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8/11/08 10:26:41
Name   가렌
Subject   캐나다, 미국 이중국적입니다.
31살 남자.
캐나다 미국 이중국적입니다.
질문 많이 해주세요!



0


Cascade
저스틴 비버는 어디로 가야 옳습니까?
16
미국이요....
Erzenico
어디 사세요?
작년에 업무로 인해 한국 들어왔습니다. 당분간 한국에서 거주할것같네요..
Erzenico
히익 혹시 삼중국적이세요?
아뇨... 한국 국적은 없습니다... 워킹비자 비스무리하게 한국에서 1년째 거주중입니다.
Erzenico
아하 ㅎㅎ 그러셨군요
사나남편
개부럽...결혼하셨나요?
미혼입니다.. 솔로에요 ㅠ
배우자감으로 인종이나 국적이 이랬으면 좋겠다 싶은 조건이 있으신가요?
국적은 상관없고요... 인종은 동양인을 선호하지만 마음이 맞는다면 흑인만 아니면 괜찮을것 같습니다..
네. 고맙습니다. 어떤 분들은 미국에서 계속 지낼 것을 전제로
사업을 같이 봐주고 아이와 커뮤니티 생활을 잘할 수 있는,
네이티브만큼 영어잘하는 한인을 원하시더라구요.
사나남편
예전부터 궁금했읍니다. 보통 이민 1~1.5세대들은 이민갔을때의 한국 가치관을 가지고 보통 산다고 하더라고요. 실재로 본사람들도 엄청 가부장적이고 올드패션했는데요. 본인은 어떤 편입니까? 이성이나 가정관이 미국식입니까? 아니면 올드 한국식입니까? 어떻습니까?
저는 서구권에 가깝습니다. 원래는 "나는 그래도 한국 가치관에 가깝지"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실제로 지난 1년 한국에 들어와서 생활해보니, 확실히 제 가치관이랑은 많이 다르다는걸 느꼈네요...

언어는 한국어가 훨씬 편하지만, 기치관은 서구권이랑 더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각 국적 취득 경위가 어떻게 되시나요? 본업은 어디에서?
미국에서 출생. 6살까지 있다가 한국귀국.. 한국에서 중학교 졸업하고 캐나다에서 13년 거주 이후 시민권 취득 입니다.
1
한국 국적 없어도 한국에 장기 거주하는데는 문제 없나요?
1년마다 비자갱신해야합니다.. 회사에서 해주긴 합니다.
수박이
두 유 노 지성 팍?
2
예스 아이 노
트리플헤더
하키 좋아하세요?? 아니면 좋아하시는 다른 스포츠는??
고등학교 필수과목이어서 해본적은 있지만... 스포츠랑은 거리가 멉니다 ㅠㅠ
무더니
가렌하십니까?
마이합니다 ㅠ
무더니
여기서 마이는 많이입니까
아니면 배신입니까
엄...... 배신이라면 배신이겠네요... 미드마이 정글마이 탑마이 바텀마이 합니다..
보이차
아...?
2032.03.26(R)
신고하겠읍니딘
3
2막4장
캐나다 사람들이 촌사람 이미지가 있던데
실제 그런가요?
김씨네편의점의 렌터카 팀장같은 사람이요
한국에 비하면 확실히 촌느낌 납니다.. 사람들 마인드도 그렇고 인프라도 그렇고.
1
ㅌ이임 호올트은에서 무엇을 시켜먹으시나요?(참고로 오타는 아닙니다.)
더블더블이 진리죠.
캐나다 국적 인정해드립니다.ㅎㅎㅎ
1
Cánada의 형용사형이 Cánadan이 아니고 Canádian인 까닭이 무엇입니까? 어원이 알공킨 인디언어로 "마을"이라고 하니, Canádia라는 나라가 원래 없는데요.

América → Amerícian(×)
México → Mexícian(×)
Minnesóta → Minnesótian(×)
Ugánda → Ugándian(×)
Kénya → Kenyáian(×)
Téxas → Texásian(×)
CANada to CanADian
MICHigan to MichigANian
BOSton to BostONian
상기의 예시들처럼 액센트가 들어가는 syllable이 첫 syllable에서 두번째 혹은 마지막 syllable로 바뀔 경우 an대신 ian을 쓴다고 합니다..

아메리칸이나 멕시칸은 발음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액센트가 들어가는 음절이 바뀌지 읺네요.
그러면 Canadáian이 되어야 하겠군요.

만일 Cánad라는 나라라면 Canádian이 되겠지만...
위의 케이스처럼 엑센트 음절이 변화되면서 동시에 a로 끝나는 경우엔 a생략하고 -ian 이 아닐까 싶습니다.
Canadian
Argentinian
Andorian
Botswanian

방금 구글로 나라리스트 다 검색해봤는데 이게 맞는거 같네요.
영어 사전에서는
Argentina → Argentine, Argentinean, Argentinian
Andorra → Andorran
Botswana → Botswanan, Botswanian
입니다.
그렇네요... 더이상은 모르겠네요 ㅠㅠ 검색해도 안나오는군요..
황교익
How was your dating and sex life in both countries (Korea / Canada)? Do you think it's harder to get laid for Asian guy in general compared to white Caucasian men because we are emasculated and stereotyped into nerds and betas by negative representation in Hollywood? What would you advise a normal Korean guy in his early 30's for improving his dating game?
Kpop영향이 분명 큽니다. 물론 일반적인 백인여성들에게는 동양계 남성의 스테레오타입이 크게 변화된건 없지만, kpop팬들의 비율이 확실이 늘어나고있는 추세이기에 단순히 한국 남성이라는 이유로 호감을 가지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그렇기이 그런 타겟층을 공략한다면 오히려 한국보다 더 쉬울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20대 경험 기준입니다.

실제로 레스토랑에서 고객응대알바했을때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손님과 따로 만난적도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직장외의 사회생활이 전무하기에 비교하기 힘드네요..
황교익
Thanks for the answer and I agree with you! Personally, I have dated white girls from U.S / Netherlands and they also said similar things. Korea broke ground with the Kpop, and all Asians benefited from it, with other positive East Asian representation (John Cho in Columbus, Steve yeun in Walking dead etc)
2032.03.26(R)
근데 이중국적자는
세금 이중으로 떼나요?
한국에서 일하면 삼중?
선택으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미국에는 안내고 캐나다/한국 양쪽에 절반씩 내는걸로 알고있습니다만...

정확한 법률은 모르겠습니다. 미국에 세금낸적은 한번도 없네요.
세무회계연습
전 걍 한국어 원어민이라 이중언어 구사자들이 궁금합니다.
같은 사람에게 같은 내용을 말하더라도 영어와 한국어의 맛이 다르나요?
저도 영어는 학습하고 공부해서 배운 영어라.....
정확한 비교는 힘들것 같습니다.

하지만 확실한건 상대와 나 사이의 상하관계가 거의 없다는 것이 가장 크게 느껴집니다. 예를들어 같은 내용으로 상사에게 보고를 할때에도, 한국어로 보고를 할때에는 내가 평가받고 있는 느낌(?)이 들고 영어로 할때에는 단순 정보전달의 느낌이 듭니다.

상사를 예로 들었지만, 다른 일상에서 사용하는 대화도 마찬가지에요. 한국어는 확실히 언어 자체를 사용하면서 상대놔 나 사이의 계급이 느껴집니다.
3
세무회계연습
그렇군요, 말씀 고맙습니다.
부럽습니다.. 밴쿠버에서 워홀중인데 6개월 뒤면 돌아가야해요 흑... 영주권 따고싶어라 ㅠㅠ
지나가던선비
이중극점 아시나요?
3
염지봉선화가
영어가 영어 자체로 이해되시나요? 아니면 빠르게 한국어로 해석이 되는건가요?
3
2032.03.26(R)
꿈꿀때 어떤 언어로 꿈꾸세요?

그리고 평소에 일상생활하면서 어떤 언어로 생각하시나요?

가령 길가다가 뭐가 옆에 떨어지면 '아 깜짝이야' 뭐 이런다든지 하잖아요?

아니면 내가 있는 언어문화권에 따라 기어 갈듯 언어 갈면서 생각을 바꾼다든지....

제 2외국어는 커녕 한국어도 완벽하지 않아서 그런게 궁금하네요
데드풀과 아이언맨(혹은 캡틴) 어느 쪽을 선호하십니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71 친구가 단 한명도 없습니다. 50 [익명] 20/02/29 6558 0
1495 친구가 없어요 25 [익명] 19/11/19 3620 0
563 친구가 한 명도 없습니다. 30 [익명] 17/03/23 5187 0
1390 친구가 한명도 없습니다. 47 [익명] 19/08/06 7430 0
1209 칭찬갈구러의 아마 42 지금여기 18/12/22 5204 0
1764 카드의 모든것, 제 머리속에 있읍니다. 178 삼성그룹 21/02/14 8586 1
429 카이스트 학석박입니다. 질문 받습니다. 69 [익명] 16/12/27 11110 0
1461 카페가 너무 한가해서 질문 받습니다..결혼 6년차 유부입니다.. 55 swear 19/10/23 4628 2
46 칼바람 2000전 유저입니다. 26 한아 15/10/23 9178 0
1624 칼퇴기원 AMA 20 사슴도치 20/06/12 4449 1
23 캄보디아 거주 3년차 30살 직장인입니다. 질문받습니다. 18 파울 15/10/22 15043 0
1581 캐나다 군인입니다. 38 [익명] 20/03/23 6325 0
999 캐나다 사는 20대 후반 여자 입니다 ama 38 [익명] 18/06/23 6420 0
879 캐나다 생활 10년, 유학생활 15년차입니다. 30 [익명] 18/03/09 5450 0
2104 캐나다 이민 6년차 디자이너입니다 32 하늘보랑파랑 23/06/30 3029 0
1470 캐나다 이민 왔습니다 질문 받아요! 47 [익명] 19/11/02 4145 0
1145 캐나다, 미국 이중국적입니다. 52 가렌 18/11/08 6333 0
1166 캔맥주 마시며 AMA 37 [익명] 18/11/21 3640 0
1849 커뮤니티 생활 1N년차입니다. 33 [익명] 21/07/31 3386 0
2037 커버 댄스 160편 정도 촬영했읍니다. 54 메존일각 22/09/16 3684 2
1865 커버 댄스를 촬영합니다. 25 [익명] 21/09/02 3050 0
1730 커플인데 크리스마스를 홀로 보내고 있읍니다. 9 Velma Kelly 20/12/26 3621 0
1778 커피브랜드 만든지 8개월, 질문받습니다. 59 [익명] 21/03/17 4038 0
1636 커피원두 브랜드 런칭하고 딱 3주 지났습니다 73 소행성 20/07/17 4952 5
82 컴공 대학원생입니다. 16 JUFAFA 15/10/28 598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