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2/23 19:39:17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옛날 즁궈런의 도덕관 하나
불교가 중국땅에 들어와서 즁궈런의 다른 사상조류들과 접촉하게 되면서 상호 많은 차이점을 확인하게 됐어요. 그 중 하나가 '완전성'에 대한 입장차이였구요.

당시 불교러들은 인간은 올바른 수련을 통해 완전한 깨달음을 얻어 완벽한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했어요. 이걸 얘들 말로 무루(無漏)라고 해요. 새는 곳이 없다는 것. '물 샐 틈 없는' 완전함.

근데 즁궈런, 특히 (성리학 이전의) 유교러들의 생각은 조금 달랐어요. 그거 뭐... 사람이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 사람이 될 수는 있는데, 이게 리얼 월드에는 쉬운 도덕적 상황과 어려운 도덕적 상황이란게 있어서, 쉬운 거 잘 하는 사람도 어려운 상황에선 자빠질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니까, 도덕을 일종의 퍼포먼스로 본 거예요. 스포츠랑 아주 비슷해요. 한국 프로야구 팀에서 에이스놀이하던 투수도 메이쟈리그가서 눈물 젖은 빵만 먹을 수 있어요. 그렇게 눈물 젖은 빵만 먹다가 어쩌다 아다리가 맞으면 폭풍 삼진 잡고 하루 이틀 정도는 슈퍼히어로급 활약을 할 수도 있는 거구요 (윤..석민..ㅠㅠ).

이런 도덕관 (퍼포먼스 도덕?) 하에서 도덕수양이란 무엇인가하면, 그런 퍼포먼스를 좀 더 일관되게, 자주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달리 말하자면 자기 약점과 리스크를 잘 관리해서 '사고'가 날 확률을 줄이는 거지요. 역시 운동 선수들의 기초훈련이랑 비슷해요. 예컨대 그런 훈련은 [골대 앞 30.23m 거리에서 수비수 두 명이 붙었을 때 삭삭 제끼고 빵 슈팅하는 훈련]보다는 [체력, 주력, 지구력 등을 길러서 그 어떤 상황에서도 자기 퍼포먼스의 항상성(constancy)과 일관성(consistency)을 높이려는 훈련]과 비슷해요.

반면에 도덕적으로 좀 덜 된 사람은 뭐 본질적으로 나쁜넘이고 사탄이 영혼을 주무르고 그래서 그런 게 아니예요. 유교러들의 생각에 그건 나쁜 게 아니라 게으른 거에 가까워요. 운동부족인 운동선수 같달까 (게으른 천재...고종수...ㅠㅠ). 그래서 논어를 보면 공자가 게으른놈에겐 열라 짱내면서도 의외로 멍청이나 못된놈에겐 모질지 않은 모습이 종종 나와요.

여기까지만 보면 엄청 힙하고 포스트모던한 도덕관 같지만, 이런 도덕관이 또 사람을 답답하게 만드는 구석도 있어요. 그게 뭔가하면, 실수에 관대해진다는 거예요. 평소 아주 도덕적이던 사람도 아주 잠깐, 아주 순간적인 방심 탓에 엄청난 실수를 범할 수 있어요. 물론 그 실수는 나쁘지만, 그 실수 하나를 가지고 그 사람은 영혼이 타락했다느니 구제불가라느니 매도하긴 어려워요. 한 번 실수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도덕 퍼포먼스가 좋았던 사람이고, 그러니 가벼운 벌금 맥이고 다시 훈련시켜서 그라운드에 복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해요. 오늘 치명적인 자살골을 넣었던 선수도 문제를 진단하고 훈련을 조금 바꾸면 다음 경기에서 월드클래스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도 있고, 어제 실투 하나를 던져서 만루 홈런을 맞은 투수도 이리저리 노력하면 다음 경기에선 무결점 피칭을 해낼 수 있지요. 하지만 신도와 잠자리를 가진 목사님이 회개하고 다시 돌아온다면? 음... 성직자의 성적 자기단속이 매우 매우 어려운 건 맞아요. 따라서 실수를 범할 확률이 남들보다 높다는 건 감안해줄 수 있지요.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자꾸 실수하고 자꾸 회개하고 다시 돌아오는데 사람들이 막 용서해주고 그러는 건 딱히 좋아보이지 않지요 ㅎㅎ

그런데 이 글을 왜 썼더라.

아. 여러분 제가 혹 실수해도 너그럽게 용서해주시길. 실투 하나 던진 거라능. 젤다의 전설 방패 튕겨내기 넘나 어려워서 실수가 많이 나온다능.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3-05 08:0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1
  • 춫천
  • 재밌게 읽었습니다
  • 이 글은 좋은 글이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1 기타왜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으면 안 되는가 22 Moira 16/04/08 7542 6
228 역사왜 사계절이 뚜렷하면 좋은 나라일까. 43 기아트윈스 16/07/05 7306 5
1185 기타왜 범행일이 아니라 판결일로 집행유예 처벌이 달라져요? 6 집에 가는 제로스 22/04/15 3394 26
1076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5204 11
566 의료/건강완벽한 보건의료제도는 없다 ('완벽한 보건의료제도를 찾아서'를 읽고) 18 Erzenico 17/12/26 6765 24
207 역사와이프 팝니다 38 기아트윈스 16/05/21 9193 12
904 일상/생각올해 읽은책 간단정리 15 오디너리안 19/12/27 4909 17
231 기타올바른 '판단-해석'을 위하여 11 전기공학도 16/07/10 5217 6
738 여행온천, 온천을 가보자 38 Raute 18/11/30 7418 29
254 일상/생각온수가 나오는구만, 수고했네 6 성의준 16/08/23 4965 5
1006 기타온라인 쇼핑 관련 Tip..?! - 판매자 관점에서... 2 니누얼 20/09/16 3844 12
557 정치/사회온라인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상) 84 호라타래 17/12/06 7327 39
679 여행오키나와 숙소 몇개 알려드립니다 +_+ 18 얼그레이 18/08/10 6580 13
745 일상/생각오징어 깎는 노인 32 기아트윈스 18/12/12 6705 67
137 문화/예술오이디푸스와 페르스발 14 Moira 16/01/06 8315 5
616 일상/생각오빠 변했네? 14 그럼에도불구하고 18/04/16 6565 30
1176 의료/건강오미크론 유행과 방역 '정책'에 관한 짧은 이야기 12 Ye 22/03/08 3272 26
635 일상/생각오물 대처법 6 하얀 18/05/20 5504 30
1027 일상/생각오랜만에 고향 친구를 만나고 4 아복아복 20/11/05 3759 12
940 역사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23 Fate 20/03/26 5466 39
1058 문학오늘부터 5월까지 덕수궁미술관에서는 20 순수한글닉 21/02/04 4405 24
795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21 미스터주 19/04/17 13145 37
650 문학오늘 너무 슬픔 4 아침 18/06/21 6123 22
596 철학/종교옛날 즁궈런의 도덕관 하나 6 기아트윈스 18/02/23 6443 21
191 문화/예술옛 그리스 항아리 27 Moira 16/04/24 9782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