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9/01/13 21:33:34
Name   [익명]
Subject   현재 연구소 전문연구요원 재직 중입니다.
석사 마치고 현재 전문연구요원으로 재직 중입니다.

슬슬 복무가 얼마 남지 않은 기념으로 예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AMA 올립니당 ㅋㅋ

아무래도 전문연 하는 분들이 대부분 대학원생이라, 연구소 생활에 관해서 얘기해드릴 것이 있을 것 같네용 후후

물론 제 경험에 국한한 이야기니 걸러서 들어주세요!



0


세란마구리
랩생활 하면서 평균적으로 출퇴근은 몇 시쯤 이루어지나요?
[글쓴이]
9 to 6 꼬박꼬박 지키고 있습니다. 근데 이거는 랩마다 차이가 있어요. 옆팀의 다른 병특은 자발적으로 야근 10시까지 때리면서 일하고 그럽니다.
물론 야근 압박은 대학원보다 훨씬 덜합니다. 활용책임자여도 지도교수처럼 맘대로 절 자르지는 못하거든요.
세란마구리
외려 전문연은 잘 못하다간 병으로 끌려갈 수 있기에 교수의 노예가 되어야 하고 갑질도 많이 당한다고 하소연 많이 들었는데, 좋은 분위기인 것 같아 다행입니다.
[글쓴이]
지금 만난 팀이 좋은 것도 한몫 했지요 흐흐
아무래도 주변에 군대때문에 대학원에서 박사까지 매여있는 친구들이 많아서 안좋은 케이스를 많이 봅니다. 실제로 제 동기 중에서도 대학원 전문연 중에 탈주하고 입대한 케이스도 있구요. 근데 그 친구 이야기 들어봤을 때, 탈주하는게 낫긴 했습니다.
전문연구원이라는 위치가 스스로 목표를 정해서 결과를내야하는 자리인가요??
[글쓴이]
아니요, 기본적으로 회사의 석사급 신입과 위치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박사급 연구원 또는 선임이 목표를 제시하고(주로 과제 목표) 그 아래에서 실무를 진행하는 꼴입니다.
그러니, 실제로 대학원생의 연구 노동과 결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사실상 교수 대신 선임 박사가 있는 것이지요.
별다섯그랑호텔
축하드립니다. 이후 진로는 어떻게 하시나요? 박사하시나요??
[글쓴이]
감사합니다 :) 대학원 뛰쳐나올 때는 연구는 쳐다도 보기 싫을거 같았는데, 막상 여기서 일하면서 욕심이 생겼습니다. 해외에서 박사 학위 하고 싶네요 흐흐.. 그래서 일단은 남은 기간동안 내실 & 실적을 잘 다져야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쁨평안
어느쪽을 연구하시나요? 궁금해서 ㅎㅎ
[글쓴이]
온실가스 저감 관련 기초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ㅎㅎ 쉽게 말하면 이산화탄소를 다른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입니다.
배바지
CCS 관련인가요?...
[글쓴이]
CCU 관련입니다 ㅋㅋ
April_fool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것도 여러 갈래가 있는 것 같던데, 대략 어떤 분야인가요? 그리고, 연구하시는 기술이 상용화되는 것은 대략 언제쯤이 될까요?
크게 나누자면 CCU 관련 기술은 화학적 반응, 광반응, 전기화학적 반응, 광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전환이 있구요, 그 중에서 저는 전기화학적 CCU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전환하는 연구입니다. 보통 생성물은 일산화탄소, 개미산, 초산, 메테인, 에틸렌 등입니다.

그래서 지금의 상황은 생성물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촉매를 찾는 것이 가장 우선입니다. 현재 알려진 촉매들로는 CO와 개미산은 높은 선택성으로 만들 수 있지만, 다른 물질들은 아직 요원하거든요. 선택성이 높... 더 보기
크게 나누자면 CCU 관련 기술은 화학적 반응, 광반응, 전기화학적 반응, 광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전환이 있구요, 그 중에서 저는 전기화학적 CCU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전환하는 연구입니다. 보통 생성물은 일산화탄소, 개미산, 초산, 메테인, 에틸렌 등입니다.

그래서 지금의 상황은 생성물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촉매를 찾는 것이 가장 우선입니다. 현재 알려진 촉매들로는 CO와 개미산은 높은 선택성으로 만들 수 있지만, 다른 물질들은 아직 요원하거든요. 선택성이 높고, 내구성이 받쳐주는 촉매를 찾으면 그 이후는 기존의 연료전지나 전해반응기의 구조를 빌려올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케일업에는 유리합니다.

언제 상용화 될지는.. 사실 기술의 성숙도 있지만 세계적인 + 정부 차원의 저탄소 기조 및 압박이 더 크리티컬한 것 같습니다. 기업 입장에서 탄소 저감을 위한 연구 개발에 투자하는 것이 더 싸게먹힌다는 인식이 먹혀야 돈이 들어오고 그래야 상용화가 빨라지지 않나 싶습니다. (그런데 트럼프가 깽판을... 부들부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일부 화력 발전소에서 플랜트 규모로 개미산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April_fool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결국에는 촉매 기술이 핵심이로군요.
배워보자
CCU라니 몰랐던 분야네요. 온실가스
가 문제되는 시대에 딱 맞을 듯 한데 연구가 시작된 지 오래된 분야인가요?
[글쓴이]
이산화탄소를 반응물로 이용한 연구는 이전부터 있어왔는데, CCU라는 이름으로 묶여서 주목받기 시작한건 근래의 일입니다. 각 분야에서 파편적으로 진행되던 연구들이,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목적으로 묶인거지요.
온실가스가 문제가 되는 시대이기때문에, 이런 연구들이 주목받게 되었다고 보시는 것이 순서상 맞을 듯 합니다.
전문연 끝나면 계획이 어떻게 되시나요?
기존 연구소에 계속 다니실 예정이신가요. 새로운 잡을 찾으실건가요? 아니면 박사를?
[글쓴이]
지금 연구분야를 살려서 박사 하고 싶습니다. 석사때보다 훨씬 재미있게 하고 있어서요 ㅋㅋ 다만 해외로 나가지 못할거라면 학위를 아예 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기후변화쪽 업무(적응) 하고 있습니다
아이디어좀 주세요
1
DogSound-_-*
1.5도 특별보고서 번역본좀 주세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 현직 과일 판매원입니다 33 술먹으면동네개 15/10/21 10268 0
2005 현직 고등학교 교사입니다. 48 [익명] 22/07/09 4394 0
90 현직 경제학 박사..입니다.. 63 낭만토토로 15/10/30 13871 0
14 현직 게임 서버 개발자입니다. 질문 받습니다. 22 MagnaDea 15/10/21 10278 0
1158 현직 개발자 및 취미로 음악하는 사람입니다. 31 레삐 18/11/18 6020 0
625 현직 AI 개발자 입니다. 39 [익명] 17/06/12 37189 0
241 현직 8년차 연구원입니다. 7 [익명] 16/06/10 4961 0
1819 현지전역 40일 남았습니다 30 [익명] 21/05/25 3426 0
307 현재 타이페이입니다 33 바밥밥바 16/09/12 5776 0
1225 현재 연구소 전문연구요원 재직 중입니다. 21 [익명] 19/01/13 4149 0
2218 현재 승심당입니다. 27 dolmusa 24/10/17 1635 1
1586 현재 멕시코에서 살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18 [익명] 20/03/28 3936 0
99 현역 쌍둥이 애빕니다 41 기아트윈스 15/11/06 7012 2
1271 현역 공군입니다 군생활 질문 받습니다 57 실 성 19/02/19 10061 0
29 현 기후변화대응연구기관 연구원 전 컨설턴트 입니다. 34 김피곤씨 15/10/22 8398 0
948 헬지 사용 10년쯤 되는 호갱님입니다. 20 [익명] 18/05/18 5543 0
1187 헬스) 언더아머 단속반 신입이었습니다.. 16 [익명] 18/12/04 5213 0
929 헬스 관련 질문 받습니다. 70 [익명] 18/04/28 6766 0
225 헤지펀드 매니저입니다 20 [익명] 16/05/22 10408 0
870 헤어졌어요 24 [익명] 18/02/18 6099 0
1059 헤어졌어요 11 [익명] 18/08/18 4535 0
970 헤어졌습니다. 질문받습니다. 36 [익명] 18/05/24 5457 0
1087 헤어졌습니다. 질문받습니다. 20 [익명] 18/09/18 4613 0
372 헌팅에 대해 궁금하신분 있나요? 33 [익명] 16/11/18 8579 0
1251 향료 산업 관련자입니다. AMA 시작합니다. 69 化神 19/02/08 6057 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