개인적으로 문사철 분야를 매우 좋아합니다. 교육학도 얕긴 하지만 사학, 철학을 모두 훑을 수 있어서 선택했구요
디딩거
좋은 일이군요 축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살만합니다
오 취업 축하드립니다~ 저는 요즘 이직 뽐뿌가 오네요..
아 이건 질문이 아니지.. 취업활동은 얼마나 하셨나요
ㅠㅠ이직...저에겐 너무나도 먼...
신입 공채 도전은 이번이 첫 취준이었습니다. 상반기에는 졸업을 못해서 하계인턴만 3개정도 썼었구요.
tannenbaum
연봉 얼아에용?
앞자리만 공개하실 수 있나욤. 곤란하시면 사푼히 패스 하셔도 됩니당.
음...아직 입사하질 않아서 정확히는 저도 모르겠어요 ㅠㅠ
인터넷에 초봉 뒤져보면 2014년 기준으로는 5라고 기사에서 뜨고, 크레딧잡에서 찾아보면 4로 나오네요...
푸른하늘
현차 아니면 기아차 or 관련 계열사 중 하나겠네요..ㄷㄷ
ㅎㅎㅎ네 소위 말하는 mk리더십을 배우러... 다만 완성차는 아니에요
Dr.Pepper
취업은 어떤 분야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저도 진성문돌이지만, 취업은 IT쪽으로 했어서^^;;
전 학과에 맞춰서(?) 기업 교육직무로 취업했어요. 회사 자체는 자동차쪽이구요.
Dr.Pepper
HRD로 가신거죠?
취업하기 힘든 분야인데, 정말 축하드립니다.
네 맞아요. 감사합니다!
닉네임은 무슨 뜻이신가요?
북두칠성에 3번째 별에서 따왔어요. 군대있을때 만든 아이디인데 확 잘하지는 말고 그래도 중간보다는 잘하자는 유치한 이유로....ㅎㅎㅎ 유격장에서 북두칠성 보다가 만들어냈습니다.
시대정신
HRD직무에선 어떤 경험이나 경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도 시작하는 입장이라 제 의견을 말씀드리긴 좀 그런것같구...선배들 알아보며 들은걸로만 말씀드릴게요.
관련 경험은 거의 없어서 인턴 경력의 가치가 크다고 합니다. 그리고 교육의 경우 직무 교육뿐만 아니라 사내 문화 개선을 담당하는 경우도 많기에 동아리에서의 활동, 개선 경험을 잘 살릴 수 있으면 좋을거라고 했었어요. 그리고 임용고시가 힘들어서 도망온거 아니냐는 편견이 있을 수 있다고 하여서, 사람에 따라 교생실습 경험은 좋지 않게 보는 경우도 있대요.
시대정신
그렇군요! 해주신 답변이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례가 안 된다면 phekha님께서는 어디서 어떤 직무의 인턴경험을 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저는 언론사에서 포럼행사 인턴으로 근무했던 경험이 있는데, 교육운영 업무를 보았던지라 HRD직무에서는 큰 메리트가 없을 것 같네요!
전 대기업 계열사의 교육팀에서 근무했었어요! 교육 기획과 운영업무였고, 실제로는 거의 2달 내내 직무에 대해 교육만 받았구요...ㅎㅎ 인사, 교육쪽이 원래 인턴을 엄청 안뽑는 편이어서 제가 생각하기엔 그정도도 큰 메리트일것 같아요. 실제로 면접볼때 교육팀 인턴 경험을 가진 사람은 7개 면접보면서 6명인가?밖에 못만났어요.
경제학 전공자가 HRD직무에 가는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HRD직무에 경쟁력을 갖춘 신입지원자가 되려면 앞서 언급하신 인턴경험이외에 쌓을만한 정량적 스펙은 어떤게 있을까요?
경제학과가 더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육도 경영지원에 속하는 만큼, 기업 경영 의사 결정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경제학이 크게 도움이 될것같아요. 실제로 HRD쪽엔 교육학 전공보다 상경계가 많은것 같구요. 다만...흥미가 크게 있지 않은 이상 다른 직무로 선택하라고 하고싶네요ㅋㅋㅋ문이 굉장히 좁아서...정량적 스펙은 다른 문과 직무랑 유사합니다. 근무할 때 들은걸로는 엑셀 다룰일이 많기에 기왕이면 컴활1급 가진사람 뽑겠다는거 정도고...외국어 역시 가능한 높은 점수를 받는게 좋을것같아요. 전 토익점수가 개차반이라 교육직 떴는데도 못넣은데가 꽤 돼서....많은 회사들이 높은 기준이나, 외국어 능통자 우대 등을 교육직에 걸어놓더라구요. 모기업은 대놓고 제2외국어 능통까지 요구하기도 했었어요.
감사합니다. 컴활은 보통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라고 많이하는데 문과직무에서 필수군요 HRD는..
HRM과 달리 HRD는 자격증을 찾기가 힘들더라고요
네 교육직무는 특별한 자격증이 없어서...직무 관련 역량을 보여줄게 너무 없어요...ㅠㅠ
인디게이머
취직이 왜 성공이고 기뻐해야 하는 일인가요? 크고 좋은 기업인가요?
성공(成功) : 「명사」목적하는 바를 이룸. 이니까요? 일단은 제가 원하는 CDP를 밟아가기 위한 첫 발을 내딛은 점에서, 비록 작고 근시안적이라도 저에겐 당면한 목적이었고 성공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ㅎㅎ
음...노파심에 첨언하자면 취업이라는 단기적 목표를 이뤘다는 뜻이지 취업을 한거 자체를 인생에 있어서 성공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당. 혹시 그거에 관한 질문인가 해서요. 일단의 목표를 이뤘다는 점에서 전 일단 기쁘긴 하구요. 크고 좋은 기업인지에 대해서는 그 기준이 어떤지 몰라서 답해드리기 어렵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93 추남입니다 59 [익명] 21/04/22 4308 0
167 축구 800경기 보유중입니다. 14 Raute 16/01/20 8160 0
1689 축구 좋아하는 미국주립대학 통계학과 교수입니다. 78 베이지안 20/09/25 8996 1
1686 축구, 와우 덕후 입니다 32 [익명] 20/09/21 3037 0
2214 출근한 칡임니다. 암모니아 물어봐주세요 41 24/10/01 1760 0
428 출산 및 이후 신체변화에 대한 질문 받습니다[약혐주의] 19 [익명] 16/12/27 6205 2
1305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합니다. 26 [익명] 19/04/12 5410 0
2178 취미 부자입니다 51 퍼그 24/04/16 3321 1
102 취미 사진가 *alchemist* 입니다 @_@; 31 *alchemist* 15/11/08 6595 0
1361 취미가 음식덕질입니다. 51 고로 19/07/05 4749 2
1611 취미로 베이킹+게임 하는 대학원생입니다 71 Velma Kelly 20/05/12 4993 0
452 취미로 비보잉을 배우고 있습니다. 질문 받습니다. 14 Rosinante 17/01/12 5370 0
1339 취미로 사주공부 3년차입니다 28 씽규 19/06/10 5766 0
1421 취미로 요리를 하고 있습니다. 50 [익명] 19/09/10 4044 0
1400 취미로 점을 봅니다 18 푸는노란색 19/08/16 3995 0
1080 취미로 하던 보드게임이 부업이 되었습니다 56 알탈 18/09/15 6516 1
2089 취미생활(클라이밍, 베이킹, 게임, 육아) AMA 받읍니다. 31 쉬군 23/03/23 2327 0
362 취미생활이 여러가지가 있는... 18 [익명] 16/11/15 5276 0
1303 취업 확정된 박사과정 학생입니다 48 [익명] 19/04/12 4032 0
1269 취업시즌인듯 하여 올려보는, 취준생을 위한 AMA 23 SCV 19/02/18 5751 4
1368 취업에 대해 쬐금 압니다. 39 [익명] 19/07/19 5459 0
404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33 phekha 16/12/13 5271 0
2193 취업했습니다 19 kaestro 24/06/05 2081 7
1188 취준 실패 기념 AMA 20 [익명] 18/12/05 4665 0
385 취준전탈자입니다. 무물받습니다 46 [익명] 16/12/10 608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