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곳입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68oUVoq26Qk
전 이거 아닌거 같은데...
어느 한 국가가 독점한다고 해도, 심지어 중국이 독점해도 그 결과가 본국의 사상을 담은 LLM 답변으로 나오는 미래는 오지 않을거 같아요.
기술은 중립적으로 남아있을 것 같다는 생각...
하지만 딥시크는 꽤 자주 중국어로 답변을 주기도 하지...
흠...
ai 개발 욕하는 사람들에게, '찰떡 같은 비유'로 답답함 날려준 대통령!
전 이거 아닌거 같은데...
어느 한 국가가 독점한다고 해도, 심지어 중국이 독점해도 그 결과가 본국의 사상을 담은 LLM 답변으로 나오는 미래는 오지 않을거 같아요.
기술은 중립적으로 남아있을 것 같다는 생각...
하지만 딥시크는 꽤 자주 중국어로 답변을 주기도 하지...
흠...
1
풀영상은 안봐서 모르겠는데 이 쇼츠 영상내용만 보자면 협회장의 발언은 좀 이해가 가지 않네요. 특정 LLM의 답변에 특정 국가의 사상이 적극적으로 반영된다고 하면 그 답변에 대한 객관적(뭐가 객관적이고 뭐가 객관적이 아닌지에 대한 기준부터 세워져야 하겠습니다만)검증이 필요한 부분이지, 그게 LLM 독점의 폐해라고는 생각되지 않거든요. 오히려 특정 국가의 사상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LLM이 있다고 한들 결국가서는 그 LLM은 국제표준에서 도태될 거라고 봅니다. 그게 국제표준에서 도태되지 않는다면 그건 특정국가의 사상이 아니라는 반증이... 더 보기
풀영상은 안봐서 모르겠는데 이 쇼츠 영상내용만 보자면 협회장의 발언은 좀 이해가 가지 않네요. 특정 LLM의 답변에 특정 국가의 사상이 적극적으로 반영된다고 하면 그 답변에 대한 객관적(뭐가 객관적이고 뭐가 객관적이 아닌지에 대한 기준부터 세워져야 하겠습니다만)검증이 필요한 부분이지, 그게 LLM 독점의 폐해라고는 생각되지 않거든요. 오히려 특정 국가의 사상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LLM이 있다고 한들 결국가서는 그 LLM은 국제표준에서 도태될 거라고 봅니다. 그게 국제표준에서 도태되지 않는다면 그건 특정국가의 사상이 아니라는 반증이 될거구요.
그것보다는 오히려 나중에 덧붙인 이재명 대통령의 식량안보 비유가 더욱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먼 미래에 국가간에 각기 보유한 LLM의 기술력이 차이가 크게 나게됨에 따라 LLM을 공개해서 얻는 이득보다 LLM을 독점해서 가지는 이득이 더 크게 되는 시대가 왔을 때를 대비하려면 자체 LLM 개발 및 기술력 확보를 반드시 해야겠지요. 식량안보도 마찬가지로 식량 공급국이 수출해서 얻는 이득보다 식량을 독점해서 얻는 이득이 더 커지게 되었을 때를 대비하는 차원이 아니겠습니까?
그것보다는 오히려 나중에 덧붙인 이재명 대통령의 식량안보 비유가 더욱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먼 미래에 국가간에 각기 보유한 LLM의 기술력이 차이가 크게 나게됨에 따라 LLM을 공개해서 얻는 이득보다 LLM을 독점해서 가지는 이득이 더 크게 되는 시대가 왔을 때를 대비하려면 자체 LLM 개발 및 기술력 확보를 반드시 해야겠지요. 식량안보도 마찬가지로 식량 공급국이 수출해서 얻는 이득보다 식량을 독점해서 얻는 이득이 더 커지게 되었을 때를 대비하는 차원이 아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